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GiantRex-OW.png]] || 한글판 명칭 ||<-4>'''자이언트 렉스'''|| || 일어판 명칭 ||<-4>'''ジャイアント・レックス'''|| || 영어판 명칭 ||<-4>'''Giant Rex'''||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땅 || 공룡족 || 2000 || 1200 || ||<-5>상대 필드 위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때, 이 카드는 공격 선언할 수 없다.||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 등장했던 오리지널 몬스터. [[티라노사우루스|렉스]]라는 이름과는 달리 생김새는 [[스피노사우루스]]에 가깝다. 시리즈상으로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노아 편|노아 편]]에서 [[카이바 노아]]가 [[카이바 세토]]와의 듀얼 중 소환한 것으로 처음 등장. 카이바의 [[스피어 드래곤]]을 박력 넘치게 물어뜯어 집어던졌지만, 다음 턴에 노아 본인이 발동한 [[디페스트 임팩트]]에 의해 빙하기가 찾아와서 몸이 얼어붙어 산산조각난다. 이후 [[기적의 방주]]의 [[덱 마스터]] 능력에 의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되었으나, 카이바의 [[트와이라이트존 드래곤]]의 공격에 파괴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도마 편|도마 편]] 161화에서는 공룡 덱 사용자인 [[다이나소 류자키]]가 [[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에서 사용. [[오리컬코스의 결계]]로 공격력이 강화되어 [[칠흑의 표범전사 팬서 워리어]]와 [[희생양(유희왕)|양 토큰]]을 격파한 후, [[타이란트 드래곤]]의 소환 제물이 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선 마찬가지로 공룡 덱 유저인 [[티라노 켄잔]]이 몇 번 사용했다. [[마루후지 쇼]]와의 듀얼에서 첫 등장하여 [[비크로이드#서브마린로이드|서브마린로이드]]를 전투 파괴했으나, 다음 턴에 [[비크로이드#구조구급로이드|구조구급로이드]]의 공격에 파괴되었다. [[사이오 타쿠마]]와의 듀얼에서는 선공 첫 턴에 소환되었으나, 다음 턴 [[아르카나 포스|아르카나 포스 I-더 매지션]]의 공격에 파괴되었다. [[제넥스(유희왕 GX)|제넥스]]에서 2학년생과의 듀얼에서는 벽 몬스터를 격파하지 못해 그대로 [[다크 티라노]]의 소환 제물이 되었다. 상기한대로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카드가 아무런 관계도 없는 듀얼리스트들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오는 사례는 지극히 드문데다, 아직 OCG화도 되지 않은 카드가 두 작품 이상에서 사용되는 것 또한 드물다[* [[유희왕 GX]]에서 [[만죠메 쥰]]이 아직 OCG화되지 않은 [[방어륜]]을 사용한 사례도 있긴 하다.]. 이렇듯 등장 횟수가 제법 되었음에도 어쩐지 OCG화는 이루어지지 않고 그냥 지나가버리는 듯 보였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GiantRex-GB8-JP-VG.png]] || 한글판 명칭 ||<-4>'''자이언트 렉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ジャイアント・レックス'''|| || 영어판 명칭 ||<-4>'''Giant Rex'''||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흙마족 || 공룡족 || 2000 || 1200 || ||<-5>눂은 공격력을 자랑하는 공룡. 노린 먹잇감은 반드시 숨통을 끊는다.|| OCG화 이전에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에서 [[일반 몬스터]]로 먼저 등장했다. 코스트가 높아 덱에 선뜻 투입하기엔 부담스럽지만 능력치가 우수한 하급 몬스터라 어태커로 활약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일러스트의 구도와 컬러링 등이 원작과 OCG와 다르게 나왔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ジャイアント・レック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자이언트 렉스, 일어판명칭=ジャイアント・レックス, 영어판명칭=Giant Rex, 속성=땅, 레벨=4, 종족=공룡족, 공격력=2000, 수비력=12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는 직접 공격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제외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의 공격력은\, 제외되어 있는 자신의 공룡족 몬스터의 수 × 200 올린다.)] 직접 공격할 수 없는 [[지속효과]], 제외되었을 경우에 자신을 특수 소환하고, 제외된 자신의 공룡족 몬스터 수만큼 공격력을 올리는 [[유발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애니메이션에서 첫 등장한 2002년 7월 23일로부터 15년 가까이 지나서야 [[컬렉터즈 팩]] 2017에서 OCG화 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재방송 및 [[공수의 고동]]으로 공룡족이 푸시받던 것에 힘입어서 나온 듯. 일러스트는 더 역동적으로 변했으며, 제외 관련 공룡족 서포트 카드와의 연계를 상정한 효과가 추가되었다. 단순히 어태커로 사용하기에는 디메리트가 없는 [[메가로스매셔X]]에게 밀리며, 제외 관련 공룡족 몬스터로 보아도 공격력의 폭등을 노릴 수 있는 [[디노 인피니티]]가 존재해 사용한다면 ②의 효과를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환창의 미세라사우루스]]나 [[시공초월]] 등의 카드와는 궁합이 좋고, 어디서 제외되든 조건 없이 효과를 발동할 수 있으므로 [[봉인의 황금궤]] 등으로 덱에서 바로 제외하여 특수 소환할 수도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컬렉터즈 팩|COLLECTORS PACK 2017]] || CP17-JP03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Battles of Legend: Light's Revenge || BLLR-EN027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컬렉터즈 팩|컬렉터즈 팩 2017]] || CP17-KR03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분류:유희왕/OCG/공룡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