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自]][[首]] == 범인이 스스로 자신의 범죄 사실을 신고하는 것. 자세한 내용은 [[자수(법률)]] 문서로. == [[刺]][[繡]] == 옷감이나 헝겊 따위에 여러 가지의 색실로 그림, 글자, 무늬 따위를 수놓는 일. [[프랑스자수]], [[십자수]], [[스킬#s-3|스킬자수]]를 참조할 것. 과거엔 수공예의 영역이지만 요샌 기계로 하는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C8fa&articleno=16859802&_bloghome_menu=recenttext|컴퓨터 자수]]가 개발되어 기계와 입력할 도안만 있다면 빠르고 편하게 정밀한 도안도 여러 번 자수로 찍어내는 게 가능하다. 컴퓨터 자수를 쓴 옷은 수공예보단 노동비가 덜 들어가므로 싸야 정상이지만 시장 같은 데선 부러 이를 수공예 자수만큼의 값을 받으려고 [[바가지]]를 씌우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하자. 특히 일부 [[한복]] 시장 같은 곳이 이러므로 조심해야 한다. == [[子]][[嗽]] == [[한의학]] 용어로, [[임신]] 중에 [[감기]] 따위로 기침이 나는 증상. == [[自]][[手]] == 말 그대로 자기의 손, 또는 자기 스스로의 노력이나 힘. 또는 자기의 손으로 목을 매거나 베어서 [[자살]]한다는 뜻도 있다. [[범죄/용어|자수범]]의 자수는 1번 항목의 자수가 아니라 이 자수다. == [[自]][[守]] == 행동이나 말을 스스로 조심하여 지킴. 던파 자연의 수호자 세트를 줄여 이렇게 말하기도 한다. == [[觜]][[宿]] == 이십팔수의 스무째 [[별자리]]. == [[髭]][[鬚]] == 입술 위와 턱 아래로 난 [[수염]]. == 字[[數]] == 글자의 갯수를 말한다. 주로 문학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 == 自[[修]] == 비주류 유학에서 나오는 말로 스스로 학문을 닦고 덕행(德行)을 쌓는 것을 의미한다. == [[紫]][[綬]] == 고려-조선시대에 정3품 당상관(堂上官) 이상의 관원이 차던 호패(號牌)의 자주색 술을 의미한다. == 子[[脩]] == 위의 단어는 후한 말의 군웅 조조의 장남으로 자(字)으로서 자세한 것은 [[조앙]]참고 [[분류:동음이의어]][[분류:한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