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22년 발발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 rd1=자포리자 공세, other2=러시아 지배 하의 자포리자주, rd2=자포로지예주)] [include(틀:우크라이나의 행정구역)] ||<-3> {{{#e51662 {{{+1 '''자포리자주'''}}}[br]'''Запорізька область | Запорожская область'''}}} || ||<-2> [[파일:자포리자 주기.svg|width=100%]] || [[파일:자포리자 주장.svg|width=55%]] || ||<-2> '''주기''' || '''주장'''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Запорізька область, 너비=100%, 높이=100%)]}}} || ||<-3> '''{{{#ffffff 행정}}}'''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가 주 일부를 점령하고 있다.] || || '''주도''' ||[[자포리자]] || || '''시간대''' ||UTC+2[br]UTC+3 {{{-2 (서머타임)}}} ||}}}}}}}}} || ||<-3> '''{{{#fff 인문 환경}}}'''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인구''' ||<-2>1,666,515명^^[[2021년|(2021년)]]^^ || || '''인구 밀도''' ||<-2>61.1명/㎢ || || '''면적''' ||<-2>27,183㎢ ||}}}}}}}}} || ||<-3> '''{{{#fff 정치}}}'''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주지사''' ||<-2>유리 말라슈코[* Юрій Малашко] || }}}}}}}}} || || '''설립''' ||<-2> 1939년 1월 10일 || || '''ISO 3166-2''' ||<-2> '''UA-23''' || || '''공식 사이트''' ||<-2> [[http://www.zoda.gov.ua/|[[파일:자포리자 주장.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자포리자주'''는 [[우크라이나]] 남동부의 주로, 주도는 [[자포리자]]이다. 면적은 27,183㎢에 인구는 2021년 기준 1,666,515명이다. == 주요 도시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자포리자]] (주도)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훌리아이폴레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오리히우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멜리토폴]] ([[자포로지예주|러시아령 자포로지예주]]의 실질적 주도)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베르댠스크]]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에네르호다르]]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폴로히]]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바실리우카]]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토크마크 == 어원 == [[파일:Ukraine-Zaporozzhya.png]] 역사적 자포리자 지역 자포리자는 "급류 너머의 땅"이라는 뜻이며 [[드니프로 강]] 급류[* [[키이우]]에서 [[드니프로]]까지 남동쪽으로 흐르던 [[드니프로 강]]이 드니프로에서 유로를 남쪽으로 돌려 자포리자까지 남쪽으로 흐르는 구간이다.] 너머의 땅이라 붙여진 이름으로 [[카자크#s-3.1|자포리자 코자키]]가 활동하던 지역이었다. 자포리자주의 문장도 총을 든 코자키다. 다만 역사적 자포리자의 범위와 오늘날 자포리자주는 차이가 있다.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도네츠크주]]와 [[크림 공화국]] 사이에 있는 주라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러시아가 이 지역을 점령하면 두 지역이 연결되는 셈이다. 2022년 3월 4일 우크라이나 침공 8일차에 러시아군이 이 지역의 [[에네르호다르]]에 있는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를 포격했다.''' 다행히도 화재는 진압했다고 한다. 결국 러시아가 자포리자주 남부 대부분을 점령하여 돈바스와 크림반도를 연결하는데 성공하였지만 주 북부에 있는 주도 [[자포리자]]시는 여전히 우크라이나가 통제하고 있다. 2022년 8월 기준 대략 자포리자주의 북부 1/3은 우크라이나가, 중남부 2/3은 러시아가 통제하고 있다. 현재 헤르손, 돈바스 전선과 마찬가지로 고착된 상태다. 러시아는 자신들이 점령한 남부 지역에 [[자포로지예 군민정청]]을 설치해 통제하고 있다. [[우크라이나의 9월 공세]]로 전황이 긴박하게 돌아가자 9월 23일부터 27일까지 [[우크라이나 점령 지역의 러시아 편입에 관한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 2022년 9월 29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자포로지예주]]와 [[헤르손주]]의 독립을 승인하는 대통령령에 서명했다. 2022년 9월 30일 현지시각 오후 3시에 [[자포로지예주|일부 지역]]이 러시아 연방에 편입되었다. [[오리히우 전투]] 이후 우크라이나가 탈환하고자 하는 오리히우 전선 너머의 핵심 교두보 토르마크(Токмак)는 자포리자주 핵심도로 5개가 교차하는 교통허브이며 우크라이나 남부를 대표하는 요충지로 크림반도를 통하는 육교를 끊어 러시아의 보급로를 차단하려면 반드시 이 곳을 통해 멜리토폴과 아조우해로 나아가야 한다.[[https://m.kmib.co.kr/view.asp?arcid=0924319029&code=11141500|#]]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자포리자, paragraph=2, version=28)] [[분류:자포리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