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1 {{{#000 '''자마스''' }}} }}} [br] {{{#000 '''ザマス|Zamasu'''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돗칸 그냥 자마스.png|width=100%]]}}} || ||<-3> {{{#!wiki style="color: #fff" {{{#!folding [ 보기 / 접기 ] || [[파일:20201214_174223.jpg|width=100%]] || }}}}}} || || {{{#000 '''이름'''}}} ||자마스 || || {{{#000 '''종족'''}}} ||[[심인]] || || {{{#000 '''사망일'''}}} ||[[드래곤볼/연표|AGE 779]] || || {{{#000 '''1인칭'''}}} ||[[와타시]] || || '''{{{#000 테마곡}}}''' || || [youtube(7LnTN8QdTtg, width=100%, height=80)] || [목차] [clearfix] == 개요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떨어지는 자마스.gif|width=100%]]}}} || ||
'''{{{#000 국가}}}''' ||<-2> '''{{{#000 성우}}}'''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 '''[[미키 신이치로]]'''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 '''[[서반석]]'''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 '''데이비드 그레이(제임스 마스터스)[* 흑역사 영화로 유명한 [[드래곤볼 에볼루션]]의 [[피콜로(드래곤볼)|피콜로]] 역을 맡았다.]''' || [[드래곤볼 슈퍼]] [[드래곤볼/미래 트랭크스 편|미래 트랭크스 편]]의 등장인물. 제10우주의 북쪽 [[계왕(드래곤볼)|계왕]][* 착각하기 쉬운데 계왕신 후보지 [[계왕신]]이 아니다.][* 슈퍼 4권에는 계왕 시절의 그가 나오는데 옷만 계왕의 옷이다.]으로 전투력과 소질을 인정 받아 제10우주의 견습 계왕신으로 차기 계왕신 수업을 받고 있다. 이름의 유래는 야마노테코토바(山の手言葉)[* [[메이지시대]]에 확립되어 [[에도시대]]에 널리 쓰였다. 존댓말이 매우 발달되어있고, 신분이 높은 무관집안에서 널리 사용했던지라 일본내에서는 격식을 차린 고상한 말투라는 이미지가 강하다.]라는 도쿄방언 중에서 귀부인들이주로 사용하던 말투인 자마스(ざます)[* 에도시대의 유곽에서 [[유녀]]들이 이 말투를 흉내내서 많이 쓴 탓에 일본방언이나 역사를 잘 모르고 서브컬쳐만으로 접한 외국인들에게는 '매춘부 말투'라고 잘못 알려진 경우도 많으나, 어디까지나 유녀들이 고상해 보이려고 야마노테코토바를 사용한 것 뿐이지 유곽에서 발생한 언어는 절대로 아니다.][* 고자이마스(ございます)→고자아마스→자아마스/자마스 라는 식으로 변형되었다. 주로 귀부인들이 고상한 척하면서 뜸을 들이는 식으로 많이 사용한 탓에, 여유부리며 고상한척하는 귀부인들이 마음에 안들어하던 서민들이 비꼬는 의미로 '자아마스코토바(ざあます言葉)'라고 부르기도 했다. 서브컬쳐에서 이 말투로 유명한 캐릭터가 바로 [[도라에몽]]에 나오는 [[비실이 엄마]]다.]. 비슷하게 고와스도 [[가고시마]]에서 쓰는 방언인 고와스(ごわす)[* 어원도 자마스와 같은 고자이마스이다.]가 유래이다. 미래 트랭크스 에피소드 특성상 미래 이야기를 다루고 미래에도 거기 사는 자마스가 등장하는 만큼 이 문서에서는 현대에 사는 자마스만을 다루고 있다.[* 최종적으로 비루스에 의해 파괴된 자마스를 다룬다.] 다른 자마스에 관한 내용은 본 문서 5번 항목의 다른 자마스와의 관계 항목을 참고바람. == 작중 행적 == [include(틀:스포일러)] * 자마스 - [[자마스/작중 행적]] * [[미래 자마스]] * [[오공 블랙|스포일러]] - [[오공 블랙/작중 행적|스포일러/작중 행적]] * [[합체 자마스]] - [[합체 자마스/작중 행적]] == 캐릭터성과 평가 == '''[[드래곤볼]]에서 보기 드문 모략계 악역이자 [[위선자]]라고 볼 수 있다.'''