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합의사항1=과거 닉네임 리다이렉트 및 과거 닉네임 서술을 유지하기, 토론주소1=SuperHomelyShockingHeart, 합의사항2=남성혐오 활동 논란 문단 존치, 토론주소2=ProfuseHallowedSteepNet)] ||<-2> '''{{{#ffffff {{{+1 자빱TV}}}[br]jappaptv}}}'''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자빱tv.png|width=100%]]}}} || || '''{{{#ffffff 채널 링크}}}''' ||메인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wT_iMjmRsnAitwgpaR1Tqw/featured|[[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br]생방송 다시보기: [[https://www.youtube.com/channel/UC4pT56D6n0NowFan7mljXB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생방송은 이 채널이 아닌 메인 채널에서 진행.] || || '''{{{#ffffff 방송 시간대}}}''' ||--화, 수, 금, 토, 일[br]저녁 7:30 ~ 새벽 1:00-- || || '''{{{#ffffff 주 컨텐츠}}}''' ||게임, 토크 방송 || || '''{{{#ffffff 구독자 수}}}''' ||7.44만 명 (본계정)[*기준 2023년 12월 12일 기준. 스태프 착취 논란 이후 구독자가 줄어들었다.][br]1.63만명 (생방송 다시보기)[*기준] || || '''{{{#ffffff 유튜브 개설일}}}''' ||2018년 2월 18일 || || '''{{{#ffffff 관련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appaptv, 크기=20)] / [[https://www.instagram.com/jappaptv/|[[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cafe.daum.net/jappapcinema|[[파일:다음 카페 아이콘.png|width=20]]]][* 여성만 가입 가능하다. 자세히는, 여성임을 인증해 등업을 해야 본격적인 카페 활동이 가능하다. 이후 가입 신청이 막혔으며, 비공개 되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게임과 이야기가 함께하는 자빱TV''' [[대한민국]]의 여성 스트리머 겸 유튜버. 나이는 공개하지 않으며, 방송에서는 항상 20살이라고 한다. 연도가 지나도 변하지 않는다. 구독자 애칭은 '''콘'''이며, 자빱과 합치면 [[팝콘|빱콘]]이 된다. == 상세 == 2018년 2월 20일에 트위치에서 '[[보겸|자겸]]TV'라는 이름으로 방송을 시작했다. 2018년 2월 27일에 트위치에서 해당 아이디가 악성 아이디로 정지를 당하고 유튜브로 거처를 옮겼다. 2018년 2월 19일에는 유튜브에 첫 영상을 업로드했다.[* 현재는 삭제됨.] 방송 초기에는 [[오버워치]]나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BI6fQSXzTp3Z2Mlk_OvCi4yLBuUA73ZL|종합게임]] 플레이를 위주로 방송했다. 방송 시작 시간은 7시 30분으로, 유동적이지만 대략 토크를 약 1시간 정도 하고 8시 30분 쯤에 게임을 시작한다. [[http://cafe.daum.net/jappapcinema|팬카페]]와 [[https://www.youtube.com/channel/UCwT_iMjmRsnAitwgpaR1Tqw/community|유튜브 커뮤니티]]에서 주간 방송 일정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아래 논란으로 인해 방송 은퇴를 하였다. 스태프 부당 대우 논란 문단 참조. == 구독자 수 == 우정리노트 이전까지는 구독자 1만 명 후반대에 후원도 댓글도 점점 줄어 말 그대로 방송 암흑기였으나[* 자빱은 전업 방송인으로 타격이 컸을 것이다.] 마인크래프트 컨텐츠의 파급력으로 구독자 상승에 가속도가 붙었었다. 