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3> {{{+2 '''임포역'''}}}[br]{{{#red '''(폐역)'''}}}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임포리 29,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Impo || || [[한자]] ||<-2><|2> 林浦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林浦, ruby=インポ)] || ||<-3> '''주소''' || ||<-3>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임포역길 35 || ||<-3> '''관리역 등급''' || ||<-3> [[폐역]][br]~~([[영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 ||<-3> '''개업일''' || || 경동선 ||<-2> 1918년 11월 1일[* 최초 개업일 ([[협궤]]로 개설)] || || [[중앙선]] ||<-2> 1939년 6월 1일[* [[표준궤]]화로 [[경부선]], [[중앙선]]과 직결된 날짜]~[br]2021년 12월 28일 || ||<-3> '''철도거리표''' || || [[청량리역|{{{-1 {{{#585858,#a7a7a7 청량리 방면}}}}}}]][br]--[[송포신호장|--송 포--]]--[br]← 4.1 ㎞ || '''舊 [[중앙선]]'''[br]~~임 포~~[br]{{{#red '''(폐역)'''}}} || [[경주역(폐역)|--{{{-1 {{{#585858,#a7a7a7 경주 방면}}}}}}--]][br][[아화역|아 화]][br]5.9 ㎞ → || || [[파일:attachment/임포역/Example.jpg|width=100%]] || || 임포역 건물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앙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임포역길 35에 소재. == 역 정보 == [[960년대]]에 [[경주 이씨|월성 이씨]](月城 李氏)들이 개척하였는데 개척 당시에 마을 앞 하천(河川)에 울창한 [[버드나무]]숲이 있었다 하여 임포(林浦)라 불리게된 것이 지명의 유래이다. [[1952년]] [[한국 전쟁]] 당시 [[공비]]가 침투해서 역사가 전소했다. [* 굳이 왜 이런 이름없는 역에 침투했을까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오히려 이름없는 역이라서 더 쉽게 먹혔을 가능성이 높다. 더구나 이런 게릴라전의 경우 역의 중요성이 문제가 아니라 '''[[보급]]을 끊는 게 중요한 것이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경부선은 어쩔 수 없다치고 최소한 [[영천시|영천]] - [[부산광역시|부산]] 및 [[대구광역시|대구]] - [[포항시|포항]] 등의 물자 수송에 큰 차질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곳에다 공비가 침투된 것.] [[2008년]] 1월 1일부로 여객취급이 중지되었는데[* 동대구~포항 통근열차가 RDC 무궁화호로 전환되며 중간의 자그마한 역들은 죄다 무정차로 돌려버렸는데, 6개월 후 [[건천역]]은 다시 정차하는 걸로 변경되었다.], 당시 정식 공지된 여객취급 중지역 목록에서 빠지는 오류가 있었다. 오랫동안 보통역(운전간이역)의 지위를 유지했었으나 [[2014년]] 1월 24일자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또한 1명 근무지정역에서 해제되었다. [[2021년]] [[12월 28일]]에 [[중앙선]] [[영천역]]~[[경주역|신경주역]] 구간이 복선전철화로 이설되어 폐지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중앙선의 역 목록)] [[분류:1918년 개업한 철도역]][[분류:2021년 폐지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중앙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영천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