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과거 '장안운수' 사명을 썼던 의왕시 시내버스 회사, rd1=의왕교통)] [include(틀:고양시의 버스회사)] [목차] == 개요 == [[고양시 마을버스]] 회사로, 본사는 경기도 고양시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사리현로 23 (식사동)에 있다. 주변 회사로는 백마운수, 보람운수, 보은교통, 대덕운수 등이 있다. == 연혁 == 2016년 2월 24일에 두 노선 모두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3월 2일부터 다시 운행이 재개되었다. 그러나 이후에도 운행중단과 재개가 반복되었다가, 2016년 5월 중에 사명이 행주교통에서 자안운수로 바뀌었다. == 특징 == * [[천연가스버스]] 충전은 [[강서공영차고지(서울)|강서공영차고지]]에서 실시하며 2017년 기준 전 차량이 디젤 버스로 교체됐지만 2020년 다시 천연가스버스가 출고되었다. 가끔은 [[선진운수]] 소속 [[서울 버스 702|702A/B]] 종점 겸 영업소인 [[용두동영업소]]의 충전소에서 충전할 때도 있다. * 특이하게도 [[버스정보시스템|위치정보단말기]]나 [[무전기]]를 통해 기사의 목소리나 소통으로 배차를 조율하는 다른 마을버스 회사들과는 달리 이 회사는 음성을 이용한 배차조율이여도 무전기가 아닌 사내 단톡방의 그룹통화로 배차를 조율하는 업체이다. [[카카오톡]]이나 [[Discord|디스코드]]같은 인터넷 메세지의 전화를 이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미 많은 회사들이 단말기 도입과 동시에 무전기를 철거했고, 그에 따라서 무전기를 이용한 무전배차와 같이 음성을 활용한 배차 방식에서 탈피하고 차츰 단말기만 사용하도록 바꾸어 나가는 경우가 많은 시내버스와는 달리 마을버스는 노면이 나쁘고 험한 길을 자주 달리는 경우가 많아서 도로에 대한 소통이 필요하기 때문에 여전히 무전배차를 고수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요즘에는 마을버스도 시내버스처럼 일부 마을버스 회사들은 차내 무전기를 철거하며 무전배차에서 탈피하는 경우가 있다. 이 회사도 차내 무전기를 철거하긴 했으나 아직까지는 노면이 나쁜 길을 자주 달리는 마을버스 특성상 도로 현황 전달이 필수이기 때문에 그룹통화를 이용하여 여전히 음성을 활용한 배차조율을 유지하는듯. == 논란 및 사건 사고 == === 구, 행주교통 과징금 폭탄 및 적자업체 보조금 지급 논란 === 2016년 2월부터 이 두 노선이 적자로 인해 운행 중단과 재개를 반복하면서, 고양시의 보조금을 받고 계속 운영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2016년 4월 7일에 나온 한 기사를 통해 내막이 드러났다.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160407010003167|해당 기사]] 드러난 정황에 따르면 고양시가 구, 행주교통 2개 노선의 운행 중단에 대해 회사 사정을 고려하지 않고 [[갑질|과징금을 부과]]했으며, 금액도 34일 간 운행 중단에 따른 3,400만 원에 이르렀다. 당장 도산해도 이상하지 않은 구, 행주교통의 재정 상황을 생각해보면 큰 부담일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흑자가 난 마을버스 회사에도 노선을 소홀히 할 수 있다는 이유로 보조금을 지급했다는 것이 알려져 큰 파장이 있었다. 업체가 시와 갈등을 겪은 끝에 항의성으로 운행을 중단한 것인지, 수요가 안 된다는 이유로 임의로 운행을 중단한 것인지는 드러나지 않았지만 회사 재정을 고려하지 않고 매뉴얼대로 과징금을 부과한 점은 논란을 빚기에 충분한 사안이다. 설령 이 문제가 아니더라도 적자가 커 운행조차 곤란한 회사에게 보조금을 주지 않고 오히려 흑자가 난 회사에게 보조금을 준 것은 큰 문제임이 틀림없으며, 게다가 이는 구, 행주교통 외에도 적자로 허덕이는 다른 업체에게도 박탈감을 줄 수 있는 행위다. 업체와 시의 협의를 거쳐 수요가 날 만한 곳으로 노선을 변경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해결책이겠지만, 고양시는 [[명성운수|다른 업체]]에게 피해가 가면 안 된다는 입장을 고수해 '''결국 2016년 5월에 행주교통이 도산되었고, 자안운수가 노선을 맡게 되었다.''' == 노선([[고양 버스 011|011번(개편전 15-1번)]]) == * 나루터 - 서원 - 세마을 - 고양시정연수원 - [[행주산성]] - 행주초등학교 - 맨돌 - 능곡화원 - 능곡사거리 - [[능곡역|능곡역(경의중앙선)]], 능곡시장 - 현대1, 2차 아파트 - 능곡고등학교 - 능곡병원 - 토당고가 - [[고양경찰서]] - [[롯데마트 화정점]] - [[덕양구]]청 - [[화정역(고양)|화정역]] * 첫차: 06 : 10 (나루터 출발) / 07 : 35 (화정역 출발) * 막차: 22 : 50 (나루터 출발) / 22 : 00 (화정역 출발) * 배차: 10분 ~ 15분 (통근) / 15분 ~ 20분 (평일, 주말) * 차량: 6대 인가. (면허 : 경기 73 아) - 2747, 2748, 2860, 2078, 2035, 3729 === 이전 운행 노선 === * [[고양 버스 012]]: [[행주산성]] ↔ 행주동주민센터(능곡고교) ↔ [[화정역(고양)|화정역]][* 2016년 9월 9일 부 011번으로 통합.] == 운행 차종 == NEW BS090 디젤 차량을 도입하기 전까지는 중고차만 도입했던 회사였으며, 같은 고양시 마을버스 회사인 [[대림교통]]에서 운행하던 글로벌 900 차량을 중고로 들여온 적도 있었다. 위키백과가 이걸 천연가스버스로 보는 실수를 한 것은 덤. 또한 2020년에 최초로 현대 그린시티를 출고했으며, 2022년에는 최초로 황해자동차 E-SKY 9 모델의 전기버스를 출고하였다. 또한 2023년에는 2013년식 NEW BS090 디젤 차량을 대차하기 위해 황해자동차 E-SKY 9 2대를 추가로 출고했다. 추가로 2023년 11월에 문제가 많던 2016년식 NEW BS090 디젤 차량을 대차하기 위해 BYD NEW e-BUS 9을 도입했다. === [[현대자동차]] ===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황해자동차 === * [[황해자동차 E-SKY|황해자동차 E-SKY 9 전기버스]] === [[BYD]] === * [[BYD eBus 시리즈|BYD eBus9 전기버스]] == 과거 보유 차량 == === [[자일대우버스]] === * [[자일대우버스 레스타|대우 레스타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NEW BS090 뉴 로얄미디 디젤]] [[분류:경기도의 마을버스 회사]][[분류:2016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