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임페리얼 네이비)]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임페리얼 네이비/계급 및 직책, top2=배틀플릿 고딕)] [목차] == 개요 == 이 항목은 [[Warhammer 40,000]]에 등장하는 [[인류제국]]의 정규군 중 [[우주군|우주]] [[해군]]인 [[임페리얼 네이비]]에서 운용하는 각종 함선과 장비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한 문서다. == 함선 목록 == === 전함급 === '''Battleship''' * [[엠퍼러급 전함]] * [[네메시스급 함대모함]] * [[레트리뷰션급 전함]] * [[아포칼립스급 전함]] * [[오베론급 전함]] * [[글로리아나급 전함]] * [[빅토리급 전함]] : 랜스 포대, 함재기 발진창, 노바캐논을 운용하는 레트리뷰션 급 전함의 파생형 전함. * [[뱅퀴셔급 전함]] : 전방어뢰, 측면 무기 포대 및 랜스 포대로 무장한 전함으로 임페리얼 네이비 기준에서도 상당히 오래된 전함. 대부분 함대 예비역으로 보존 처리되었으나 타이라니드 침공을 막아내면서 심각한 피해를 입은 배틀플릿 바카에서 다시 재취역하였다. === 순양함급 === ==== 대순양함급 ==== '''Grand Cruisers''' 과거 [[순양전함]]급 지위의 군함으로, 현재의 임페리얼 네이비 함대 교리[* 함수의 어뢰 발사 후 충각, 포격. 그랜드 순양함의 경우 함수에 무장(특히 어뢰)이 없는데다 함수 장갑이 비교적 얇아서 현재 임페리얼 네이비 함대 교리와는 맞지 않다.]와는 맞지 않아 거의 대부분 퇴역하거나 예비역 함선으로 전환되어있다. 임페리얼 네이비에 위기가 찾아 올 때 급히 현역에 복귀해야 하므로 정규 승무원들이 아닌 징집된 승무원들이 다수 탑승하는 관계로 전투중은 물론 전투 외 손실도 상당하다고 알려져있다. 다만 새로운 함선을 건조하는게 어려운 카오스 함대에서는 여전히 주력으로 열심히 굴려지는 중. [[아뎁투스 아스타르테스]] 측에선 크기가 7~6km [[배틀 바지]]를 운용하는데, 크기 상에선 그랜드 크루저와 유사하지만, 함대함 전투보단 병력 수송과 신속전개 중심으로 설계되어 비교는 불가능하다. * [[벤전스급 그랜드 크루저]] 현측 무기포대와 랜스포대를 갖춘 그랜드 크루저로, 임페리얼 네이비의 장갑 함수를 처음으로 도입하기 시작한 함선으로 알려져있다. 대부분의 그랜드 크루저와 마찬가지로 현재는 임페리얼 네이비에서는 2선급 내지 예비역 치장물자 정도로 취급되는 중. * [[어벤저급 그랜드 크루저]] * 전장 약 7.5km, 전폭 약 1.8km, 질량 약 40메가톤, 승무원 약 141,000여명, 최대 지속 가속도: 2.2G[* Battlefleet Koronus, 챕터 I, 20페이지] * 해군 역사 초기 시절에 적 함열의 중심부를 돌파해 들어가 파괴적인 영거리 포격전을 하면서 아군 함선들이 안전하게 전투하도록 하기 위해 고안된 함선으로 현재 임페리얼 네이비의 교리와는 맞지 않아 대다수가 임무해제되었다. 특이하게도 경순양함급에나 장착되는 경량 마크로 포대로 온 현측이 채워져 있어서 개별 포대의 화력과 사거리는 일반 마크로 캐논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나, [[전열함]]처럼 포문 수가 많아 근접 화력은 매우 뛰어나다. * [[엑소시스트급 중순양함|엑소시스트급 그랜드 크루저]] ==== 순양전함급 ==== '''Battle Cruisers''' * [[마스급 순양전함]] * [[오버로드급 순양전함]] * [[아마겟돈급 순양전함]] * 조비안급 순양전함 손상된 마스급 순양전함을 개수하여 전용 함재기 모함으로 구상된 순양전함이나, 전통적으로 함재기가 해군 전력의 보조가 될 뿐이라는 배틀플릿 바카의 함대 지휘관들의 고정관념에 따라 영 좋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기에 추가 건조가 요원한 함선. * 도미니언급 순양전함 마스급 순양전함을 대체할 함선으로 구상되어 랜스 포대와 함재기 발진창을 갖추어 장거리 함대 보조함으로 구상되었다. 