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대한민국의 축구인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2> {{{#000000,#e5e5e5 ''' 이름 ''' }}} || {{{+1 '''임유환'''}}}[br]'''林裕煥 | Lim You-Hwan''' || ||<-2> {{{#000000,#e5e5e5 ''' 출생 ''' }}} ||[[1983년]] [[12월 2일]] ([age(1983-12-02)]세) [br] [[전라남도]] [[여수시]] [[광무동]] || ||<-2> {{{#000000,#e5e5e5 ''' 국적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2> {{{#000000,#e5e5e5 ''' 신체 ''' }}} ||184cm || ||<-2> {{{#000000,#e5e5e5 ''' 학력 ''' }}} ||[[여수구봉중학교]][br] [[광양제철고등학교]][br][[한양대학교]] || ||<-2> {{{#000000,#e5e5e5 ''' 포지션 ''' }}} ||[[센터백]], [[수비형 미드필더]] || ||<|2>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교토 퍼플 상가]] (2003)[br] '''[[전북 현대 모터스]] (2004~2006)''' [br] [[울산 현대 호랑이]] (2007) [br] '''[[전북 현대 모터스]] (2007~2013)'''[br]상하이 선신 (2014~2015)[br][[알비렉스 니가타]] (2015~2016) [br][[도쿄 베르디]] (2016)[br] [[부산 아이파크]] (2017) || || {{{#000000,#e5e5e5 ''' 지도자 ''' }}} ||[[안산 그리너스]] (2023 / ^^코치^^) || ||<-2> {{{#000000,#e5e5e5 ''' 종교 ''' }}} ||[[개신교]] || ||<-2> {{{#000000,#e5e5e5 ''' 국가대표 '''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5]]]] 1경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2008)^^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축구인]]. 선수 시절 포지션은 수비수였으며, 전북 현대에서만 10년을 뛰며 구단의 첫 번째 전성기를 함께한 레전드로 남을 뻔했지만 전북 시절 말년 무단이탈로 인한 임의탈퇴를 당하며 씁쓸하게 커리어를 마감했다. == 선수 경력 == === 프로 이전 === 여수 축구 명문 구봉중에서 축구를 시작해 전남 지역 최고 명문인 광양제철고등학교에 입학한다. 광양제철고에서 고교 수비수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으며 [[AFC U-20 아시안컵|2002 카타르 AFC 청소년 선수권대회]]에서 부주장으로서 맹활약하며 대한민국의 우승에 앞장섰다. 고교 졸업 후 한양대학교에 입학한 뒤 2003 U-20 월드컵에도 부주장 신분으로 참가해 16강에 기여하였다. 당시 임유환은 막 대표팀에서 은퇴한 [[홍명보]]의 후계자로 평가받을 만큼 엄청난 유망주였다. === [[교토 퍼플 상가]] === 대학 무대와 청소년 대표팀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펼친 임유환은 2003 U-20 월드컵 종료 후 한양대 2학년 1학기를 마치고 [[J리그]]의 교토 상가로 이적했다. 당시 신인임에도 총액 약 15억원에 2년 6개월 계약을 맺었다.[[https://news.kbs.co.kr/news/view.do?ncd=1048166|#]] 또한 이 과정에서 고향 선배인 [[고종수]]와 한솥밥을 먹었다. 그러나 일본에서 자리 잡지못하며 6개월 만에 팀을 떠났다. === [[전북 현대 모터스]] 1기 === [[2004 아테네 올림픽]]을 앞두고 실전 감각이 필요했던 임유환은 이적료 약 4억원에 전북에 입단하며 [[K-리그]]에 데뷔한다.