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임동규(야구),other1=SBS 드라마 스토브리그의 등장인물, rd1=임동규(스토브리그))] ||
'''{{{#ffffff 임동규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br][[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3.svg|width=50]][[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4.svg|width=5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2005년 한국시리즈|{{{#ffffff 2005}}}]]''' || '''[[2006년 한국시리즈|{{{#ffffff 2006}}}]]''' || ---- ||<-5> '''[[삼성 라이온즈|{{{#fff 삼성 라이온즈}}}]] {{{#fff 등번호 13번}}}''' || || [[김인철(야구인)|김인철]][br](1995~2001) || {{{+1 →}}} || '''{{{#fff 임동규[br](2003~2007)}}}''' || {{{+1 →}}} || [[김주현(1986)|김동현]][br](2008~2009) || ||<-5> '''[[삼성 라이온즈|{{{#fff 삼성 라이온즈}}}]] {{{#fff 등번호 11번}}}''' || || [[조현근]][br](2006.7.12.~2009) || {{{+1 →}}} || '''{{{#074ca1 임동규[br](2010)}}}''' || {{{+1 →}}} || [[심창민]][br](2011) || }}} || ||<-2>
[[파일:/image/109/2006/09/30/200609302011111101_1.jpg|width=100%]] || ||<-2> '''{{{#ffffff 아프리카 TV 스포츠 BJ }}}''' || ||<-2> '''{{{+1 임동규}}}[br]任洞珪 | Im Donggyu''' || || '''BJ명''' ||랜동 || ||<|2> '''출생''' ||[[1979년]] [[6월 3일]] ([age(1979-06-03)]세) || ||[[서울특별시]] [[용산구]] || || '''국적''' ||[include(틀:국기,국명=대한민국)] || || '''학력''' ||[[상명초등학교|상명초]](전학)[* 등교 당시에 용산이었고 1994년 부로 노원으로 이전되어 현재에 이르렀다.] - [[서울갈산초등학교|갈산초]](졸업) - [[광주동성중학교|동성중]] - [[광주동성고등학교 야구부|광주상고]] - [[동국대학교 야구부|동국대]]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99년/신인드래프트#s-3.2|1999년 2차 5라운드]] (전체 38번, [[삼성 라이온즈|삼성]]) || ||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2003~2010)''' [br] [[중국프로야구리그#s-5.3|광저우 레오파드]] (2004, 임대)[* 현 광둥 레오파즈. [[중국]] 야구리그 팀이며, 임대 선수로 입단한 적이 있다. 당시 [[김응용]] 감독이 광저우의 감독과 친분이 있었기 때문. 2003년에는 [[김덕윤(야구)|김덕윤]]도 임대 선수로 갔다 왔다. 여담이지만 향후 삼성에서 뛰는 [[에스마일린 카리대]]도 히로시마 2군 시절 잠시 이 팀에서 임대 신분으로 뛴 적 있다.] || || '''방송 시작일''' ||[[2018년]] || || '''링크''' ||[[http://bj.afreecatv.com/fosehd92|[[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channel/UCX6WHyn57vFR9OfwFl6KBL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대한민국]]의 야구선수, [[아프리카 TV]] [[BJ]] == 선수 경력 == 1999년 [[광주 동성고등학교 야구부|광주상고]]를 졸업하고 [[삼성 라이온즈]]의 2차 5순위 지명을 받은 뒤, [[동국대학교|동국대]](1999학번)를 졸업하고 2003년에 입단했다. 