하지만 스태프 착취 논란이 터지면서 구독자가 줄어들었다. || '''{{{#ffffff 달성일}}}''' || '''{{{#ffffff 구독자 수}}}''' || || 2018.12.07 || 10,000명 || || 2020.03.08 || 20,000명 || || 2020.05.05 || 30,000명 || || 2020.06.05 || 40,000명 || || 2020.07.12 || 50,000명 || || 2020.09.20 || 60,000명 || || 2020.11.28 || 70,000명 || || 2021.03.28 || 80,000명 || || 2021.05.09 || 90,000명 || || 2021.05.12 || 100,000명 || || 2021.12.14[* 스태프 공론화 직전] || 141,000명 || || 2022.01.15 || 102,000명 || || 2022.03.01. || 약 96700명 || || 2022.04.11. || 약 93400명 || == 방송 관계자 == [[마인크래프트]] 컨텐츠를 함께 제작하는 스태프 팀, 방송 채팅창 및 팬카페를 관리하는 매니저 팀, 본 채널에 올라갈 영상을 편집하는 편집자 팀까지, 모두 합치면 30명 정도라고 한다. [[http://cafe.daum.net/jappapcinema|팬카페]]를 통해 모집한 자빱의 오랜 팬들이며, 마인크래프트 컨텐츠 진행을 함께하는 스태프의 경우 방송인들끼리 모인 크루와는 다르게 전원 일반인이므로 신상 노출에 각별히 주의하는 편. === 스태프 === ====# 1팀 #==== [include(틀:자빱 1팀)] 2019년 9월 모집한 팀으로 총 7명.[* 2020년 9월 6일 생방송으로 토깽뎐 시청자 참여를 한 마우수님이 1팀에 추가로 들어가게 됐음을 알렸다.] [[동물]] 컨셉의 스킨을 사용한다.[* 동물팀이라고도 불린다.] 아래는 컨텐츠 제작 또는 출연 여부이다.[* 삭제된 컨텐츠 제외] || '''{{{#ffffff 컨텐츠}}}''' || '''{{{#ffffff 활동}}}''' || || '''우정리노트''' || 제작 및 출연 || || '''빱라임씬1''' || 출연 || || '''빱라임씬2''' || 출연 || || '''토깽뎐''' || 제작 및 출연 || || '''여걸세븐''' || 제작 및 출연 || || '''자매꽃이 피었습니다''' || 제작 및 특별출연[* 마우수가 양복실 역으로 특별 출연했다.] || || '''동개의 할로윈 파티''' || 제작 및 출연 || || '''자빱상사''' || 제작 및 출연 || || '''빱라임씬3''' || 출연 || || '''서리사막의 도둑들''' || 제작 및 출연 || || '''순헌고을:사라진 왕손을 찾아라''' || 출연 || ====# 2팀 #==== [include(틀:자빱 2팀)] 2020년 4월 모집한 신규 팀으로 총 7명.[* 기존 5명에서 2명이 빠지고 4명이 추가되었다.] [[디저트]], [[동물]] 컨셉의 스킨을 사용한다.[* 디저트팀이라고도 불린다.] 2020년 11월, 추가 스태프를 모집하였다. 아래는 컨텐츠 제작 또는 출연 여부이다. || '''{{{#ffffff 컨텐츠}}}''' || '''{{{#ffffff 활동}}}''' || || '''빱라임씬1''' || 제작 및 특별출연[* 서무디가 능구렁 역 보이스로 특별 출연했다.] || || '''빱라임씬2''' || 제작 및 특별출연[* 도난수가 탐지견 역으로, 이와분이 양보송 보이스로 특별 출연했다.] || || '''토깽뎐''' || 특별출연[* 도난수가 옥황상제 역으로 특별 출연했다.] || || '''여걸세븐''' || 제작 및 출연 || || '''자매꽃이 피었습니다''' || 제작 및 출연 || || '''빱라임씬3''' || 제작 및 특별출연 [* 강후루가 달부자 보이스로, 임전병이 웅바스찬 역으로 특별 출연했다.] || || '''계수떡집 오늘쉬어갑니다''' || 제작 및 출연 || == 플레이한 게임 목록 [* 2021년 4월 기준]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48(게임)|2048]] * [[Bad Dream: Coma]] * [[Bad Dream: Fever]] * [[Cat Goes Fishing]] * [[CLOP]] * Call of the sea * [[Cooking Simulator]] * Creaks * Cube Escape