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랴오닝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랴오닝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000,#ddd 랴오닝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营口, ruby=Yíngkǒu)][ruby(市, ruby=Shì)]}}}'''[br]잉커우시 | Yingkou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营口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랴오닝성]] 잉커우시 시스구[br]신롄다제 동1호[br]辽宁省营口市西市区[br]新联大街东1号 || ||<-2> '''{{{#ffff00 지역}}}''' || [[둥베이]] || ||<-2> '''{{{#ffff00 면적}}}''' || 4,970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4구 3현급시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2,328,582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469명/km² || ||<-2> '''{{{#ffff00 HDI}}}''' || 0.787 ^^(2016)^^ || ||<-2> '''{{{#ffff00 서기}}}''' || 리창(李强) || ||<-2> '''{{{#ffff00 시장}}}''' || 야오화밍(姚华明)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205억 6,000만 ^^(2019)^^ || || '''{{{#ffff00 1인당}}}''' || $8,456 ^^(2019)^^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깨꽃]] || || '''{{{#ffff00 시목}}}''' || [[버드나무]] || ||<-2> '''{{{#ffff00 차량번호}}}''' || '''辽H'''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营'''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21'''08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417''' || ||<-2> '''{{{#ffff00 우편번호}}}''' || '''115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LN-08''' ||}}}}}}}}} || ||<-3> [[http://www.yingkou.gov.cn/|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랴오닝성]] 서부의 [[지급시]]. [[선양시]]에서 서남쪽으로 150km, [[다롄시]]에서 동북쪽으로 170km 떨어져 있는 [[항구 도시]]이다. [[보하이 만]] 속의 랴오둥만 안쪽의 항구 도시로, 훈허와 타이쯔하 (태자하)가 만난 다랴오하의 하구 남쪽에 입지한다. 지급시의 관할 인구는 250만명인데, 그중 도시 자체에는 110만이 거주한다. [[19세기]] 후반 [[요동]] 지역의 유일한 국제 무역항으로 지정되어 발전하였으나 [[20세기]] 들어 남쪽의 다롄에게 밀려 쇠퇴하였다. 그러다가 [[1980년대]] 개혁개방 후 제지와 기계공업을 중심으로 재차 발전하여 현재에 이른다. 그외에 [[세계]] 최대의 [[마그네슘]] 광산이 있어 그 생산 거점이기도 하다. 시가지는 동쪽의 랴오벤구를 통해 다스차오 시와 점차 연담도시화가 되고 있으며, 랴오벤구와 다스차오시 사이에 위치한 잉커우 동역에서는 [[하얼빈]]-다롄, 잉커우-[[판진]] 고속철이 다닌다. 판진을 통해 [[베이징]] 등 중원으로 진출할 수 있다. 남쪽 20km의 바위취안구의 여객항에서는 한국의 [[인천항국제여객터미널]]과 일주일에 2번 카페리가 운항하며, 약 24시간이 걸린다. 시내와 바위취안구 사이에는 잉커우란취 공항이 있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도시로, [[2020년]] 중국에서 가장 행복한 도시 10위 안에 든 바 있다. 바이취안 훙취 시장은 3백년의 유구한 [[전통]]을 자랑한다. == 역사 == 잉커우 남쪽 가이저우에는 [[고구려]]의 주요 방어 거점인 [[건안성]]이 있었다. 다만 본래 도시의 자리는 랴오허강 하구의 [[어촌]]에 불과하였다. 그러던 [[1858년]] [[톈진 조약]]에 따라 개항된 우장 (니우좡)이 토사의 퇴적으로 항구 기능을 상실하자 [[1864년]] 그를 대신하는 조약항으로 잉커우가 지정되었다. [[1872년]]부터 본격적인 대유럽 외교가 시작되었고, 랴오허강의 수운으로 [[콩]]을 중심으로 한 [[만주]]의 농산물이 집결되며 도시는 국제적인 교역항이 되었다. [[1895년]] [[3월]]에는 [[일본군]]이 청나라군을 격파하고 도시를 점령한, [[청일전쟁]] 최후의 지상전인 영구 전투가 벌어졌다. [[20세기]] 들어 [[남만주 철도]]와 연결되는 짧은 지선이 놓이기도 하며 번영하던 도시는 그 종착점인 다롄이 요동 지방의 국제항으로 부상하고, 하구의 모래 퇴적 및 동절기 결빙 등의 단점으로 인해 연안 무역항으로 격하되었다. 다만 지급시에 해당하는 지위는 유지하였다. [[1958년]] 랴오허, 훈허강의 분류 공사 후 잉커우는 훈허강 하구가 되었다.[* 분리된 쐉타이즈하는 [[판진]]시를 거쳐 잉커우 서북쪽 30km 해안에서 [[바다]]와 합류한다.] 20세기 중반 하구 일대의 갈대를 원료로 한 제지 [[산업]]을 중심으로 공업이 발달하였고, 임해 공업도시가 되었다. [[1988년]] 개혁개방 후 잉커우 수출 가공구가 설치되었고, [[1992년]] 경제기술 개발구로 지정되어 해외 투자를 받아 발전하였다. == 교통 == 주요 역으로는 잉커우역(营口站)과 잉커우 동역(营口东站)이 존재하며, 잉커우역은 선다 철도(沈大铁路)의 지선인 잉커우선(营口线)만 통과하여 [[선양역]]에서 출발하는 일반열차만 정차하는 재래역이고 [[고속철도]]는 잉커우 동역에서 정차한다. 항공교통의 경우에는 관내에 잉커우 란치 공항(营口兰旗机场)이 존재하며, [[국내선]] 전용이지만 [[쿤밍시]], [[칭다오시]], [[난징시]], [[시안시]] 등의 장거리노선이 상당히 존재하는 나름 규모가 존재하는 공항이다. 항구도시라서 [[페리(선박)|페리]]도 존재하는데, 주로 [[산둥성]]의 도시와 연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