데뷔시즌 1군 기록으로는 9월 3일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대구 시민구장]]에서 열린 [[KIA 타이거즈|기아]]와의 더블헤더 2차전에서 첫 타자 [[이재주]]에게 4구를 내주며 시작했지만 지명타자 소멸로 인해 타석에 들어선 [[신용운]] 상대로 투수 앞 번트처리 이후 [[이현곤]]에게 데뷔 첫 삼진을 얻어냈고 [[이종범]]을 3루수 땅볼로 처리하며 1이닝 무실점으로 던진 것과 9월 9일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대구 시민구장]]에서 열린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1:7로 지고있을 때 8회에 중간계투로 등판, 1이닝 동안 [[이영우]]와 [[김태균]]에게 연속 타자 홈런을 허용하는 등 4피안타 3실점을 기록한 것이 전부였다. 2004년에는 [[중국야구리그]] 소속 팀인 광저우 레오파드에 임대 선수로 입단하여 5승 2패의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http://www.hani.co.kr/arti/sports/baseball/53539.html|#]] 이후 2005 시즌 초 주목받지 못하다가 6월 8일 1군에 급하게 콜업되 중간계투로 깜짝 호투를 연달아 펼쳤는데, 첫 11경기 동안 17⅔이닝을 던지면서 자책점은 단 1점, 방어율이 '''0.51'''인 적도 있었다.[[https://news.kbs.co.kr/news/view.do?ncd=1111274|#]] 이 덕분에 선발진에 합류하여 7월 13일에는 [[제주 야구장|제주 오라구장]]에서 열린 [[현대 유니콘스]]를 상대로 6이닝 동안 사사구 없이 6피안타 3탈삼진 1실점(1자책)을 기록하는 눈부신 호투로 데뷔 첫 승을 따내고 만다.[[https://news.joins.com/article/1635573|#]] 심지어 데뷔 두번째 승리로는 데뷔시즌 1군 마지막 등판에서 아픔을 안겨주고 2군행을 안겨줬던 [[한화 이글스]]를 상대로 따냈었다.[[https://news.joins.com/article/2071685|#]] 기록은 6이닝 동안 3피안타(1피홈런) 1사사구 4탈삼진 2실점(2자책). 이 후로도 꾸준히 좋은 모습을 보이며 최종 성적은 21경기 출장(선발 8경기)하면서 62⅓이닝 동안 4승 2패 방어율 2.74를 거뒀으며 sWAR 1.76와 ERA+155.2라는 커리어하이급 기록을 남겼다. 이런 활약에 힘입어 [[2005 한국시리즈]] 엔트리에도 승선했으나 한 경기도 등판하지 못했었다. 사실 2005시즌초 부터 구속이 너무 느려 주목받지 못했는데 2군경기에서 구속기록을 10km나 뻥튀기 시켜[* 당시 2군 구속기록은 2군선수들이 직접해 조작이 가능했다.] 평균 140 중반을 기록해 이걸 본 1군감독 선동열이 깜짝놀래 급하게 콜업하였다. 1군 콜업 뒤 실제 구속이 130 중반대로 느려 더 깜짝 놀랬으나 호투를 이어나가 1군에 살아남았다. 2006시즌에는 선발진에 합류해 34경기 출장(선발 23경기)하면서 138이닝 동안 8승 7패 3홀드 방어율 3.91을 거뒀으며, [[2006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에서도 4경기 출장하여 8이닝 동안 1자책점만 기록하며 팀의 2연속 통합우승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다소 아쉬운건 2006시즌이 꽤나 투고타저였음에도 20피홈런으로 리그 1위의 기록을 남겼고 ERA+도 작년 시즌보다 안 좋은 92.5에 sWAR도 0.8밖에 기록하지 못했다. 다만 이는 탈삼진을 뽑아내는 능력이 좋은 편은 아니었기에 준수한 활약 대비 sWAR이 다소 낮게 기록된 것도 있다.] 2006 코나미컵 아시아 시리즈 예선 첫 경기인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닛폰햄]]전 [[선발 투수|선발]]로 등판하여 5회까지 3피안타만 기록하는 완벽한 투구를 보였고, 6회 선두 타자에게 2루타를 내준 후 마운드를 내려와 임동규 돌풍을 일으키기도 했다.[[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6/11/08/2006110860290.html|선발예고]]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6/11/10/2006111060092.html|경기결과]] [[전병호]]처럼 구속이 빠른 선수는 아니어서, 제구력 위주로 승부한 투수였다. 