[[https://news.kbs.co.kr/news/view.do?ncd=1065138|#]] 전북에서 3년 동안 부상에 시달렸고 특히 2006 시즌에는 부상으로 10월에야 복귀했지만 주전 수비수 및 수비형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2006년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에 공헌했다. === [[울산 현대 호랑이]] === 2006 시즌 종료 후 [[최광희(축구)|최광희]]와 1억원을 얹은 울산으로 이적했다. 울산에서도 주전으로 활약하며 [[K리그 리그컵]]인 삼성 하우젠컵 2007 우승에 기여했다. === [[전북 현대 모터스]] 2기 === 그러나 2007 여름 이적 시장에서 전북과 마찰을 입은 [[염기훈]]의 트레이드 대상으로 [[정경호(축구)|정경호]]와 함께 전북에 트레이드되며 반 년 만에 전북으로 돌아왔다. 염기훈의 등번호였던 11번을 달았다. 복귀 이듬해인 2008 시즌 부주장을 맡으며 데뷔 후 최다인 시즌 34경기에 출전하며 팀의 6강 플레이오프 진출에 기여했다. 시즌 막판에는 [[허정무호]]에 선발돼 A매치 데뷔전을 치르기도 했다. 2009 시즌에도 부주장을 맡으며 주장 [[김상식(축구)|김상식]] 등과 함께 수비에서 쏠쏠한 활약을 보여줬고 팀의 사상 첫 K-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이후에도 [[조성환(1982)|조성환]]의 파트너 자리를 두고 [[심우연]]과 나눠 출전하며 2011 K-리그 우승, ACL 준우승 등 구단의 업적에 일조했다. 그러나 2013 시즌 중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직을 마치고 돌아온 [[최강희(축구인)|최강희]] 감독 아래서 [[김정우(축구인)|김정우]]와 함께 부상 등의 이유로 팀을 무단이탈했고, 결국 구단에 의해 임의탈퇴 징계처분이 내려지며 10년 간 활약한 팀이자 주장단이었던 그는 불명예스럽게 떠나게 됐다. === 해외 생활 === 2014 시즌을 앞두고 [[중국 슈퍼리그]] 소속 상하이 선신에 입단하며 약 11년 만에 해외 생활을 다시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계약 기간이 남아있던 전북 구단에서 임의탈퇴 신분을 해제함과 동시에 이적료 없이 풀어주었다. 중국 프로축구 올스타전에 참가해 득점을 기록하기도 했다. 2015년 7월 상하이 구단과 상호 합의 하에 계약해지하고 J리그 [[알비렉스 니가타]]에 입단하며 12년 만에 일본 무대에 복귀했다. 그러나 니가타에서 거의 기회를 잡지 못했고 2016년 여름 [[J2리그]] 소속 [[도쿄 베르디]]로 임대갔다. 이후 임대 상태에서 원 소속 구단과 계약을 해지했다. === [[부산 아이파크]] === 2017 시즌을 앞두고 본래 중국 무대로 복귀하려 했으나 [[조진호(축구)|조진호]] 감독이 새로 부임한 [[부산 아이파크]]에 입단했다. 하지만 잦은 부상으로 인해 팀에 큰 보탬이 되진 못했고 부산에선 슬픈 일까지 겹치며 다소 아쉬운 시즌을 마무리하였고, 그 뒤 조용히 은퇴하였다. == 지도자 경력 == 2023 시즌을 앞두고 [[K리그2]] [[안산 그리너스 FC]]에 코치로 합류했다. 참고로 전북 시절 함께 임의탈퇴를 당했던 김정우가 수석코치로 있다. 시즌 중반 [[임종헌(축구)|임종헌]] 감독이 비리 의혹에 연루돼 [[경질]]당할 때 함께 팀을 떠났다. == 여담 == [[프로게이머]] [[임요환]]과 발음이 비슷해 둘이 형제 아니냐는 질문이 인터넷에 많이 올라왔으나, 실제로는 전혀 관련 없는 남남이다. [include(안산 그리너스 FC/코칭스태프)]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광양제철고등학교 출신]][[분류:교토 상가 FC/은퇴, 이적]][[분류:전북 현대 모터스/은퇴, 이적]][[분류:울산 HD FC/은퇴, 이적]][[분류:상하이 선신/은퇴, 이적]][[분류:알비렉스 니가타/은퇴, 이적]][[분류:도쿄 베르디/은퇴, 이적]][[분류:부산 아이파크/은퇴, 이적]][[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분류:1983년 출생]][[분류:2003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