무장 체계의 특징 상 함대 보조함으로는 뛰어나나, 소규모 분함대간의 전투에서는 그 효용이 떨어지는 편. * 머큐리급 순양전함 12차 블랙 크루세이드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해적들과 같이 작고 빠른 함선들의 습격에 대응하기 위해 고안된 함선으로, 전함급의 엔진부 설비와 순양함급 장갑이라는 독특한 조합으로 상당한 속도와 화력을 확보해낼 수 있었다. 다만 전면 함대전에선 이 장갑의 부족이 약점으로 작용하기도. 여담으로 이 함선의 설계에는 2세기가 채 걸리지 않았는데, 이는 인류제국 함선 설계 중에서 가장 빠르게 완성된 기록에 해당한다. ==== 순양함급 ==== '''Cruisers''' 임페리얼 네이비 측 전투함대의 양적 주력을 담당하는 군함들. [[아뎁투스 아스타르테스]]의 [[타격순양함]]과 비교될 수 있으나, 타격순양함은 병력 수송이 주 기능으로 함대함 전투능력은 임페리얼 네이비의 [[순양함]]에 한참 비치지 못하나, 기동성은 임페리얼 네이비 경순양함과 필적하거나 그 이상인 점에서 차이가 난다. 다른 함급들과 비교해 보면 공수주가 조화로우면서도 임페리얼 네이비의 양적 주력인 탓에 불하받기가 용이해서인지 [[로그 트레이더]]들이 주로 쓰는 함선이다. * [[루나급 순양함]] * [[타이런트급 순양함]] * [[도미네이터급 순양함]] * [[고딕급 순양함]] * [[딕테이터급 순양함]] ==== 경순양함급 ==== '''Light Cruisers''' * [[던틀리스급 경순양함]] * [[인데버급 경순양함]] * [[인듀어런스급 경순양함]] * [[디파이언트급 경순양함]] * 시루리아급 경순양함 : 던틀리스 급 이전의 노후화된 경순양함. === 호위함급 === '''Escorts''' {{{-1 '''Heavy Frigates / Frigates / Corvettes / Destroyers'''}}} * [[코브라급 구축함]] * [[파이어스톰급 호위함]]: 랜스 포격 능력을 갖춘 호위함급. * [[소드급 호위함]] * 전장 약 1.6km, 전폭 약 0.3km, 질량 약 6메가톤, 승무원 약 26,000여명, 최대 지속 가속도: 4.5G[* Rogue Trader Core Rulebook, 챕터 VIII, 195페이지] * 일반 무기 포대를 충실하게 갖춘 호위함급. * [[팔키온급 호위함]] * 전장 약 2.2km, 전폭 약 0.3km, 질량 약 6.5메가톤, 승무원 약 27,000여명, 최대 지속 가속도: 4.6G [* Battlefleet Koronus, 챕터 I, 26페이지] * 코브라 급 구축함을 대체할만한 보다 대형화된 호위함을 목적으로 설계된 함선으로, 아직 임페리얼 네이비에 보급된 함선이 많지 않다. * 하복급 호위함(Frigate) 코브라급 구축함, 소워드급 구축함이 도입되기 이전의 주력 호위함으로, 그 설계 사상이 소워드 급이나 팔키온 급 호위함에 반영되었다. 현재는 노후화되어 임페리얼 네이비에서는 보기 드물다. 오히려 로그 트레이더들이나 해적들이 애용하는 함선. * [[바이퍼급 구축함]] 강습어뢰를 실험적으로 장비하기 위해 무기 포대를 철거하고 추가 어뢰 발사관을 장비한 함선이나, 호위함급의 소규모 함선으로는 충분히 많은 승무원을 탑승시킬 수 없기에 실패하고, 대신 어뢰 호위함으로 활용되어 높은 평가를 받는 함선. === 수송함 === '''Transports''' * [[유니버스급 거대 수송선]] 12km가 넘는 [[전함]]급 크기의 수송함으로 [[타이탄(Warhammer 40,000)|타이탄]]이나 [[오디나투스|오디나티]]같은 거대 병기들을 싣거나 [[하이브 시티]] 첨탑만한 [[드랍 포드(Warhammer 40,000)|드랍 포드]]에 타이탄이나 오디나투스를 담아 투하할 수 있다. == 탑재 장비 == * 플라즈마 엔진 & 워프 엔진 통상 항해를 위한 강력한 플라즈마 추진 엔진을 장비하고 있으나 드넓은 인류제국을 항해하기 위해선 워프 공간에 임시로 진입하여 목적지에서 다시 일반우주로 돌아오는 워프 엔진을 통한 워프 항해가 활용된다. 워프 공간은 매우 불안정하기에 황제의 아스트로노미칸 빛을 기점으로 함선의 위치를 파악하여 항해하도록 지원하는 승무원이 네비게이터이다. === 무기 === * 무기 포대(Weapons Battery) 임페리얼 네이비의 일반 무장의 총칭. 