[* 최강이나 최흉급 악역이라면 [[피콜로 대마왕]]부터 [[프리저]], [[셀(드래곤볼)|셀]], [[마인 부우]] 등등 주인공 일행을 죽음이나 죽기 일보 직전까지 몰고 갔던 보스들이 거론되지만, '''됨됨이는 자마스가 최악'''이었다. 무엇보다 저들 중 그 누구도 스스로가 정의롭다고 합리화하거나 미화하지 않았는데, 피콜로 대마왕과 프리저는 자신들이 악당임을 확실히 자각하며 정의를 혐오했고, 셀과 마인 부우는 선악에 대한 관심이 전무했다.][* 오공이 자마스와 겨룬 후 나쁜 성격이 아니라고 판단했는데 이 이유가 오공이 본 악역 중에서는 유일하게 본인 딴에는 자기가 선이라고 여기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다.] [[고와스]]의 평가에 따르면 마음이 맑다고 하지만, 실제 언행을 보면 이런 평가를 내린 고와스가 제정신이 맞는지 의심될 정도로 인간[* 지구인 뿐만이 아닌 전체 하계인과 인류 수준의 지성을 갖게 된 다른 생명체(예: 마족)도 포함한다.]들을 무척이나 혐오한다. 어느 정도냐면 자신이 나서서 이러한 악순환의 반복을 끊어야 하지 않냐며 [[고와스|자신의 상관이자 스승]]에게 직접 따지기도 할 정도다. 한 때 [[손오공(드래곤볼)|손오공]]이나 우이스의 평가 때문에 갱생한다는 떡밥[* 애니메이션의 내용으로 코믹스와는 별개로 손오공과는 만난 적이 없다. 애니메이션이 방영하던 시점에는 코믹스가 진도를 따라잡지 못해 생기던 추측.]도 뿌려졌지만 오히려 손오공을 접하게 되면서 타락한 행위를 구체화시킨다.[* [[손오공(드래곤볼)|손오공]]의 힘을 알게 되어 [[오공 블랙|그 몸을 빼앗아, 그 힘을 취해]] 인간 제로(0) 계획에 착수하게 된다.] 고와스가 어떻게든 바로잡으려고 노력하지만 예시로 보여주는 경우가 [[바바리인|하필이면 시궁창 같은 모습]]이라 더 비틀리고 말았다. 하지만 계왕신의 직책이 생명체를 선으로 인도하는 것이고, [[마인 부우]] 편의 지구인과 같이 지적생명체는 바람직한 인도에 따라 착해질 수도 있는 법이다. 즉 이런 모습을 많이 봤다는 자마스의 발언 자체가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의 소지가 충분하고, [[확증편향|심지어는 인간의 부정적인 면에만 과도하게 집중하다보니 나온 결론일 수도 있다.]][* 씁쓸한 사실은, 현실에서도 사람들이 비슷한 이유로 인종차별 내지는 제노포비아에 빠져드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선악을 판단하는 것까지는 그럴 수 있다고 하더라도 폭력을 쓰는 바바리인을 혐오한다고 해놓고 정작 자신은 원하는 것을 얻으려고 폭력으로 즈노를 협박했고[* 코믹스에서는 애니처럼 즈노의 시종을 날려버리는 등의 직접적인 깽판은 치지 않았지만 협박한 건 똑같다.] 신의 권위에 범접하는 인간을 무례한 악이라 하면서 정작 자신은 자신의 목적을 위해서 자신의 상관인 계왕신도 살해하려 하는 등[* 본 문서의 자마스는 비루스에 의해 고와스를 살해하는 것에 실패했으며 살해를 성공한 것은 오공 블랙이지만, 이 오공 블랙이 바로 본편 자마스가 성공한 버전의 미래상이고 반대로 오공 블랙의 과거 모습이 본편 자마스인 만큼 본편의 자마스도 고와스를 살해할 의도가 명확했다고 봐야 한다.], 대놓고 이중잣대를 보여준 시점에서 위선자임이 확실하다. 정의에 대한 기준 자체 뿐만 아니라 정의의 실천 또한 문제가 있는 것. 또 먼 옛날 [[신(드래곤볼)|지구의 신]]도 인간의 사악함에 대해서 실망한 적은 있었지만 그렇다고 [[용서|인간을 전멸시켜야 한다는 결론까지 가지는 않았으며,]] 손오공의 모습에서 인간에 대한 희망[* 정확히는 손오공이 자신의 사리사욕을 위해 드래곤볼을 악용하지 않은 모습에서 희망을 느꼈다고 한다.]을 다시 가지게 된다. 