그러나 당시 그는 군 '''미필'''이었는데, 병역이 그의 발목을 잡게 된다. 2007년에는 나이가 차는 바람에 해외 여행의 허가가 나오지 못한 관계로, [[스프링캠프]]에 참가하지 못했다. 결국 어쩔 수 없이 잔류군에 남아서 훈련했지만, 1군 30경기에 등판하여 '''[[이대형]]'''에게 데뷔 첫 홈런을 맞는 [[희생양]]이 되는 등[* 이 홈런으로 인해, 소위 깝수육의 저주로 불리는 '''이대형의 저주에 희생을 당한 1호가 되시겠다.''' 사실 이건 이대형에게 홈런을 맞아서 성적이 안 좋아진 게 아니라 이미 성적이 안 좋아질 정도로 구위가 나빠져서 이대형에게 홈런을 맞은 것이니 저주라고 부르면 안 되겠지만...] 난타를 당하면서 1군과 2군을 오가는 등 시즌 내내 부진하다가 최종 성적 30경기 출장(선발 7경기)하면서 67⅔이닝 동안 1승 2패 방어율 5.59로 부진했다. 결국 2007시즌 후 [[사회복무요원|공익근무요원]]으로 복무했다. [[경산시청]]에서 [[사회복무요원|공익근무요원]]으로 복무를 마치고 소집해제된 뒤 팀에 복귀하여 전지훈련에 참가했지만, 더 이상 1군에 오르지 못하고 2010 시즌 후 방출당했다. == 은퇴 이후 == [[2013년]]에 대구 지역 [[사회인야구]] 팀에서 활동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http://www.bigman21.co.kr/record/index.php?mode=player_view&action=year&uid=7935|통산 기록]] 이를 미뤄봐서는 은퇴 후에도 쭉 대구에 거주하는 듯 하다. [[2016년]] 8월 1일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241&aid=0002580680|기사]]에서 2010년에 은퇴한 투수 L이 불법 스포츠도박에 가담한 혐의로 지난 7월 25일 조사를 받았다고 나왔는데, 공교롭게도 본인도 2010년에 방출된 선수인지라 의심을 받았다. 보다못한 '''본인'''이 직접 위 기사에 댓글을 달아 7월 25일에는 대구에서 운동하고 있었다고 해명했다. 확정범인 마냥 비난받던 상황이라 어이없어서 보다못해 직접 댓글을 달았다고.[* 댓글 내용은 이렇다. '삼성라이온즈에서 2010년에 은퇴한 임동규입니다 주변지인들이 오늘 전화가 많이 와서 혹시 스포츠도박과 관련되었냐? 네이버기사에 댓글에 네 이름과 이니셜이 많이 뜬다고 해서 찾아봤더니 진짜 어이없네요 대응을 안하고 웃어넘기려다 제 실명까지 거론하고 확정적인것처럼 댓글다는분들 때문에 글올립니다 저 7월 25일에 조사안받고 대구 근교에서 사람들과 운동했구요 저는 수풀임이 아니고 맡길임이라서 여권도 영문이니셜 IM 으로 되어있고 팀 옮긴적 없습니다(중국에 임대된걸로 우기시면 할말없지만) 계속 이렇게 실명거론하시면 곤란하겠습니다'] 또한 자신의 성씨는 수풀 림(林)이 아니라 맡길 임(任)이라 영문 이니셜도 IM이라며 L(LIM)이 아니라고 언급했다.[* 여담으로 이 당시 [[프야매]]유저들이 [[삼레클|클동규]] 잘쓰고 있다며 감사댓글을 달기도 했다. 커레 제한이 통합된 후엔 사용할 필요가 줄었지만 그래도 삼성 클선발 중에선 섭종 때까지 가장 좋은 카드였기 때문.] [[2018년]] 8월 아프리카 방송을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aseball_new7&no=5307721|시작했다고 한다.]] 닉네임은 "랜동TV"로 방송 전후로 [[삼성 라이온즈 갤러리]]에 등장해 팬들의 질문을 받아주는 중. 항상 존댓말을 사용해서 디씨임에도 임동규의 게시물 댓글창은 굉장히 깨끗한 편. [[2019년]] 현재 아프리카TV에서 스포츠 BJ로 활동하며 삼성 라이온즈 편파 중계 및 MLB 중계 등을 하고 있으며 [[야자타임(프로그램)|야자타임]]에 삼성 라이온즈 대표 패널로 [[http://bj.afreecatv.com/fosehd92|출연하고 있다.]] 유튜브에선 유소년야구 컨텐츠인 <야구찜>과 먹방 컨텐츠 <플레잇>을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진행하는 중인데, 전국중학야구선수권대회 중계를 자체적으로 하기도 했다. [[2021년]] 이후로는 방송이 없다. == 기타 == * [[국내야구 갤러리|야갤]]에 인증을 한 적이 있다. 