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김해시의 자연지명)] ||<-2><:> [[파일:임호산 팔각정.jpg|width=400]] || ||<-2><:> 임호산 팔각정 || ||<:> [[파일:1982년임호산.jpg|width=200]] ||<:> [[파일:2015년임호산.jpg|width=200]] || ||<:> 1982년 임호산에서 바라본 김해.||<:> 2015년 임호산에서 바라본 김해 || ||<-2><:> [[파일:임호산고지도.png|width=400]] || ||<-2><:> 고지도 속 임호산 [br] (출처: 국토정보플랫폼) || ||<#FFF> [[파일:김해시 엠블럼.svg|width=60%]] || {{{#FFF {{{+1 '''임호산'''}}}[br]林虎山 | Imhosan}}} || ||<-2><#FFF> [include(틀:지도, 장소=김해시 임호산, width=100%, height=100%)] || || {{{#FFF '''고도'''}}} ||<#FFF> 179.7m || || {{{#FFF '''위치'''}}} ||<#FFF> [[김해시]] [br] [[내외동|외동]], [[봉황동(김해)|봉황동]], [[흥동]] || || {{{#FFF '''유형'''}}} ||<#FFF> 돌산 || [목차] == 개요 ==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한 산이다. 김해 시가지 사이에 있어서 김해의 많은 사람들에게 친숙하다. 다르게 해석하면 정상에서 김해시가지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봉황역]]과 김해여객터미널에서도 임호산을 바로 볼 수 있어서 타지인 에게도 친숙한 편이다. == 형성 == == 명칭 == 임호산은 자연지명이며 유민산, 가조산, 호구산, 안민산, 봉명산, 임어산, 악산 등으로 불리고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호랑이 형상을 많이 닮았다고 하여 임호산이라 부르고, 호랑이가 벌린 입처럼 너무 험악하게 생겼다고 해서 악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봉황대의 황세바위와 얽힌 설화도 있는데, [[금관국|가락국]] [[겸지왕]]의 딸, 유민 공주가 황세가 죽고 홀로 남자 경운 도사와 함께 임호산에 들어가 수도 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유민산이라 불리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김해 봉황동 유적]] 참고. 고종초에 정현석 부사가 중국 금능의 경승을 본 받아 임호산을 봉명산(鳳鳴山)이라 하였다고 한다. == 이야깃거리 == 현재 산 초반부터 중턱까지는 골프장을 비롯한 소규모 공장, 아파트, 빌라, 주택들이 밀집했고 [[봉명중학교(경남)|봉명중학교]]도 있다. 예전에 임호산 패러글라이딩이 있었지만 현재는 터만 남아있고 없어졌다. 별로 높지 않아서 사람들이 많이 산책 겸 임호산에 오르는데, 바로 옆에 있는 함박산도 임호산으로 착각하는 이들이 많다. 인지도가 떨어지기 때문인 듯. 임호산참숯가마 라는 찜질방도 있다. 현재는 폐업한 상태. 임호공원을 조성한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매년 진행한다고 해놓고 제자리걸음이다. 이 산의 이름을 본딴 학교로 [[임호초등학교]]랑 [[임호중학교]]랑 [[김해임호고등학교]]가 존재한다. == 흥부암 == 임호산에 위치한 [[절(불교)|절]]. 전망이 좋아 [[김해]]시 문서에도 흥부암에서 찍은 김해시 전경 사진이 실려 있다. 2018년, 화재를 겪었다. [[http://www.gimha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072|#]] == 이 산의 이름에서 유래한 명사들 == * [[임호초등학교]] * [[임호중학교]] * [[김해임호고등학교]] - 정작 김해임호고의 뒷산의 이름은 임호산이 아닌 [[경운산]]이다. 김해경운고등학교로 할 경우 [[김해경원고등학교]]와 헷갈릴 수 있어서 그런듯. * 봉명초등학교 * 봉명중학교 * 임호마을 * 임호체육공원 [[분류:경상남도의 산]][[분류:김해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