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게임 용어]][[분류:자폭 병기]] [목차] == 개요 == [[자폭]]으로 적을 공격하는 [[유닛]]을 뜻한다. == 대상 == 현실을 반영한 게임에서는 현실에 따라 주로 인명을 경시하거나 종교적 광신에 빠진 세력이 자폭 유닛을 운용한다. SF 같이 비현실적인 매체에서도 자폭 유닛은 [[저그]]와 같은 비인간체이거나 [[로봇]]일 때가 많다. 무인 무기가 아직 제한적인 현실과는 달리 게임에서는 설정상 [[무인]] 개체인 것에도 원격 명령을 내릴 수 있으므로[* 다만 게임에서도 포탄, 총알 같이 발사 후 궤도 조정이 불가능한 소모성 장비는 게임 내 오브젝트로 구현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평범한 [[폭탄]]도 자폭 유닛으로 간주될 수 있다. 가령 현실에서 [[지뢰]]는 사람이 탑승하는 병기가 아니기 때문에 자폭 병기라고 하지 않지만,[* 물론 [[어뢰]]처럼 보통 무인 병기로 사용되는 것도 [[가이텐]]처럼 사람이 탑승하면 [[자폭 병기]]로 분류된다.] [[스타크래프트]]의 [[거미 지뢰]]는 유닛 선택이 가능하고 [[HP]]도 갖추고 있는 등 유닛으로서의 요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자폭 유닛으로 분류된다. == 특징 == 자폭 유닛은 공격과 동시에 유닛이 사라지기 때문에 다른 유닛과는 차별화된 운용이 필요하다. 일단 기본적으로 [[일회용]]이기 때문에 [[아끼다 똥 된다|본진에 박아두고 있어봤자 소용이 없고]] 강력한 [[회전력]]으로 밀어붙이는 전술이 강제된다.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의 저그는 1에서 [[스커지]], 2에서는 [[맹독충]]이 자폭 유닛이면서 기본 병력 유닛인데, 안 그래도 회전력이 중요한 저그의 특성과 잘 부합하는 편이다. 데미지는 대체로 일반 공격에 비하면 압도적으로 강력하다. 현실에서도 자폭 공격이 좀 더 파괴적일 때가 많으니 그럭저럭 현실 반영이 되는 셈이다. 다만 현실에서는 생존과 귀환을 위해 폭발물의 양을 조절할 필요가 없기에 그런 것이지만 게임에서는 유닛 상실에 대한 보상 차원에서 그렇게 설정하는 것이다. 자폭으로 공격하면서 일반 유닛과 데미지가 같다면 아무도 자폭 유닛을 쓰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또 비싸고 매우 강력한 자폭 데미지를 주는 유닛은 또 생각보다 적다. 너무 강력하면 밸런스상 가끔만 쓸 수 있게 조정을 할 수밖에 없고 그러면 자연히 활용도가 낮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일례로 자폭 유닛은 아니지만 스타크래프트의 [[핵 격납고|핵]]은 현실 [[핵무기]]의 위력을 반영하여 매우 강하고 쓰기 어렵게 만들어져있는데 그 때문에 게임 출현 빈도가 매우 낮다.] 대개 현실의 [[폭탄]]과 같이 [[스플래시]] 데미지를 주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 데미지가 (이 역시도 현실과 유사하게) [[피아식별]]을 하지 못할 때가 많아 이웃 유닛의 자폭 데미지에 다른 유닛까지 우수수 죽는 현상이 벌어지곤 해서 하나씩 들이받는 세세한 [[컨트롤]]이 필수적이며 [[어택땅]]은 금물이다. 특히나 위에서 다룬 대로 자폭 유닛의 데미지는 제법 강력하게 설정되므로 더욱 그렇다. 일례로 [[스타크래프트]]의 [[감염된 테란(유닛)|감염된 테란]]의 데미지는 피아식별이 안 되기 때문에 컨트롤이 매우 번거롭다. 한편 [[스타크래프트 2]]의 [[맹독충]]은 피아식별이 되는 스플래시 데미지이기에 공격이 훨씬 간편하다. 피아식별이 되는 공격 기능을 갖추고 있더라도 데미지가 큰 특성상 여러 유닛이 한 유닛에게 들이받으면 [[딜로스]]가 날 때가 많기 때문에 적절히 나눠주는 컨트롤이 필요하다. 반면 [[HP]]는 낮게 설정되어 있는 편이다. 강력한 한 방을 노리는 유닛이 다가오는데 튼튼하기까지 하면 밸런스가 안 맞기 때문이다. 대신 [[은폐]] 기능을 넣어 몰래 들이받을 수 있게 한 게임들이 종종 있다. 