시기는 대략 2006년 말에서 2007년 초, 인증 당시의 아이디는 '달려라랜동'으로 줄여서 '랜동'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아이디에 사용된 랜동이란 표현은 임동규의 [[중국]]식 발음인 '랜동구이(rèn dòng guī, 정확히는 런똥꾸이가 맞다.) '의 앞 두 글자를 딴 말이라고 한다. 사실상 야갤에 '''공식적으로 인증한 최초의 현역 선수였다.''' 꽤 오랜 시간이 지난 후 아프리카 방송 홍보차 다시 놀러왔는데 알아봐주는 사람도 몇 없을 뿐만 아니라 달려라랜동 시절[* 그때 당시 디시 야구갤러리는 정말로 [[닉값]]을 하는 갤러리였다. 야구 이야기를 하는 것은 물론 구성원들이 [[사회인 야구]]단도 만들고 [[정모]]도 하는 등, 말만 좀 거칠었을 뿐 흔한 야구 커뮤니티의 모습이었다.]과는 확연히 달라진 [[국내야구 갤러리|야갤]] 분위기에 적응을 잘 못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참고로 계정을 잃어버리는 바람에 새로 팠고 닉네임은 랜동92다. 현재는 초창기와는 다르게 알아봐주는 사람도 몇 없고 분위기도 막장이 된 [[국내야구 갤러리|야갤]] 대신 분위기도 좀 낫고 알아봐주는 사람도 꽤 있는 [[삼성 라이온즈 갤러리|삼갤]]에 홍보차 자주 나타나는 편이다. * 야구 드라마 [[스토브리그(드라마)|스토브리그]]에 야구선수로 등장한 [[임동규(스토브리그)|임동규]]와 이름이 같아서 잠시 주목을 받기도 했다. == 연도별 성적 == * '''{{{#red,#ff0000 붉은 글씨}}}'''는 리그 1위 기록. '''진한 표시'''는 리그 5위 내 기록. ||<-17>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03 ||<|8> [[삼성 라이온즈|삼성]] || 2 || 2 || 0 || 0 || 0 || 0 || - || 13.50 || 4 || 2 || 1 || 2 || 3 || 3 || 2.50 || || 2004 ||<-15> 1군 기록 없음[* [[중국]] 광저우 레오파드로 임대.] || || 2005 || 21 || 62⅓ || 4 || 2 || 0 || 0 || 0.667 || 2.74 || 55 || 5 || 20 || 39 || 21 || 19 || 1.19 || || 2006 || 34 || 138 || 8 || 7 || 0 || 3 || 0.533 || 3.91 || 136 || '''{{{#red,#ff0000 20}}}''' [br] (1위) || 49 || 59 || 69 || 90 || 1.28 || || 2007 || 30 || 67⅔ || 1 || 2 || 0 || 0 || 0,333 || 5.59 || 86 || 11 || 34 || 36 || 45 || 42 || 1.70 || || 2008 ||<-15><|2> 군복무([[사회복무요원|공익근무요원]]) || || 2009 || || 2010 ||<-15> 1군 기록 없음 || ||<-2> '''[[KBO 리그|KBO]] 통산''' [br] (4시즌) || 87 || 270 || 13 || 11 || 0 || 3 || 0.542 || 4.13 || 281 || 38 || 104 || 136 || 138 || 124 || 1.37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삼성 라이온즈/선수단]]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임동규, version=43)]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용산구 출신 인물]][[분류:1979년 출생]][[분류:2003년 데뷔]][[분류:2010년 은퇴]][[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삼성 라이온즈/은퇴, 이적]][[분류:광주동성고등학교 출신]][[분류:동국대학교 출신]][[분류:풍천 임씨]][[분류:아프리카TV 베스트B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