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The HU)]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jaya_martinthompsonphotography.jpg|width=100%]]}}} || ||<-2> {{{#gold {{{+1 '''Жаяа | Jaya'''}}}}}} || || '''{{{#gold 본명}}}''' || 갈산잠츠 냠잔찬[* 축복받은 대양(Галсан+жамц)의 아들인, 일요일에 태어난 승리의 상징(Ням+жанцан)][* 활동명인 자야는 운명이라는 의미이다.][br]Галсанжамц Нямжанцан[br]Galsanjamts Nyamjantsan || || '''{{{#gold 생일}}}''' || 1982?년[* 나잇대가 들어맞으면서도 10월 17일이 일요일이었던 해를 추려 추정한 것이다.] 10월 17일 || || '''{{{#gold 포지션}}}''' || [[주즈하프|아망 호르]]ㆍ[[초르]]ㆍ[[림베]] 주자, 보컬 || || '''{{{#gold 상징}}}''' || 황색, 바람 || || '''{{{#gold 학력}}}''' || 몽골국립예술문화대학교[br]{{{-2 Соёл урлргийн их сургууль, '05년 졸업}}} || || '''{{{#gold 가족}}}''' || 아내 어르서 앙흐투야[br]여동생 갈상 파그마[br]남동생 갈상 야다마 || || '''{{{#gold SNS}}}''' || [[https://www.instagram.com/nyamjantsangalsanjamt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m.facebook.com/nyamjantsan.galsanjamt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몽골의 헤비메탈 밴드 [[The HU]]의 멤버 '''자야'''에 관한 문서. == 세부 정보 == 장발과 다소 높은 음색이 트레이드마크인 멤버이다. 가장 좋아하는 연주 파트로 [[Shireg Shireg]]을 꼽았다. 좋아하는 음식은 새우와 버섯. 특히 새우는 보자마자 괴성을 지를 정도로 좋아한다. 해산물에 친숙하지 않은 몽골 유목민 출신임에도 이례적인 사례이다. 요리 실력도 꽤나 좋은지 밴드의 브이로그 컨텐츠인 HU's in the kitchen? 에서도 메인 셰프를 주로 도맡는다. 키가 177인 제이코비 샤딕스보단 조금 작고 174인 김학도보단 크니 키가 175~6 정도로 추정된다. ==# MV에서 #== {{{+1 [[Yuve Yuve Yu]] 오리지널}}} 멤버들 중 제일 처음으로 등장. 한 카페의 테이블에 앉아 다리를 떨면서 스마트폰에 열중하는 모습. 신발은 밑창과 끈이 노란색인 검은 운동화이고, 머리는 묶고 있다. 엔후쉬와 마찬가지로, 자야의 폰 화면도 제멋대로 바뀐다. 자야의 폰에는 갈색 바위산이 떠있다. || [[파일:Thehu-Jaya.jpg|width=100%]] || 옷을 갈아입고, 화면으로 보았던 바위산 위에 서서 불어오는 바람을 느끼며 리듬을 탄다. 풀어 늘어뜨린 머리카락이 휘날린다. 갈라가 시작한 노래에 합류해 목소리를 더한다. 한 숲 속에 들어가 있는데, 베여서 밑둥만 남은 수많은 나무들이 눈에 띈다. (계속 노래) 간주가 시작되자 주즈하프를 연주한다. (계속 노래) 손을 치켜들고, 눈을 감은 채 위를 올려다보면서 노래를 마친다. ---- {{{+1 [[Wolf Totem]] 오리지널}}} 본격적인 노래가 시작되고서야 등장. 갈라의 선창을 따라 노래를 부른다. 옷은 Yuve Yuve Yu 때와 같다. 계속해서 노래를 부르다가 간주 때는 몸을 흔들기만 한다. 2절이 시작되고, 갈라와 입을 맞추어 함께 노래 부른다. 연주를 해야 하는 다른 멤버들과는 달리 손이 자유로운 덕에, 주먹을 치켜들고 폭주족들과 함께 힘껏 내지른다. (계속 노래와 연주) ---- {{{+1 [[Wolf Totem]] 콜라보}}} 어두운 밤에 차량을 타고 나타나는 자코비 섀딕스의 뒤를 이어 또다른 차량에서 내리는 4인의 The HU 멤버들. 붉은 빛으로 가득 찬 굴을 지난다. (노래 시작) 자코비 섀딕스와 마주 보거나, 그의 좌편에 서서 자코비 섀딕스의 선창을 따라 노래를 부른다. 