Collection[* 2020년 Samsara Room 리메이크와 함께 이제까지 플래시 게임으로 출시되었던 The Cave까지의 작품들을 집대성] * [[Deceit]][* 1팀과 함께 했다.] * [[Do Not Feed the Monkeys]] * [[Don't Starve]][* 1팀과 함께 했다.] * [[Forager]] * [[Fragile(몽골 게임)|Fragile]] * [[Getting Over It with Bennett Foddy]] * [[Human: Fall Flat]][* 1팀과 함께 했다.] * [[I am Bread]] * Iris.Fall * [[INSIDE]] * [[Last Day of June]] * [[League of Legends]] * [[Life is Strange: Before the Storm]] * [[Little Misfortune]] * [[Machinarium]] * [[My Time At Portia]] * [[No Umbrellas Allowed]] * [[One Hand Clapping]] * [[One Hour One Life]] * [[Papers, Please]] * [[PUBG: BATTLEGROUNDS|PLAYERUNKNOWN'S BATTLEGROUNDS]] * [[PMC: 더 벙커]] * [[Plague Inc.]] * Pilgrims * [[Raft]][* 1팀과 함께 했다.] * [[Rusty Lake Hotel]] * Shady part of me * [[Samsara Room]] * [[Stardew Valley]][* 2018~2019년에 주기적으로 플레이 한 게임이었다.] * [[Stranded Deep]] * [[Superliminal]] * Tangle Tower * [[That Dragon, Cancer]] * [[The Escapists 2]] [* 1팀과 함께 했다.] * [[The Forest]][* 1팀과 함께 했다.] * [[The White Door]] * [[To the Moon]] * [[Thief Simulator]] * [[Untitled Goose Game]] * [[Valheim]] * [[Viscera Cleanup Detail]] * [[What Remains of Edith Finch]] * [[Who Am I: The Tale of Dorothy]] * [[Wild Animal Racing]] * [[Yuppie Psycho]] * [[그 섬]] * [[나이트 인 더 우즈]] * [[다크 소울 3]] *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 * [[라이프 이즈 스트레인지]] * [[레플리카(게임)|레플리카]] * [[루카노르 백작]] * [[리그 오브 레전드]] * [[리틀 나이트메어]] * [[리틀 나이트메어 II]] * [[마녀의 집]] * [[마피아42]] * [[문명5]] * 미로섬2: 시간의 잿더미 * [[반교]] * [[발로란트]] * [[비욘드: 투 소울즈]] * [[비트 캅]] * [[서브노티카]] * 수박게임 * [[심즈 4]] * [[시장놀이]] * [[아웃라스트]] * [[야채부락리]] * [[어몽어스]][* 1, 2팀과 함께 했다.] * [[어쌔신 크리드: 오디세이]] * [[언더테일]] * [[역전재판|역전재판 1]] * [[역전재판 2]] * [[염소 시뮬레이터]] * [[오버워치]] * [[Return of the Obra Dinn|오브라 딘 호의 귀환]] * [[와치독스2]]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 * 카르토 * [[카운터 스트라이크]][* 숨바꼭질만 플레이했다.] * [[카타나 제로]] * [[크레이지 아케이드]] * [[Creepy Tale|크리피 테일]] * [[테일즈런너]] * [[파밍 시뮬레이터 19]] * [[포켓몬스터 레츠고! 피카츄·레츠고! 이브이|포켓몬스터 레츠고! 이브이]] * [[하우스 플리퍼]] * [[하토풀 보이프렌드]] * [[히트맨(2016)|히트맨 1]] * [[13일의 금요일: 더 게임]] * [[60초]] * [[60 Parsecs!]] ] }}} == 컨텐츠 == === [[DEAD BY DAYLIGHT]]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BI6fQSXzTp1oTgbP_4mmALh1T1MUElFS|자빱 데바데 보러가기]] 방송 초기부터 해온 게임이다. 