[[분류:임관]]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축구인, rd1=임관식(축구인))] * [[군대 관련 정보]] 任官式. Commission Ceremony. [목차] == 개요 == [[군대]]의 간부([[장교]], [[준사관]], [[부사관]]) [[후보생]]이 양성교육과정을 마치고 [[간부]]로서 [[임관]]하는 것을 [[신고]]하는 [[행사]]이다. 해외에선 [[장교]]급에 해당하는 계급만이 '임관'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미군의 경우에는 준사관이 공식적으로 장교 취급을 받기 때문에 준사관도 장교 임관식을 통해 '임관'한다. 한마디로 [[졸업식]] 겸 [[수료식]]이다. 대체로 군대 행사의 절차에 임관자들의 [[선서]]와 성적우수자 시상, [[축가]] 제창[* [[공군]]은 맨날 축배의 노래만 부른다. ~~다 함께 이 잔을 드세나~~], [[인사명령]] 낭독, [[계급장]] 부착 등이 추가된다. == 장소와 [[의전]] == [[임석상관]]은 일반적인 수준이 정해져 있으나, 해당 소속의 사기 진작을 위해 더 높은 [[계급]]의 [[장성급 장교]]나 [[차관]], [[장관]] 그리고 [[대통령]]이 오기도 한다. 다만 높은 [[사람]]이 올수록 해당 [[부대]]의 [[병사]]들은 죽을 맛. === 장교 === ==== 사관학교 ==== [[사관생도]][* [[육군사관학교]]와 [[해군사관학교]], [[공군사관학교]], [[국군간호사관학교]], [[육군3사관학교]]가 해당된다.]들은 각 [[학교]]에서 졸업식 및 임관식을 한다. 합동임관식 전부터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이 참석했다. 만약 대통령이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 행정부 2인자인 [[대한민국 국무총리|국무총리]]보다는 임관명령자인 국방부장관이 참석한다. 국방부장관마저 나오지 못한다면 각 군 참모총장이 임석상관이 된다. 이보다 밑으로 내려간 경우는 없다. [[2018년]]에는 [[육군사관학교]], [[2019년]] [[해군사관학교]], [[2020년]] [[공군사관학교]], [[2021년]] [[국군간호사관학교]], [[2022년]] [[육군3사관학교]] 순으로 대통령이 번갈아 가면서 임석했다. ==== 학군단 ==== [[학군사관후보생]]들은 각 학교에서 졸업식을 하고 각 학군단 별로 별도의 교내 임관축하 행사를 진행한 후 육해공군해병대 모두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모여 임관식을 한다.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장관]]이 참석한다. 18년도에는 [[육군참모총장]]이 주관하였다. 2011년부터 시행되었던 [[합동임관식]] 이 폐지되고 7년만에 환원되어 치러진 첫 행사였다. 삼군 초임장교가 임관하는 자리임에도 임석상관이 대통령도 아닌, 국방부 장관도 아닌, 육군참모총장에 그쳤으며, 한겨울에 [[정복]]이 다 젖을 정도로 [[비]]가 오는데도 2만 5,000명이 넘는 신임 장교들과 그 [[가족]]들이 지붕없는 스탠드에서 추위에 떨면서 행사를 치루게 했고(정작 내빈이 있는 단상은 [[지붕]]이 있었다.) 대규모 인원이 올 걸 예상했음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주차대란을 초래하여 원성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당시 [[영관급 장교]]들이 주차요원으로 뛰어다니는 진풍경이 벌어졌다. ==== 학사장교 ==== [[2011년]]까지만 하더라도 [[대한민국 육군|육군]] [[학사장교|학사사관]], [[전문사관|특수사관]], [[단기간부사관|간부사관]]은 [[경상북도]] [[영천시]]의 [[육군3사관학교]]에서 했지만 [[2012년]]부터는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했던 학생중앙군사학교가 [[충청북도]] [[괴산군]]으로 이전하며 육군학생군사학교로 확대, 변경되면서 이제는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한다. [[대한민국 해군|해군]]([[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 포함)은 [[해군교육사령부]]가 아닌 [[해군사관학교]]에서, [[대한민국 공군|공군]]은 [[공군교육사령부]]에서 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해군사관후보생)]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공군장교교육대대)] 임석상관은 3군 모두 [[참모총장]]이다. 