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 {{{#fff '''임마누엘 칸트 발틱 연방대학교'''}}} }}}[br]{{{-3 {{{#fff '''Балтий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Иммануила Канта'''}}}}}}[br]{{{#fff '''Immanuel Kant Baltic Federal University'''}}} || ||<-2> [[파일:immanuel-kant-baltic-federal-university_592560cf2aeae70239af58ab_large.jpg|width=325]] || || {{{#fff 개교}}} ||[[1544년]](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 [br] [[1966년]](칼리닌그라드 대학교) [br] [[2005년]](임마누엘 칸트 발틱 연방대학교) || || {{{#fff 유형}}} ||연방대학 || || {{{#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 {{{#fff 총장}}} ||알렉산드르 페도로프[br](Александр Фёдоров)[* [[철학]] 박사이다.] || || {{{#fff 위치}}} ||[[러시아]] [[북서 연방관구]] [[칼리닌그라드]] || || {{{#fff 학생 수}}} ||'''학부: 10,720명'''[br]'''대학원: 540명''' || || {{{#white 웹사이트}}} ||[[https://kantiana.ru/|[[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balticfederaluniversity?mibextid=ZbWKw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com/@IKBFU?si=xk-cTCrvobj2F20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3> '''위치'''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Immanuel Kant Baltic Federal University, 너비=100%, 높이=130px)]}}} || [목차] == 개요 == ||
{{{#!wikistyle="margin: -5px -10px" [[파일:440px-101-0160_IMG.jpg|width=100%]] }}} ||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에 소재한 대학교. 독일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의 후신을 자처하는 명문대학교이며 약칭으로 IKBFU라고 불린다. == 역사 == [[파일:Die_Gartenlaube_(1890)_b_045.jpg]]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 시절이던 1890년 대학 내의 정원 본래 [[칼리닌그라드]]는 [[독일]]의 영토로 [[쾨니히스베르크]]라는 이름이었는데 1544년 [[프로이센 공국]] 시대에 알브레히트 폰 프로이센 공작에 의해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가 설립되었으며 [[동프로이센]] 지역의 유일한 대학교였다. 다른 이름으로 알베르투스 대학교, 약칭으로 알베르티나로 불렸다. 수학과 천문학이 강세였으며 근대 서양 철학을 대표하는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가 이 대학을 나오고 이 대학에서 교수, 총장으로 활동한 것으로 유명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4년 8월 영국군의 폭격으로 건물 상당수가 파괴되는 피해를 입었고 1945년 소련군이 도시를 점령한 후 대학도 폐쇄되었다. 전쟁 이후 쾨니히스베르크 지역은 [[소련]]의 영토가 되어 칼리닌그라드로 이름이 바뀌고 1966년 칼리닌그라드 대학교가 건설되면서 기존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의 부지를 사용하게 되었다. 2005년 7월 쾨니히스베르크 건설 750주년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게르하르트 슈뢰더]] 독일 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칸트를 기리기 위해 교명을 임마누엘 칸트 러시아 국립대학으로 명칭을 변경했으며 이후 2011년 대학 확장을 거치는 과정에서 교명이 또 변경되어 임마누엘 칸트 발틱 연방대학교로 변경됐다. 1991년 9월 [[리투아니아]]가 독립하고 그 직후 소련이 해체되면서 칼리닌그라드 일대가 러시아의 월경지가 되어 다른 나라와 국경에 둘러싸이게 됨에 따라 대학의 국제 교류 활동이 활발해졌고 외국 대학들과 많은 국제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의 후신을 자처하며 전통을 유지하고 있으나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 시절의 건물은 현재 하나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다 재개교 이후 세워진 건물이다. 2차 세계대전 중에 파괴되었던 건물들은 1964년에 대규모로 복원되었다. == 학부 == [[자연과학]], [[인문학]] 등 다양한 과정을 갖춘 12개의 학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칸트의 출신 대학인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의 후신답게 [[철학]]을 중점으로 연구하며 이 대학에서 만들어진 칸트 협회는 칸트주의를 비롯한 칸트 철학을 연구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2024년에는 칸트 탄생 300주년을 맞이해 국제 칸트 회의 및 철학 축제를 개최한다. == 출신 인물 == ===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 시절 === * [[구스타프 키르히호프]] * 에른스트 테오도어 아마데우스 호프만 - 독일 낭만주의 소설의 맹아이자 환상문학의 창시자 *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 * [[임마누엘 칸트]] * [[칼 에른스트 폰 베어]] - 출신 학교는 [[타르투 대학교]]이나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 [[테오도어 칼루차]] * [[헤르만 민코프스키]] * [[헤르만 폰 헬름홀츠]] [[분류:러시아의 대학]][[분류:1544년 개교]][[분류:임마누엘 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