게임을 처음 시작할 때, 150시간만에 1랭크를 달성 하였다. 2021년 1월 기준 플레이 타임 1600시간을 돌파했다. === [[모여봐요 동물의 숲]]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BI6fQSXzTp3X0_fKp1FCkgHU_8b7F45R|자빱 모동숲 보러가기]] 섬 이름은 차단의 섬[* 차단의 숲에서 유래]으로 열매는 복숭아, 꽃은 장미이다. 단순 노동[* 지형작, 마일작 등]이 많은 게임인지라 의식의 흐름대로 넘어가는 무근본 토크를 즐길 수 있다. ==== 보유 주민 [* 2021년 4월 기준] ==== || 다람이 || 비앙카 || [[타마유라 브라더스|로야미]][* 뽀야미] || 솔탈리[* 솔미를 칭하는 말로 자빱이 나탈리와 솔미를 동시에 보유하던 시절에 실수로 저렇게 불렀다.] || 아종국[* 아폴로] || 애플 || 잭일이[* 잭슨] || 패치 || 헨리[* 구독자의 섬에서 스톡으로 자연이사 왔다.] || 휴지 || ==== 보유했던 주민 [* 2021년 4월 기준] ==== || 록키 || 아이다 [* 서류심사와 가정방문을 거쳐 선발한 구독자에게 이사보냈다.] || 클레오 || 미미 || 프랭크[* 차단의 섬에 방문했었던 구독자의 집에 스톡 이사 온 것이 제보됐었다.] || 뽕뜨락 2세[* 나탈리, 구독자에게 이사보냈다.] || === [[마인크래프트]]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BI6fQSXzTp2As788jDzOafBqmSyaZyI2|자빱 마인크래프트 보러가기]][* 여기서도 일반 마크 영상은 콘랜드를 포함한 7개 뿐이다(..)] 혼자 플레이하거나, 건축을 하기 보다는 스토리가 있는 컨텐츠를 제작한다. 이어진 문단은 평범한 시참 서버들이다. 클래식한 마인크래프트를 보고싶을 때 추천함. ==== 콘랜드 ==== ||<-2>
'''{{{#ffffff {{{+1 콘랜드}}}[br]CORNLAND}}}''' || || '''{{{#ffffff 재생 목록}}}'''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t3ImOZ4nbq7Ozwwr03AFUAZa-fzdOQzF|[[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비공식 재생목록] || || '''{{{#ffffff 방송 기간}}}''' || 2019년 8월 23일 ~ 2019년 9월 25일 || || '''{{{#ffffff 총 회차}}}''' || 14일차 || 야생에서부터 차근히 마을을 꾸려나가는 시청자 참여형 컨텐츠로, 콘랜드는 시청자가 지어준 이름이다. 일일 평균 '''10시간'''의 엄청난 플레이타임을 자랑하므로 [[https://youtu.be/V5PBFPNyMPc|편집본]]들을 보는 것을 추천. ==== 바니시티 ==== ||<-2>
'''{{{#ffffff {{{+1 바니시티}}}[br]BUNNY CITY}}}''' || || '''{{{#ffffff 방송 기간}}}''' || 2019년 11월 02일 ~ 2019년 12월 25일 || || '''{{{#ffffff 총 회차}}}''' || 13일차 || 대규모 경제서버로 현 1팀+시참자들과 함께 플레이했다. 마지막 화에 잠깐 나온 출연진들의 목소리를 듣고 어떤 스탭인지 유추하는 사람이 많았는데, 엄연히 공식 데뷔 전이므로 현재는 스탭들의 신상 보호를 위해 모든 영상이 내려가 있는 상태이며 공개 예정은 없다. 2020년 12월 25일, 멤버십으로 일부 편집본이 업로드 되었다. 최고급 멤버십을 통해서만 시청 가능. * 바니시티 CLIP - [[https://youtu.be/WHh9p6o3Of0|크리스마스에 바니시티에는 무슨 일이 있었을까?]] ==== 콘토피아 ==== ||<-2>
'''{{{#ffffff {{{+1 콘토피아}}}[br]CORNTOPIA}}}''' || || '''{{{#ffffff 재생 목록}}}'''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t3ImOZ4nbq6_WCyf_Mryu_faHGRzmbnb|[[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비공식 재생목록] || || '''{{{#ffffff 방송 기간}}}''' || 2020년 6월 13일 ~ 2020년 7월 5일 || || '''{{{#ffffff 총 회차}}}''' || 5일차 || 콘랜드와 마찬가지로 야생 시참 컨텐츠이다. 이름의 유래는 콘+[[유토피아]]. ==== 순헌고을:사라진 왕손을 찾아라 ==== ||<-2>
