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도 관련 정보]] [목차] == 개요 == 임시열차는 평상시에는 운행하지 않다가 행사 또는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될때 철도회사에서 '임시'로 운행하는 열차이다. 주로 명절이나 큰 행사가 있을 경우 운행하며, 코레일에서는 관광열차(대절한 열차 포함)[* 정확히는 열차번호를 임시열차 번호를 부여 받아서 운행한다] 혹은 앞서 언급한 명절이나 큰 행사가 있는 대수송기간에 증편되는 열차들이 임시열차로 운행한다.(예전엔 특정요일에만 운행하는 정기성 임시열차도 임시열차 개념에 포함하기도 했으나 지금은 그런 열차들은 정기 열차의 정의에 포함시킨다) . 4000대 열번을 부여받는다. 넓은 의미로는 긴급열차도 임시열차에 들어가며 선로 우선통행 0순위 권한이 있는 열차[* 대통령 전용열차, 위험물 수송열차, 긴급복구장비.]라면 100%다. === 관련 문서 === * [[관광열차]] == 운행형태 == === 정규운행 === * [[바다열차]] * [[동해산타열차]] * [[백두대간협곡열차]](V-Train) * [[남도해양관광열차]](S-Train) * ~~[[평화생명관광열차]](DMZ-Train)~~ * [[정선아리랑열차]](A-Train) * [[서해금빛열차]](G-Train) * [[충북종단열차]]: 무궁화호로 운영되지만 충청북도의 지원으로 운행하는 열차이므로 4301~4304의 임시 열번을 부여받았다. 이들은 임시열차로 분류되며 충북종단열차는 임시열차 열번인 4000번대를 부여되고 타 열차는 2500대를 부여받는다. 실제로는 사실상 정규 열차처럼 운행되고 있다. === 비정기운행 === * [[교육전용열차]](E-train) * [[와인시네마트레인]] * [[전통시장관광열차]] * [[레일크루즈 해랑|해랑]] * 그외 필요하다고 철도회사가 판단하에 운행하는 경우[* [[KTX]]도 예외가 아니며, 주로 호남고속선 산천의 수송량 증대를 위해 후행열차를 임시열번으로 투입한다. 동해선 및 경전선에도 투입되며, 9000번대 임시열번을 부여받는 경우가 많다. 명절임시열차도 이에 포함된다.] * '''[[대통령]] 전용 [[KTX]][* 평창올림픽 당시 북측 국빈을 수송한 열차도 여기 들어간다.] 또는 [[경복호]]의 공무수행: 임시열차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모든 철도차량 중 최우선 순위 열차다.''' * 위험물 수송열차 * 긴급복구장비 [[분류:철도]][[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