어느 정도 옹호해주자면, 자마스가 지금껏 봐 왔던 인간들의 모습이 시궁창스러운 것은 맞는데다가, 신들의 권능인 인공생명체를 창조하거나 신들도 엄격하게 제한된 금기인 시간 여행을 제멋대로 이용하기도 하고 이는 현실의 인간들이 보여주는 모습들과도 유사한지라 자마스의 분노가 근거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 분노의 근본적인 이유는 인간이 지혜와 신에 필적하는 힘을 가지는 것 자체가 싫다는 특권의식이고, 자마스는 이를 교묘하게 정의로 포장하며 자기 자신만이 유일신이라는 선민의식에 빠져있기 때문에 변호가 불가능하다. [[고와스]]가 애니 66화에서 [[합체 자마스|심하게 일그러지면서까지 인간 말살을 포기하지 않는 자마스의 모습]]을 보고 “분노와 증오에 미쳐버린 그 모습, 그게 네가 원하던 거였나?”라는 대사를 했을 정도였다. 정리하자면 그릇된 선민사상과 교만을 정의로 포장하는 위선자이며 [[내로남불]]로 대변되는 극단적 자기중심주의로 여러가지 혐오 요소들을 겸비한, 드래곤볼에서 최고 수준의 어그로를 끄는 악당이'''었'''다.[* 자마스 편까지 등장한 악당 중에서 위선자는 자마스, [[프로스트(드래곤볼)|프로스트]], [[오공 블랙]] 정도 말고는 없다. 그나마 프로스트는 착한 일을 하는 선인 행세라도 했으나, 자마스와 오공 블랙은 대놓고 학살을 자행하며 악행을 저지르는 주제에 자신이 저지른 악행을 정의로 포장했다. 또한, [[오공 블랙]]도 사실은 오공의 육체를 강탈한 자마스임을 생각하면 자마스보다 위선적인 악당은 없다.] '''그나마 이보다 더한 악당은 합체 "자마스", [[지렌]]의 인생을 망친 악당[* 사실 자마스 역시 냉혹하고 잔인한 악당이라는 사실임에는 변함이 없지만 자마스는 인간을 혐오하게 된 티끌만큼의 배경이라도 존재했으며 비록 상당히 비뚤어져 있었긴 하지만 나름대로의 신념이라도 존재했던 것에 반해 이 놈은 지렌의 인생을 송두리째 무너뜨린 주제에 그럴 만한 신념이라도 없었으며 최소한 소멸이라는 형태의 죗값이라도 치른 자마스와는 달리 제대로 된 죗값을 치렀다는 묘사나 언급조차도 없어서 일각에서는 자마스보다도 더 악랄하다고 평가받기도 한다.], [[히터 군]] 정도.''' 오죽하면 계왕신 중에서 가장 오만한 성격인 쿠르와 비겁한 성격인 로우, 그리고 제 1, 5, 8, 11 우주의 계왕신들도 자마스에게 협력하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그나마 정상인이라는 소리가 나올 정도.[* 그리고 자마스의 진짜 목적이 무엇인지 생각해보면 그들이 설령 자마스에게 협력했어도, 계획이 끝나면 자마스에게 무조건 봉변을 당할 운명이었다. 특히, [[로우(드래곤볼)|로우]]는 '''자마스의 [[백화#s-1.2]]한 모습 그 자체를 상징하는 캐릭터'''라고도 볼 수 있는데, 비록 로우 또한 선민사상에 취해있긴 하지만, 살육이나 파괴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계왕신으로서의 본분을 저버리지 않는데다가, 인간을 대하는 태도도 상당히 유화적인 계왕신이다.] 인간 불신까지는 가질 만하다고 이해하더라도, 그 수단과 방법이 악랄하기 짝이 없는 인물이다. == [[오공 블랙]]과의 연관성 == 이전 인터뷰에서 원작자 [[토리야마 아키라]]가 [[초사이어인 갓 초사이어인|초사이어인 블루]]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서, 원래는 머리를 하얀 색으로 하려 했는데 앞으로 등장할 적의 색깔과 겹쳐서 관두었다는 언급을 했다. 그래서 이번 에피소드의 메인 악역으로 예상되었는데, 56화에서 나온 묘사를 보면, 이미 확고한 악인이다.[* 하지만 인터뷰에서 언급한 하얀색의 적은 부활의 F의 메인 악당인 [[프리저]]를 의미했던 것이라고 보는 의견도 있긴 하다.] [[드래곤볼 슈퍼]]의 여태까지의 이야기의 흐름으로 본다면 자마스가 고와스를 [[왕위를 계승 중입니다|왕위계승]]하고 포타라와 시간 반지를 훔쳐 오공 블랙이 탄생하는 계기를 만드는 것으로 추측된다. [[오공 블랙]]이 계왕신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는데, 이 계왕신과 오공 블랙은 드래곤볼 슈퍼의 코믹스판의 작가 도요타로가 그린 팬픽인 [[드래곤볼 AF]]의 [[라이라(드래곤볼)|라이라]]와 [[자이코]]에서 모티브를 따온 캐릭터로 추정된다. 실제로 도요타로가 슈퍼의 코믹스만 그리는 게 아니라 스토리에도 깊이 관여를 하고 있다고 한다. 