'''{{{#ffffff {{{+1 순헌고을:사라진 왕손을 찾아라}}}[br]}}}''' || || '''{{{#ffffff 방송 기간}}}''' || 2021년 4월 17일 ~ 2021년 4월 24일 || || '''{{{#ffffff 총 회차}}}''' || 2일차 || || '''{{{#ffffff 등장인물}}}''' ||김자빱, 김호랭, 도동개, 독고루미, 류도롱, 박달곰, 허참새 외 || 숙명여대에서 제작한 서버를 자빱과 1팀이 2주간 플레이했다. '''회차''' * 1일차 - [[https://youtu.be/5yH4gTLbirE|210417 생방송 순헌고을:사라진 왕손을 찾아라 1일차]] * 2일차 - [[https://youtu.be/k5r_woZ8jls|210424 생방송 순헌고을:사라진 왕손을 찾아라 2일차]] '''비하인드''' 유튜브 고급 멤버십 및 최고급 멤버십에 가입해야 볼 수 있는 비하인드 영상이다. * 순헌고을 CCTV - [[https://youtu.be/jzTowKYQX_8|과연 다들 돈을 주고 감옥에서 나왔을까?]] * 순헌고을 CCTV - [[https://youtu.be/KBDsRdpP7W0|도롱이가 삭삭이의 목숨과 맞바꾼 것은?]] ==== [[/마인크래프트 스토리 컨텐츠|마인크래프트 스토리 컨텐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자빱TV/마인크래프트 스토리 컨텐츠)] === 월간 하이라이트 === 생방송 중 최고의 장면을 엄선해 월별로 모아 편집한 컨텐츠이다. 월간 하이라이트 #2까지 올라온 후 인력 부족으로 중단되었으나 2021년 4월에 월간 하이라이트 #3을 업로드하며 부활을 알렸다. || '''{{{#ffffff 회차}}}''' || '''{{{#ffffff 해당 월}}}''' || || [[https://www.youtube.com/watch?v=GkdFeAOqtLI|월간 하이라이트 #1]] || 2019년 5~6월 || || [[https://www.youtube.com/watch?v=dHBtvScH3Kg|월간 하이라이트 #2]] || 2019년 7~8월 || || [[https://www.youtube.com/watch?v=umrZd1t6QB4|월간 하이라이트 #3]] || 2021년 2월 || || [[https://www.youtube.com/watch?v=m1hhQDe86fM|월간 하이라이트 #4]] || 2021년 3월 || || [[https://www.youtube.com/watch?v=InbEOlgybuw|월간 하이라이트 #5]] || 2021년 4월 || === 대회[* 2021년 4월 기준] === 다양한 주제의 대회를 주기적으로 개최한다. 아래는 지금까지 진행한 대회 목록이다.[* 비공개 처리된 영상 포함] || '''{{{#ffffff 날짜}}}''' || '''{{{#ffffff 대회 명칭}}}''' || || 2018.12.01 || 제 1회 자빱배 데바데 대회 || || 2019.01.12 || 제 2회 자빱배 데바데 대회 || || 2019.02.09 || 배틀그라운드 시청자 참여 대회 || || 2019.05.11 || 제 3회 자빱배 데바데 대회 || || 2019.05.22 || 데바데 클로뎃 숨바꼭질&김풍 대전 || || 2019.07.13 || 클로뎃 숨바꼭질 게임(데바데) || || 2019.09.21 || 제 2회 비트박스+성대모사 대회 || || 2019.10.19 || 제 4회 자빱배 데바데 대회 || || 2019.12.22 || 제 1회 성대모사 대회 || || 2020.03.29 || 애정 담긴 허벌템 대회 [* 중간에 방송이 터질 정도로 충격적이었다.] || || 2020.04.25 || 히든 전라도인 대회 || || 2020.05.24 || 빱품명품 특이한 물건을 찾아라! || || 2020.06.14~15 || 시청자 모창 대회 || || 2020.06.27 || 채널 아트 대회 || || 2020.08.22 || 추억의 패션 대회 || || 