구성품은 마크로 캐논, 미사일 런처, 라스캐논, 레일건 등 매우 다양하다. * 매크로 웨폰 Macroweapon 임페리얼 네이비 함포로 사용되는 대형 질량 병기들의 총칭. 워프 오염 문제와 기술의 상실로 인해 자동화가 제대로 안되어 있어 수많은 노예를 동원하여 아파트만한 포탄을 수동 장전한다. 재미있게도 모든 마크로 포의 포탄에는 제국의 쌍두 독수리와 온갖 축도문들이 새겨져 있다. * 랜스 포대 통상의 [[라스캐논]]보다 매우 강력한 [[레이저 무기(Warhammer 40,000)|함대함 에너지 무장]]으로, 고출력의 에너지 빔을 발사하여 매우 정확하고 강력한 타격을 가할 수 있다. 쉽게 말해서 [[라스건]]이나 [[라스캐논]]을 우주선에 걸맞은 사이즈로 키웠다고 보면 된다. 랜스 무장은 적 함선이 두터운 장갑을 갖추고 있더라도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화력으로 많은 임페리얼 네이비 함장들의 사랑을 받고 있으나, 매우 높은 에너지 출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연사력이 낮아 적 함선의 방어장에는 다소 비효율적이라고 평가된다.[* 때문에 인류 제국 함선들을 보면 측면이나 상부 터렛 둘 중 하나에만 랜스를 설치하는 경우는 많지만, 측면과 상부 터렛 둘 다 랜스 터렛을 도배하고 전투시 동시에 운용하는 건 어려운지 상부에 랜스 터렛을 적용했다면 [[오버로드급 순양전함|측면 랜스 포대 전부를 일반 마크로 포대로 대체하거나]], [[아마겟돈급 순양전함|측면 랜스 포대 절반을 일반 마크로 포대로 대체한 뒤 사격통제시스템도 개조하고 숙련된 승무원으로 때우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카오스는 이런 문제에 대해 보다 자유로운지 측면 랜스 포대와 상부 랜스 터렛 동시 운용은 기본이고 둘 중 한 군데에 마크로 캐논을 적용했다면 '''함선 전방에 초중 랜스까지도 박고 굴린다.'''] 여담으로 위의 마크로 터렛이 노예들을 써서 아파트만한 포탄을 교체하듯이 랜스 터렛 역시 수 많은 노예들을 동원해서 아파트만한 배터리를 교체한다. * 미사일 발사기 * 플라즈마 발사기 * [[어뢰]] * 플라즈마 탄두: 통상탄. * 멜타 탄두: 플라즈마보다 강력한 탄. * 볼텍스 탄두: 피격 대상을 워프로 날려버린다. * 바이러스 탄두 * [[노바 캐논]] 함수에 장착되는 초대형 매스 드라이버. 다양한 포탄을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가속시켜 발사한다. 그 반동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주력함급 함선의 전방에만 설치 가능하고, 그마저도 함선의 엔진을 작동해 얻는 기동력으로 이를 상쇄하는 식으로만 운용 가능하다. 적 주력함과 상위 함급에도 치명적인 피해를 입힐 정도로 큰 위력을 자랑하지만, 높지 않은 명중률을 가지고 있으며, 최소 사정거리 안에서 쏘면 적 함선을 관통해 버리는 문제가 있다. === 방어막 === * 보이드 실드 Void Shield: 타이탄과 우주선에 사용되는 강력한 방어막. * 갤러 필드 Gellar Field: [[이마테리움]]을 통과하는 워프 항해 중 카오스의 악마부터 각종 워프 생물체들이 함에 침투하지 못하게 막는다. === 함재기 === '''Attack Craft''' * 퓨리 요격기 (Fury Interceptor) [[https://warhammer40k.fandom.com/wiki/Fury_Interceptor|워해머 40k 팬덤 위키]] / [[https://wh40k.lexicanum.com/wiki/Fury_Interceptor|렉시카눔]] / [[https://1d4chan.org/wiki/Fury_Interceptor|1d4chan]] [[파일:WH40k-Fury_Interceptor.jpg|width=400]] 다수의 라스캐논과 미사일을 장비한 표준 요격기로 함대방공과 더불어 폭격기 편대의 호위를 담당한다. 길이는 굉장히 긴 편으로 기체길이가 대략 60~70m이지만 높이는 [[리만 러스 전차]]보다 낮은 특이한 전투기다.[* [[https://warhammer40k.fandom.com/wiki/File:FuryInterceptor00.png|참고 이미지]] - 보면 퓨리 요격기의 높이는 정비하는 사람들과 비교했을 때, 대략 2배 정도다.] 