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임실군]][[분류:전라북도의 교통]]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임실군)] [목차] [clearfix] == 철도 == [[전라선]] 철도가 군의 동북부를 지난다. [[임실역]], [[오수역]]이 영업 중인데(여객영업을 하지 않는 역으로는 [[관촌역]] 등이 있다.) [[통근열차(한국의 열차등급)|통근열차]]가 있던 시절에는 전주와 군산역까지 주로 운행하던 통근열차가 임실역까지 들어오기도 했다. 관촌역을 포함한 나머지 역들은 현재 여객영업을 하지 않고 있다. 별개로 일제강점기 때 대전-관촌간 철도 부설 계획에 따라 철도가 들어올 기회가 있었으나 태평양 전쟁이 터지면서 유야무야된 지 오래되었다. [[차승원]], [[설경구]], [[송윤아]] 등이 출연한 영화 [[광복절 특사]]의 일부 씬이 옛 오수역 역사에서 촬영되었다. 당시 차승원과 설경구가 탈옥에 성공하여 서울로 잠입하기 위해 들어간 역이 오수역인데, 당시 오수역은 전라선이 이설되면서 폐쇄되었고,[* 임실군의 요청으로 당시의 오수역사는 철거되지 않고 계속 남아 있다.] 오수면 소재지에서 조금 벗어난 외곽에 새로 개설된 오수역이 현업중이다. == 도로 == ===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 [[순천완주고속도로]]가 통과하고, 관내에 [[오수IC]]와 [[임실IC]]가 있다. === [[국도]] === 전주와 남원을 잇는 [[17번 국도]]가 간선축이고, 그 외 [[13번 국도]], [[27번 국도]]와 [[30번 국도]]가 지나간다. * [[13번 국도]]: [[순창군]] 동계면에서 올라와 삼계, 오수, 지사면을 거쳐 [[장수군]]으로 넘어간다. 지방도였다가 최근에 국도로 지정된 도로로 왕복 2차로이며 교통량이 매우 적다. * [[17번 국도]]: 전주와 남원 사이에 있어 교통량이 많~~지만 머물고 가는 차량은 드물~~다. [[순천시]]와 [[경주시]]의 국도들이 전국 최악의 사고율과 사고 치사율로 죽음의 도로라는 악명을 떨칠 때에 비하자면 이쪽은 조금 상황이 나아도 역시 광양제철소와 [[여수국가산업단지]]에서 오는 차량들로 대형 사고도 어느 정도 있었다. 그나마 전구간 왕복 4차로 확장과 간선화,[* 도로 사정에 비하면 너무 늦었지만, 구불구불 면소재지를 돌아가던 길들은 지방도로 바꾸고 고속화도로 수준의 새 길로 간선 차량들의 통행을 분리시켰다.] 중앙분리대 설치로 이전에 비할 수는 없게 된 편.[* 한때 자동차 보험료율 지역차등제 도입을 놓고 찬반 논의가 오갈 때 당시 전주시장이었던 [[김완주]] 전 [[전라북도지사]]가 K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전주-남원 구간 중앙분리대 설치만으로 사고율이 크게 감소했음을 지적하며, 각 지역의 도로 사정을 고려하지 않은 단순히 지역별 사고율만을 근거로 한 보험료율 차등 적용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과거 이 구간의 사고율이 높은 까닭은 급커브 구간이 많은 도로 구조에도 문제가 있지만, 한편으로 전북에서 [[광양항]]과 [[부산항]]을 통해 수출입되는 화물 상당수가 이 도로를 통해 운송되었기 때문에 교통량이 제법 많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하지만 툭하면 고속도로 통행이 곤란한 대형 화물 적재 차량이 많이 통행하기에 사고가 났다 하면 대형 사고인 경우가 많은 [[17번 국도]]의 순천시 구간과 [[7번 국도]]의 [[산업로(울산)|경주시 구간]]에 비하자면 조금은 낫다. 지금은 [[순천완주고속도로]]가 개통되어서 [[17번 국도]]의 부담이 더욱 줄어들었다. * [[27번 국도]]: 순창에서 올라와 덕치, 강진, 운암면을 관통하여 전주로 향한다. 전주와 임실 서부권, 순창을 잇는 국도이지만 통행량은 많지 않다. 전구간 왕복 4차로로 개량되었다. * [[30번 국도]]: 임실군을 동서로 관통한다. 정읍에서 넘어와 강진, 청웅을 거쳐 읍내를 관통하며, 성수면을 거쳐 진안군으로 넘어간다. 읍내 구간을 제외하곤 아직 왕복 2차로에 불과한 시골길이다. === [[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 [[49번 지방도]] *[[지방도]] : [[721번 지방도]], [[745번 지방도]], [[749번 지방도]]등이 있다. == 버스 == [[임실공용터미널]]에서 [[시외버스]]를 이용한다. 임실 군내를 운행하는 버스 회사는 [[임순여객]]인데, [[무주군]], [[진안군]], [[장수군]] 지역을 운행하는 [[무진장여객]]과 마찬가지로 임실군과 [[순창군]]의 앞글자를 따서 이름으로 쓰고 있다. 임실, 순창 각 방면을 운행하고 있으며, 전주 남부시장과 병무청 오거리, 정읍터미널과 칠보 터미널 등으로도 운행되고 있다. 한편 [[전주 버스 752|전주시 시내버스]]가 운암, 관촌까지 운행되기도 하고 [[무진장여객]] 군내버스가 관촌, 오수로 운행되기도 하며, [[남원여객]] 시내버스가 오수로 운행되기도 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임실군, version=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