교육연한 문제로 타 출신과 달리 수여받지 못했던 대통령 표창은 수여하게 되었다. ==== 전문사관 ==== 의무사관과 수의사관의 경우 [[국군의무학교]]에서 한다.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장관]]이 참석한다. [[군법무관]]과 [[군종장교]]의 경우 [[육군3사관학교]]→[[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임관식을 했으나 지금은 [[육군종합행정학교]]에서 행한다. 임석상관은 마찬가지로 국방부차관. === [[장교]] 외 === [[준사관후보생]]의 경우에는 임석상관은 [[교육사령관]]이다. * 육군은 [[육군교육사령부]] 휘하의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교육받은 뒤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임관한다. 단 [[항공운항준사관]]은 학생군사학교에서의 교육이 끝난 후 육군교육사령부 휘하의 육군항공학교에서 조종교육까지 마치고 나서 [[육군항공학교]]에서 임관한다. * 해군(해병대 포함)은 해군교육사령부 휘하의 [[해군기초군사교육단]]에서 교육받은 뒤 해군교육사령부에서 임관한다. * 공군은 공군교육사령부 휘하의 [[공군기본군사훈련단]]에서 교육받은 뒤 공군교육사령부에서 임관한다. [[부사관후보생]]의 경우 임석상관은 모두 교육사령관이지만 사기진작 차원에서 참모총장이 참석하기도 한다. [[특전부사관]]의 경우엔 임석상관은 [[육군특수전사령관]]([[중장]]).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는 교육사령관이 한다. * 육군은 육군부사관학교에서 교육받은 뒤 [[육군부사관학교]]에서 임관한다. * 해군은 해군교육사령부 휘하의 해군기초군사교육단에서 교육받은 뒤 해군교육사령부에서 임관한다. * 해병대는 해병대 교육훈련단에서 교육받은 뒤 [[해병대 교육훈련단]]에서 임관한다. * 공군은 공군교육사령부 휘하의 공군기본군사훈련단에서 교육받은 뒤 공군교육사령부에서 임관한다. [[임기제부사관]] 같은 경우엔 초기에는 교육대대장이 하고 그랬지만 사기진작 차원에서 [[사단장]]이 나오기도 한다.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464644&thread=09r02|관련기사]] == 복장 == 대체로 [[정복]]을 입는다. 임관식 며칠 전부터 계속 임관식만 연습한다. == [[가족]] 및 [[친구]] 방문 == 임관식이 있기 며칠 전부터 [[가정]]에 [[편지]]를 보내 임관식에 참석할 사람들의 신청을 받는다. 부대 방문 문제로 해당부대의 [[군사경찰]]과 [[정보]]병과는 매우 바쁘게 된다. 대체로 임관식이 열리는 대연병장 앞쪽의 스탠드에서 임관식을 보게 되며 [[계급장]]을 달아 줄 때[* 견장이나 금속제 계급장이 아닌 소매에 박는 포제정장 및 [[수장(장식)|수장]]을 붙이는 해군 부사관의 동/하정복이나 장교의 동정복 착용시에는 스티커나 검정 테이프 등을 달아 두었다 이를 떼어 계급장이 보이게 만드는 것으로 대신한다.] 자신의 가족에게 찾아간다. 짧게는 15주에서 길게는 4년의 [[교육]]을 받는 간부 교육생의 특성상 [[눈물]]을 흘리는 사람들도 많다. 보통은 임관식을 마치고 바로 위로휴가를 받아 나가게 되며 복귀 후에는 각 병과별로 [[신임장교 지휘참모과정]][* 구.초등군사반(초군반)] 교육장으로 향하게 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발발한 직후 대한민국 해군 부사후 266기와 대한민국 공군 부사후 236기는 무관중으로 임관식을 진행하게 되었다. 이어서 237기도 [[전광훈]] 때문에 무관중 임관식 대열에 합류했다. == 진짜는 [[시작]]도 안 했다 == 군생활의 [[꽃]]은 [[자대]]이므로 임관식을 마친 군인은 사실 햇병아리이다. 임관식에서 부푼 [[마음]]을 안고 자대에 갔다가 [[현실]]에 [[와장창]] 실망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