이번에는 다시 오리지널처럼 갈라의 선창을 따라 노래를 부른다. 다같이 흐미를 부른 후, 자코비 섀딕스의 노래에 맞추어 흐미로 추임새를 넣는다. (간주) 간주가 끝나고 다시 노래로 들어간다. 노래를 선창하고, 다들 이를 따라 노래를 부른다. 엔후쉬의 선창을 따라 노래를 부른다. 머리를 흔들고 함성을 내지른다. 자코비 섀딕스를 따라 다시 붉은 빛의 굴로 들어가며 퇴장한다. ---- || [[파일:자야tgck.jpg|width=50%]][[파일:자야tgck2.jpg|width=50%]] || {{{+1 [[The Great Chinggis Khaan]]}}} 멤버들 중 제일 먼저 등장해 설산을 배경으로 노래를 부르기 시작한다. 자리에 앉아서 왼손으로 무릎을 짚고 있다. 군청색 바탕에 은색 바람 문양으로 포인트를 준 [[델(의복)|델]] 위에, 빨간 옷깃을 단 두터운 검은 가죽 외투를 껴입고 깃털로 장식한 검은 털모자를 썼다. 눈은 새하얗다. 바람에 날리듯 실선이 되어 사라지고, 갈라로 넘어간다. 엔후쉬 이후 다시 잠깐 등장해 노래한다. 간주 부분, [[주즈하프|어멍 호르]]를 입에 물고 연주를 시작한다. (계속 노래) ---- {{{+2 [[Black Thunder]]}}} ---- {{{+2 [[Song of Women]]}}} ---- {{{+1 [[Sad But True(The HU)|Sad But True]]}}} == 가족 관계 == 아내와 딸들이 있는 가장이다. 아내의 이름은 어르서 앙흐투야{{{-2 (Орсоо Анхтуяа)}}}이다. 2020년 말 기준, 갈라와 약혼한 사이인 갈상 파그마{{{-2 (Галсан Пагмаа)}}} 씨가 바로 자야의 여동생이다. 조만간 결혼하게 되면 사돈 지간이 되는 것이다. (파그마 씨의 SNS에서 사진을 찾아보면 오빠와 꽤나 닮았다.) 2009년 몽골인문대학교를 졸업한 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공부하여 한국 문화에 익숙한 것으로 보인다. 당장에 인스타와 페이스북에 한국 관련 게시물이 수두룩하니 참고하면 좋다. 페이스북을 더 즐겨하는 듯. [[https://www.instagram.com/pagmagalsan/|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m.facebook.com/pagmaa.galsan|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남동생인 갈상 야다마{{{-2 (Галсан Яадамаа)}}} 씨는 현재 서울에 거주 중이며, 직장은 페이스북 앱이라 되어 있다. 이런저런 일로 한국과 가장 연관이 깊은 듯한 멤버라 할 수 있겠다. == 과거 모습 == 소를 키우는 유목민 출신이다. 아버지를 따라 음악가가 되었으며, 음악학교를 가기 위해 중학교를 중퇴했다. 그리고 그 결과 유명한 전통 음악가가 되었다. 국립음악원에서 10년 간 교사로 재직하였으며, 밴드에 가입한 2016년에는 전통음악가로서 큰 상을 받았다. 그 시절엔 가로로 부는 피리인 [[림베]]를 연주했으나 The HU에 온 뒤론 연주하는 모습을 보인 적 없다.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사이트에서도 그의 이름을 찾아볼 수 있다. [[https://heritage.unesco.or.kr/림베의-민속-장가長歌-연주-기예-순환호흡법/| ]] 또한 과거 사진을 보니 마두금과 비슷한 악기인 [[이킬]]도 다룰 줄 아는 듯. [youtube(JTHmsBJvGoY)] 2007년 3월 10일 [[흐미(창법)|흐미]] 가수로서 한국 방송 [[스펀지(KBS)|스펀지]]에 [[스펀지(KBS)/2007년, 2010년|출연]]한 바 있다. 같이 나온 인물은 또다른 몽골 포크 밴드인 허슥틍{{{-2 (Хөсөгтөи)}}}의 멤버. 갈라, 엔후쉬와는 2007년부터 몽골리안 포크 밴드 알탱 오르길{{{-2 (Алтайн Оргил)}}}로 뭉쳐 투어를 다녔을 정도로 이미 친분이 있던 사이였다. [[분류:The HU]] [[분류:몽골의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