보통은 자폭 유닛이 아닌데 특수 기능으로 자폭 기능이 있는 유닛들도 있다. 평범하게 운용하다가 [[HP]]가 다 떨어졌거나 고립되어 살릴 수가 없을 때 자폭 기능을 사용하곤 한다. 현실에서 자폭 공격의 폭탄은 사용자의 안전을 굳이 보장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조작이 아닌 적에게 공격을 받더라도 터질 수 있게 해둘 때가 많지만[* 이는 적이 자길 공격해서 쉽사리 자폭을 저지하지 못하게 하는 [[미치광이 전략]]의 일환이기도 하다.] 게임의 자폭 유닛은 적에게 죽을 때에는 폭발하지 않을 때가 많다. 이 역시 적이 자폭 유닛에 대응할 수 있게 하는 밸런스 차원의 시스템이다. == 인식 == 현실의 [[자폭 병기]]에 비해서 꽤 흔한 편이다. 그도 그럴 게 게임상의 유닛은 실제 사람이 아니므로 [[인권]] 문제가 덜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비교적 현실적인 게임들은 현실의 자폭 병기를 묘사하고 있기에 조금 마음에 걸릴 수 있다. 단, 위에서 보듯 현실에서는 무인 장비여서 자폭 병기로 간주하지 않는 것들도 유닛으로는 분류되어 자폭 유닛으로 볼 수 있는 예들이 있는데, 이러한 것은 그냥 평범한 폭탄이므로 딱히 윤리적인 문제가 없다. 간혹 이런 자폭 유닛을 [[의인화]]한 매체에서는 자폭을 구현하는 것이 껄끄러울 때가 있다. [[슈퍼마리오 시리즈]]의 [[폭탄병]]은 [[폭탄]]을 의인화한 캐릭터인데 실제 폭탄처럼 자폭하면 좀 그렇기 때문에 실제 폭탄과는 달리 죽지는 않는 설정이었다.[* 한편 [[폭탄병(페이퍼 마리오 종이접기 킹)|이 게임의 폭탄병]]처럼 실제로 자폭하는 경우도 있다(스포일러).] == 목록 == * [[니어 오토마타]] * [[요르하 2호 B형]]: 이유는 불명이지만 자폭 기능이 장착되어 있으며, 시전시 주위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본인도 체력 1 남기는 무시무시한 기술. * [[닌자 가이덴 시리즈]] * [[LOA(닌자 가이덴)|LOA]] * [[다크 레인]] * 마티어, 쇼크웨이브, 자폭 좀비, EMP 디바이스. * [[다크레인 2]] * 벌컨 지뢰 * 저거넛 * 토그란 광신자[* 캠페인 등장 중립유닛.] * [[다크 콜로니]]: 센티넬, 슬롬[* 엄밀히 말하면 이동식 지뢰로 분류되는 유닛이다.] * [[도미네이션즈]]: 이벤트 병력 중 [[코끼리 궁수?(도미네이션즈)]]에서 미군이 2차 세계대전에서 박쥐에 묶인 소이탄을 프로토타입으로 개발했다고 언급된다. * [[리그 오브 레전드]]: [[코그모]] * [[VEGA Conflict]]: 불안정 반응로, 미르: 전자는 함선 격침 시 자폭하는 기능을 탑재한 엔진이며, 후자는 자폭 드론이다. * [[브레이크 에이지]] * 트릭 스타: 제로팀이 신형기를 테스트할 때마다 회선에 침입해 파괴공작을 해오는 크림슨을 저지하기 위해 회장과 부회장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VP. 스텔스 기능에 크림슨에게 달라붙어 질질 늘어붙는 강철 와이어 따위를 이용해 뽈뽈거리며 방해하다가 머리를 파괴당하자 보조팔을 꺼내 크림슨을 붙들더니 "이 기체는 너희들에게 조금이라도 타격을 입히기 위해 만들어졌다." 라는 유언(...)을 남기고 자폭. 다른 화에서는 초보 여중생 아이들이 게임에 우르르 들어와 가르쳐달라고 엉겨붙자 느닷없이 자폭해서 도망쳐버리기도 한다. 장난기로 점철된 VP지만 괴짜 실력자인 회장이 총력을 다한 만큼 상당히 고성능이고 무기체계가 단순해 운용하기 쉬워서[* 무기가 근접전용 고주파 진동 낫과 유도미사일 뿐이고 적과의 거리에 따라 자동으로 전환된다.] 