2020.09.19~20 || 똥손대회 || || 2020.11.14 || 허벌템 대회 시즌2[* 당일에는 무사히 방송을 마쳤으나 다음 날 갑자기 방송이 켜지지 않아 퇴마템 대회라는 별칭이 붙었다.] || || 2020.12.15 || 자연풍 섬 도안 컨테스트 || == 논란 및 사건사고 == [Include(틀:사건사고)] === [[남성혐오]] 활동 === 자빱은 원래 '''자겸'''이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했었다. [[보겸]]의 유행어인 [[보이루]](보겸 + 하이루)를 워마드, 메르스 갤러리 등지에서 '보X + 하이루'를 뜻하는 것이라고 받아들이자, 이에 반발하여 '자X + 하이루'를 의도해서 '자이루'라는 미러링 단어를 창조한 것이 출발점이었다. '''"자X 하이루가 아니라 자겸 하이루인데?"''' 라고 주장하기 위해 방송용 닉네임을 "자겸" 으로 정해 방송을 시작했다.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 전엔 [[이자겸]]의 팬이라서 자겸으로 한 거라고 주장하지만, 본인 스스로 "[[한남충|한남]]을 놀려먹기 위해 그런 척하는 게 컨셉이다" 라고 인정하였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witter&no=750547|관련 캡처본]]] 이에 [[보겸]]이 2018년 6월 경, 자빱(자겸)을 고소했으나 약 11개월의 재판 끝에 자빱이 승소하였다. 방송 초창기에 [[남성혐오]] 성향의 글과 유튜브 콘텐츠를 게시했으며, 트위치에서 부적절한 닉네임으로 정지먹은 적도 있다. 이미 여초 사이트에서는 메갈 성향 유튜버들을 응원하자는 취지로 해당 유튜버에 대한 글이 올라온 적도 있다.[* [[https://archive.ph/BCV6a|쭉빵카페 게시글 박제본]]] 재능TV에서 자빱의 영상을 방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https://archive.li/yp0cE|재능TV 방영본 및 남혐 발언 아카이브]] 현재 유튜브에 올라오는 남성혐오 논란과 관련된 댓글들을 전부 삭제하고 있다. 이전에는 페미니스트 시청자층만 끌어들였기 때문에 자기 입장에선 당당하게 남성혐오를 전파할 수 있었으나, 지금은 초등학생 시청자층을 끌어들인 상황이라 한 차례라도 잘못 대처하면 학부모층에 의해 직접 항의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이다. 자빱TV가 보겸에게 한 차례 승소했다고 해서 남성혐오를 지속적으로 해왔던 과거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 국내야구 갤러리와의 분쟁 === [[https://www.dogdrip.net/323769273|요약]][[https://archive.is/IXPEN|@]][* 원글 쪽은 국내야구 갤러리에 있으나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에 의해 아카이브가 불가능하다.][[https://youtu.be/2QB5Q1bx_Ew|영상]] [[보겸]]을 여성혐오자라고 선동하기 위해 자겸이라는 이름을 쓴 자빱TV는 자이루라는 단어를 쓰는 남성혐오성 활동을 하다가 정지를 먹었고, 한 차례 보겸에게 피소되었으나 승소하였다. 남초 사이트에서는 납득하지 못했으며 여초 사이트에서는 승전보를 울렸다. 하지만 이후 자겸은 남성혐오 컨텐츠를 자의든 타의든 한 차례 삭제하고, 자빱TV로 개명해 초등학생 시청자층을 노린 [[마인크래프트]] 등의 컨텐츠를 주로 하여 과거를 세탁하다가 재능TV 채널에 방영되기까지 해서 논란이 되었고 이후 자빱TV는 남성혐오 논란에 휘말렸음에도 초등학생 시청자층을 끌어들이는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만들었다. 페미니스트 교사 세뇌 논란이 공론화되면서 자빱TV가 갑작스럽게 논란에 비판적인 [[국내야구 갤러리]]를 중계하기 시작했는데,[* 중계 영상들은 삭제되었다.] 갤러리의 한 유저가 방송을 찾아와 후원 최소 금액인 2천원을 후원하며 시비성 멘트를 날리자, 방송을 시청중이던 페미니스트들이 보복성으로 갤러리를 테러하기 시작했으며 동시에 "고작 2천원으로"라는 반응을 보이며 자빱에게 하루만에 2천만 원에서 3천만 원 사이의 수익을 안겨주었다. 