참고로 리만 러스 탱크의 높이는 4.38~4.42m이다. * 스타호크 폭격기 (Starhawk Bomber) [[https://warhammer40k.fandom.com/wiki/Starhawk|워해머 40k 팬덤 위키]] / [[https://wh40k.lexicanum.com/wiki/Starhawk|렉시카눔]] / [[https://1d4chan.org/wiki/Starhawk_Bomber|1d4chan]] [[파일:WH40k-Starhawk_Bomber.jpg|width=400]] 플라즈마 폭탄과 미사일로 적 함선에 타격을 주기 위한 폭격기로 조종사, 부조종사, 항법사와 더불어 근접방어 화기의 사수 등이 탑승한다. 과거 [[머로더(Warhammer 40,000)|머로더 폭격기]]가 제식이었으나 함대전에서 쓰기엔 너무 부족한 폭장량으로 인해 새로운 폭격기가 필요하게 되어 개발된게 스타호크급이다. 머로더 폭격기에 비하면 압도적인 폭장량을 가지고 있지만 단점이 있는데, 이는 완전히 우주전용으로만 설계되어 머로더 폭격기처럼 대기권 내 작전은 아예 불가능하다. 그리고 자체 무장이 대부분 폭격에 치우쳐져 있어서 퓨리 편대들이 지켜주어야만 안전한 작전 수행이 가능하다. * 샤크 강습정 (Shark Assault Boat) [[https://warhammer40k.fandom.com/wiki/Shark_Assault_Boat|워해머 40k 팬덤 위키]] / [[https://wh40k.lexicanum.com/wiki/Shark_Assault_Boat|렉시카눔]] / [[https://1d4chan.org/wiki/Shark_Assault_Boat|1d4chan]] [[파일:WH40k-Shark_Assault_Boat.jpg|width=400]] 멜타 폭약을 이용해 적 함선의 장갑을 관통하여 내부에 탑승한 전투병력을 침투시키는 데 사용되는 함재기. * [[카에스투스 충각 강습정]] (Caestus Assault Ram) [[파일:CaestusAssaultRam_Art1.png|width=400]] [[스페이스 마린]] 도함에 사용하는 강습정. 분류상 임페리얼 네이비에도 속한다. === 에어로노티카 임페리얼리스 === '''Aeronautica Imperialis''' 위의 어택 크래프트와 다르게 대기권에서 운용 가능한 항공기 위주로 편제되어 있다. 인류제국에는 '[[공군]]'의 개념이 없으며, [[아스트라 밀리타룸|아스트라 밀리타룸(=임페리얼 가드)]]과 임페리얼 네이비가 분류되면서 대부분의 항공기 전력도 모두 임페리얼 네이비에 배속 되어었다. 즉 인류제국의 공중전력은 전부 [[해군 항공대]]라고 볼 수도 있다.[* 아뎁투스 아스타르테스는 이름부터가 우주 해병대인지라 썬더호크, 스톰레이븐 등의 항공기들이 아스타르테스 함선에서 발진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엘리시안 강하병단 같이 특수한 경우 아스트라 밀리타룸 자체에서 다량의 발키리를 보유하는 경우도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아스트라 밀리타룸에 연락장교를 파견하여 항공 지원을 담당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에 따라 테이블탑에서도 아스트라 밀리타룸의 커맨드 스쿼드에 함대 장교가 참모로 배속되어 있다. * 전투기 : [[썬더볼트(Warhammer 40,000)|썬더볼트]], [[라이트닝(Warhammer 40,000)|라이트닝]], [[https://warhammer40k.fandom.com/wiki/Avenger|어벤저]] * 폭격기 : [[머로더(Warhammer 40,000)|머로더]] - [[머로더 디스트로이어]] * 수송기 : [[발키리(Warhammer 40,000)|발키리]] * 건쉽 : [[벌처(Warhammer 40,000)|벌처]]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임페리얼 네이비, version=494, paragraph=#s-4)] [[분류:Warhammer 40,000/진영]][[분류:Warhammer 40,000/인류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