이후 제품화까지 이루어졌다. * [[슈퍼로봇대전]] : [[자폭(슈퍼로봇대전 시리즈)|정신 커맨드 자폭]] * [[스타 컨트롤]]: 쇼픽스티 스카웃(Shofixti Scout): 'Glory Device'라는 자폭장치를 탑재하고 있다. * [[스타트렉]] : [[자폭 시스템(스타트렉)]]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 [[감염된 테란(유닛)|감염된 테란]] * [[맹독충]] * [[갈귀]] * [[거미 지뢰]] * [[폭발성 감염체]] * [[아마게돈]]: 블레임, 스매셔 C(블레임 적재시), 캐슬 전략형(블레임 적재시), 지구연합군 메인 베이스[* 본진 건물이지만 최후의 수단으로 자폭시킬 수 있다.], 후긴(엘카군 공중 기뢰) * [[아머드 코어 시리즈]]: [[AMIDA]] * [[아트록스(게임)|아트록스]]: 정커, 화이어[* 에스코모이드에서 봄거를 부착한 경우 자폭유닛으로 활용 가능.] * [[Earth 2140]]: * 실버 T, 골리앗 * 앤드로이드 A04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시리즈]] & [[라이즈 오브 네이션즈]]: [[화공선]] * [[엠퍼러 : 배틀 포 듄]] * 새보투어[* [[오르도스]] 가문 전용 유닛으로 이전작인 [[듄 2]], [[듄 2000]]에도 등장했다.] * 대공기뢰 * 하늘의 눈 * 인필트레이터 * [[디베스테이터(듄 시리즈)|디베스테이터]] * [[오버워치]]: [[D.Va]]의 로봇. 설정상으로는 비상용 자폭장치가 달린 것에 불과하지만 본 게임에서는 이게 궁극기다. 널 섹터의 폭탄 로봇도 자폭 유닛이다. * [[워크래프트 시리즈]] * [[드워프 폭파 분대]] * [[고블린 공병]] * [[트롤 박쥐기수]] * [[Warhammer 40,000]]: [[사이클롭스(Warhammer 40,000)|사이클롭스]] 원격 조종 폭파 차량 * [[Warhammer 40,000: Dawn of War 2]]: [[카오스 스페이스 마린/Warhammer 40,000: Dawn of War 2|카오스 스페이스 마린]]의 [[헤러틱]], [[오크/Warhammer 40,000: Dawn of War 2|오크]]의 [[스톰보이즈]] * [[Warhammer 40,000: Space Marine]]: 자폭 [[스퀴그]] *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 *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선]]: [[헌터 시커]] * [[커맨드 앤 컨커 3 타이베리움 워]]: [[광신도(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광신도]]([[Nod]]의 자폭병) * [[커맨드 앤 컨커 4 타이베리안 트와일라잇]]: [[비세로이드]] *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애프터매스]] * [[M.A.D 탱크]]: 하지만 이쪽은 자폭 시에 생물에는 피해가 없는 충격파를 발생시켜 공격하는 병기이므로 차량의 조종사는 무사하다. * [[데몰리션 트럭]]: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2에서도 [[리비아]]의 고유 차량으로 등장한다. * [[커맨드 앤 컨커 제너럴]] * [[폭탄 트럭]]([[GLA]]의 자폭 차량) * [[테러리스트(커맨드 앤 컨커 제너럴)|테러리스트]]: 테러리스트가 중립 민간차량에 탑승하면 카 밤(Car Bomb)이 된다. 또한, [[론달 유지즈]]가 자폭 업그레이드를 마치면 모든 유닛이 자폭을 할 수 있게 된다. [[스랙스 박사]]는 독소 테러리스트로 유닛 교체. *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2]] * [[크레이지 이반]]: 이쪽은 죽을 때에만 [[자폭]]한다. * [[테러리스트]]: [[쿠바]]의 고유 자폭병. *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3]] [[욱일제국]]은 [[카미카제]]로 유명한 [[일본 제국]]을 모티프로 한 세력인지라 유난히 자폭 유닛이 많다. 