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임철준}}}'''[br]'''任哲準'''}}}}}} || || '''자 / 호''' ||증약(曾若) / 순초(筍樵) || || '''본관''' ||[[풍천 임씨]][* 목사공파(牧使公派) 25세 준(準) 항렬.] || ||<|2> '''출생''' ||[[1851년]] [[11월 13일]] || ||[[충청도]] [[제천시|청풍도호부]] 원남면 괴곡리[br](現 [[충청북도]] [[제천시]] [[수산면]] 괴곡리) || ||<|2> '''사망''' ||[[1907년]] [[7월 7일]][* 풍천임씨세보 제2권 447쪽에는 10월 8일 순국한 것으로 등재돼 있다.] (향년 55세) || ||[[경상북도]] [[풍기군]] [[죽령]]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01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51년 11월 13일 충청도 청풍도호부 원남면 괴곡리(現 충청북도 제천시 수산면 괴곡리)에서 아버지 임백간(任百幹, 1811 ~ 1868. 1. 25)과 어머니 [[평창 이씨]] 사이의 3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1896년 [[을미의병]] 당시 [[유인석]]의 제천의진(堤川義陣)에 입대한 뒤 참모장(參謀將)에 선임되었다. 이후 [[충주시|충주부]] [[충주시|충주군]]·[[단양군]]·[[원주시|원주군]], [[강원도]] [[영월군]], [[안동시|안동부]] [[안동시|안동군]]·[[문경시|문경군]] 등지에서 크게 활약했다. 같은 해 제천의진이 해산되고 의병장 유인석과 그 부대원들이 [[청나라]]로 망명하자, 1907년 제천군에서 다시 의병을 일으킨 [[이강년]] 의진에 입대해 좌종사(坐從事)에 선임되었다. 이후 [[충청북도]] 충주군·단양군·[[제천시|제천군]]·[[괴산군|연풍군]]·[[제천시|청풍군]], 강원도 원주군·영월군·[[횡성군]]·[[강릉시|강릉군]], 경상북도 문경군·안동군·[[예천군]]·[[영주시|영주군]]·[[봉화군]] 등 3도 14군을 휩쓸며 적과 대적했다. 특히 1907년 7월 5일의 제천군 전투에서 500여 명의 적을 토벌해 사기가 하늘을 찔렀고, 같은 해 9월 16일 제천군 추치에서 대전하여 적 200여 명을 사로잡았다. 같은 해 9월 27일 죽령에서 다시 적 200명을 생포하는 등 전과를 올렸으나, 불행히도 죽령전투에서 일본군과 교전 중에 전사, 순국하였다. 2001년 8월 15일 [[광복절]]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그의 유해는 2012년 9월 8일 제천시 수산면 수산리 야산에 이장됐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조선 의병장]][[분류:풍천 임씨]][[분류:제천시 출신 인물]][[분류:1851년 출생]][[분류:1907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