작중행적에 나타난 블랙과의 연관성은 [[자마스/작중 행적]] 참고 == 다른 자마스와의 관계 == [include(틀:스포일러)] [include(틀:평행세계의 자마스들)] * '''고와스 살해에 실패하고 비루스에게 파괴되어 원자 단위로 완전히 소멸한 자마스'''가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자마스'''이다. * '''과거가 개변되지 않아 고와스 살해에 성공하여 슈퍼 드래곤볼로 소원을 빌어서 [[손오공(드래곤볼)|손오공]]과 육체를 맞바꾸고, [[시간 반지]]를 사용하여 [[미래 트랭크스]]의 세계로 건너간 자마스'''가 바로 본 문서에서 설명하는 자마스의 미래 버전인 '''[[오공 블랙]]'''이다. * '''미래 트랭크스 세계에 존재하다가 [[오공 블랙|고와스를 살해하는 데에 성공하여 슈퍼 드래곤볼을 이용해 손오공과 육체를 맞바꾼 과거 세계의 자기 자신]]을 만나고 슈퍼 드래곤볼로 소원을 빌어서 불사신이 된 자마스'''가 '''[[미래 자마스]]'''이다. * 그리고, '''오공 블랙과 미래 자마스가 [[포타라]]를 사용하여 합체를 한 자마스'''가 '''[[합체 자마스]]'''이다. 각각의 자마스는 공통된 과거를 갖고 있다가 일정한 분기점에 갈라지게 된다. [[시간 반지]]가 생기는 평행 세계가 탄생하면서 새로운 자마스가 탄생한다. 이는 자마스 뿐만이 아니라 다른 인물들도 마찬가지이다. 신의 최고 정점에 있는 [[전왕]]도 예외는 아니다. 다만 특이한 점은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자마스는 비루스가 자마스를 파괴한 순간 평행우주가 생기면서 독립된 개체로 분리된, 가장 마지막에 생긴 자마스라는 것이다.[* 과거는 오공 블랙과 공유하며 다른 점은 고와스를 살해하지 못하고 파괴되었다는 것 뿐이다. 원래는 성공하여 오공 블랙이 되어야 했는데 실패했고 파괴신의 파괴는 시공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평행 세계가 탄생한 것이다.] 가장 먼저 고와스를 살해한 자마스인 [[오공 블랙]]이 탄생해 이미 만들어져 있던 평행 세계인 [[미래 트랭크스]]가 살던 세계에 있는 자마스인 [[미래 자마스]]와 난장판을 피웠고, 그래서 [[미래 트랭크스]]가 과거로 넘어와 현대에 사는 자마스를 파괴하는 결과가 생겨나서 이 자마스가 생겨난 것이다. 따라서 이 문서는 자마스들 중에서 거의 아무 것도 못해보고 미수로 죽은 자마스를 다루고 있는 문서라고 할 수 있겠다. 원래는 자마스라는 큰 항목 아래 자마스, [[오공 블랙]], [[미래 자마스]], [[합체 자마스]]로 소분류해야 맞을 것이나 자마스의 정체 자체가 스토리에 아주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는 내용이라 스포일러가 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분류다. == 여담 == 드래곤볼 제노버스 2에서 DLC 캐릭터로 참여한다. 설정대로 불사신으로 나오면 [[밸런스 붕괴]]가 되기 때문에 재생 능력은 없다. 하지만 자마스를 스승으로 모실 때 나오는 스승 퀘에서는 불사신으로 나와서 매우 빠른 속도로 체력이 회복된다. 스승퀘를 하다보면 플레이어를 [[얼티밋 오반|각성]]시켜주는 듯한 이벤트가 나오며[* 플레이어가 눈을 감고 무릎을 꿇고 앉아 있어서 보이지는 않지만 자마스가 [[15대 이전 계왕신|이상한 콧노래를 부르며 의식이 끝날 때까지 24시간이 걸린다.]] 라고 말하는 이벤트가 나온다.] 마지막 궁극기를 배우는 퀘스트에선 플레이어가 진심으로 자신을 섬기는게 아닌 단지 기술을 배우려고 했다는걸 알게되자 신을 속인거냐며 분노하며 플레이어를 죽일려고 한다. [[https://youtu.be/XObXAKtDZ6E|참고로 다른 스승 퀘와는 달리 특정 콤보를 성공시켜야 하며 그 콤보를 성공시키는게 어렵기로 악명이 높다.]] 이따금 악의 마음을 가진 불량심인은 마계로 넘어가 마계왕신이 된다고 하는데, 왜 이녀석은 악한 마음을 가졌음에도 마계왕신이 안되었는지는 불명이다. [[분류:자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