나노로봇 기술이 발달했다는 설정이라 [[버스트 드론]] 같은 무인 로봇을 자폭시킬 때도 있지만 [[야리 소형 잠수정]],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3/스킬|진영 스킬 중 "마지막 편대", "명예 제대"]]처럼 사람이 자폭할 때도 많다. * [[KKND2]]: 카미카제, 마티어, 미켈란젤로 * [[클래시 로얄]] * [[해골 돌격병(클래시 로얄)|해골 돌격병]] * [[아이스 스피릿]] * [[파이어 스피릿]] * [[힐링 스피릿]] * [[클래시 오브 클랜]]: [[해골 돌격병]] * [[킹덤 언더 파이어]] * 섀도우 퍼펫: [[버로우]] 후 이동 기능을 갖추고 있어 몰래 적 부대 사이에서 자폭할 수 있다. * [[택티컬 커맨더스]] * 봄 스쿼드: 자폭 전용 유닛은 아니고 지뢰 매설/해체나 다이너마이트 설치같은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미국버전 택컴인 Shattered Galaxy에서는 자폭기능이 탑재된 리액터를 장착한 유닛은 모두 자폭 가능. * [[테일즈크래프트]] * 메카밤 * [[토탈 어나이얼레이션]] * Invader, Roach: 자폭 전용 유닛 외에 일반 유닛이나 건물들도 자폭 단축키로 자폭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 [[토탈 어나이얼레이션: 킹덤즈]]: 카미카제 랫 * [[토탈 워: 워해머]]: [[토탈 워: 워해머 2/뱀파이어 코스트|뱀파이어 코스트]]의 불어터진 시체, [[토탈 워: 워해머 3/쿠가스|역병아비 쿠가스]]의 스킬 너글링타이드로 소환된 [[너글링]] * [[톰 클랜시의 디비전]]: 클리너의 RC카, 대인 유도 지뢰 * [[톰 클랜시의 디비전 2]]: 하이에나 통신병과 클리너 저격수의 RC카, 블랙터스크 드론 기술자의 자폭 드론, 아웃캐스트 돌격병. * [[팀 포트리스 2]]: [[MvM]] 모드의 [[Mann 대 기계 모드/로봇#s-2.1|'센트리 버스터']] * [[헤일로 시리즈]] * [[엉고이]] 자폭병 * [[플러드]] 배양변이 * [[Fate 시리즈]] * [[아라쉬(Fate 시리즈)|아라쉬]]의 보구 [[스텔라(Fate 시리즈)|스텔라]]: 아라쉬 본인이 강력한 한 방을 쓰고 소멸한다. * [[진궁(Fate 시리즈)|진궁]]의 보구 [[기각일진]]: 진궁이 자신을 제외한 아군에게 마술회로 임계장치를 달아 적진으로 돌격시켜서 자폭한다. 너무 비도덕적이라서 화살 한 발을 날리면 적진에서 폭발이 일어나고 아군이 어쩌다 보니 죽어 있는 모습의 환술로 눈속임을 건다. * [[하베트롯(Fate 시리즈)|하베트롯]]의 스킬 신부의 수호자: 이 스킬을 다른 서번트에게 걸면 다음 턴에 하베트롯이 소멸한다. 그래서 이 스킬을 다른 서번트에게 걸고 적에게 보구 [[블랙 배럴|스핀스터 하베트롯]]을 쏘는 방식으로 자폭 병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 [[크립터(Fate 시리즈)|크립터]]의 대영주(시리우스라이트): 특이점에서 인리 수복을 못하고 패배하면 마술회로를 폭주시켜 자폭 하면서 특이점채로 소멸하더라도 인리 수복을 완수하라는 뜻으로 [[마리스빌리 아니무스피어]]가 새겼다. * [[포켓몬스터 시리즈]] * [[대폭발(포켓몬스터)|대폭발]]을 사용하는 포켓몬 * [[PLANETARY ANNIHILATION]]: Boom, Manhattan == 유사 유닛 == * 직접공격 외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모성 유닛들도 있다. * [[문명 5]]의 위인(문명 6에서는 노동자, 공병 포함), 종교 유닛은 기능을 몇 번 사용하면 소모된다. * [[배틀렐름]]에서는 [[드래곤 클랜]]의 최고 [[테크]] 유닛인 사무라이를 4기 희생하여 강력한 범위 데미지를 쓸 수 있다. * 폭발하여 데미지를 주진 않고 그냥 [[유닛 명령|유닛을 삭제시킬 수 있는 명령]]이 있는 게임들도 있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에서는 Delete 키를 누르면 유닛이 사망 모션과 함께 제거된다. * 체력이 적고 회전력으로 밀어붙이는 유닛들은 자폭 유닛과 유사한 방식으로 운용되곤 한다. [[스타크래프트]]의 [[저글링(스타크래프트 시리즈)|저글링]]은 대량으로 뽑아서 적에게 들이받은 후 새로 뽑는 것이 보통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자폭 병기, version=311, paragraph=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