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臨齋日記. [[조선]] 후기의 문인인 [[서찬규]](徐贊奎, 1825~1905)가 [[헌종(조선)|헌종]] 11년인 1845년부터 [[철종(조선)|철종]] 12년인 1861년 5월 20일까지 약 17년간 매일의 일상을 기록한 생활[[일기]]. == 내용 == 19세기 [[경상도]] [[대구광역시|대구]] 지역에 살았던 서찬규가 1845년 1월 1일부터 1861년 5월 20일까지 약 17년간 기록한 일기로, 하루에 이렇다 할 내용이 없는 날이라도 날씨만은 꼭 기록하며 하루도 빠짐없이 매일의 일기를 꼬박꼬박 기록한 것이다. 저자는 일기를 쓰기 시작한 다음해인 1846년에 생원시에 합격하여 관직에 나아갔고 [[암행어사]] 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일기에는 이러한 관직생활에 대한 내용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의 친우관계나 누군가가 자신을 찾아온 일까지 모두 꼼꼼하게 기록하고 있다. 1800년대 중반 대구 지역에서의 생활 모습과 관직 생활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자료이다. 한국국학진흥원에서 2011년에 책으로 발간하였다.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682486|네이버 책 : 임재일기]] == 외부 링크 == * [[http://www.ugyo.net/yk/ilki/ilkiSuji.jsp?B_SUJI_ID=KSAC_M_D00500831&B_BOOK_ID=&B_KWON_ID=&B_STYLE_ID=&B_KISA_ID=|유교넷 : 임재일기]] [[분류:개인 소장 문화재]] == 개요 == 臨齋日記. [[조선]] 후기의 문인인 [[서찬규]](徐贊奎, 1825~1905)가 [[헌종(조선)|헌종]] 11년인 1845년부터 [[철종(조선)|철종]] 12년인 1861년 5월 20일까지 약 17년간 매일의 일상을 기록한 생활[[일기]]. == 내용 == 19세기 [[경상도]] [[대구광역시|대구]] 지역에 살았던 서찬규가 1845년 1월 1일부터 1861년 5월 20일까지 약 17년간 기록한 일기로, 하루에 이렇다 할 내용이 없는 날이라도 날씨만은 꼭 기록하며 하루도 빠짐없이 매일의 일기를 꼬박꼬박 기록한 것이다. 저자는 일기를 쓰기 시작한 다음해인 1846년에 생원시에 합격하여 관직에 나아갔고 [[암행어사]] 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일기에는 이러한 관직생활에 대한 내용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의 친우관계나 누군가가 자신을 찾아온 일까지 모두 꼼꼼하게 기록하고 있다. 1800년대 중반 대구 지역에서의 생활 모습과 관직 생활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자료이다. 한국국학진흥원에서 2011년에 책으로 발간하였다.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682486|네이버 책 : 임재일기]] == 외부 링크 == * [[http://www.ugyo.net/yk/ilki/ilkiSuji.jsp?B_SUJI_ID=KSAC_M_D00500831&B_BOOK_ID=&B_KWON_ID=&B_STYLE_ID=&B_KISA_ID=|유교넷 : 임재일기]] [[분류:조선의 일기]][[분류:한국국학진흥원 소장품]][[분류:대구광역시의 문화재]][[분류:안동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