이후 자빱TV는 야갤을 비롯한 디시 남초갤 및 타 남초 커뮤니티 사이트 등지에서 시급 2천만 원 혹은 시급 3천만 원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페미니스트 교사 조직의 아동 세뇌 및 학대 음모론, version=2891, paragraph=7.4.2)] === 스태프 착취 논란 및 은퇴 === *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58075.html|시급 1천원에 계약조차 없었다…폭로 끊이질 않는 ‘유튜브 노동’]] - 한겨레 * [[https://twitter.com/debatejptv|트위터 계정]][[https://t.co/izNr9Y2Du7|정리글]] 2021년 12월 14일 오후 5시 54분. 자빱TV 2팀 스태프였던 3인이 자빱TV에서 일하는 동안 부당 대우를 받았다는 내용을 트위터를 통해 공론화했다. 무계약 노동, 스태프의 창작물을 별도의 협의없이 영리 목적으로 활용하였다는 것이 주 골자였다. 해당 논란은 기고 2시간만에 1만 7천번 이상 리트윗되는 등 빠르게 확산되었으며 이는 과거 발생하였던 마인크래프트 방송인들의 열정페이 논란과 비슷한 형태를 띄고있다는 점이 이러한 양상에 더 불을 지폈다. 위 논란에서 자빱이 하루 2천만원을 번 날도 있는 등 상당한 수익을 올린것에 비해, 평소 방송에서 여성을 위한다거나 스태프들에게 감사하다고 말은 하면서도 정작 자신이 고용한 여성 스태프들에게는 월급이나 시급으로 환산할 시 최저 임금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수당을 준 것이다. 또한 자빱의 팬덤들이 이 사건을 접하고 비판하는 성소수자 트위터 유저들에게 무지개충과 같은 용어를 쓰면서 성소수자를 차별한다는 논란도 생기며 파문이 일파만파로 퍼졌다. 이후 자빱은 상습적 지각과 과도한 업무 전가에 대해 사과하면서도 스태프들은 프리랜서이며 공론화 문서에 사실과는 다른 부분이 있다며 해명문을 남겼다. [[http://www.topstar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657390|#]][[https://twitter.com/jappaptv/status/1471084347377983493|원문]] 며칠 뒤 구 1, 2, 3팀 스태프와[[https://twitter.com/1teamrumor/status/1473993979238948868?t=Na3RHCAvygkV0SG6NY1n5w&s=19|#]][[https://twitter.com/Jappap2_3team/status/1474419220029280256?t=mgTNmnzBZpkzc54MD8ggow&s=19|#]] 전 프리뷰어[[https://twitter.com/imalhagosip/status/1474576961192480770?t=W51JDo5OQgzWHpco7xPiTA&s=19|#]]의 입장문이 올라와 논란이 심화되었고, 결국 자빱은 12월 26일에 해명문을 게시하면서 은퇴를 선언했다. [[파일:자빱 은퇴.jpg]] 시참자들이 대회 상금, 마크 콘텐츠 출연비를 받지 못했다는 사실이 드러났으나 [[https://twitter.com/hnclxe/status/1474079683147100160|#]][[https://twitter.com/uijeoju/status/1474467174001831936|#]] 차후 당사자들로부터 대회 상금과 출연료가 지급됐다는 인증글이 올라왔다. 자빱이 은퇴한 뒤 여러가지 일들이 겹쳐 일어나면서 입장문들이 나왔고 자칭 연대자측과 자빱TV측 팬덤의 싸움이 끊이질 않았다. 2022년 9월 8일, 기사 인터뷰를 통해 3팀으로 추정되는 스태프 1인이 단편 드라마 3편 참여, 16개 영상을 제작하였으나 자빱의 은퇴 후 급여를 받지 못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2023년 8월 17일에 자빱TV측 4차 변론이 있었다고 한다. [[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유튜버]][[분류:게임 플레이 유튜버]][[분류:2018년 데뷔]][[분류:2021년 은퇴]][[분류:은퇴한 인터넷 방송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