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8-Fall-Little-Women_2.jpg|width=100%]]}}} || [[엘리자베스 테일러]], [[재넷 리]] 주연의 1949년 영화. == 예고편 == [youtube(5k7WUCIr16g)] == 상세 == [[루이자 메이 올컷]]의 소설 [[작은 아씨들]]을 원작으로 한다. 1933년 영화의 공식 개작이다. 따라서 1933년작 대본을 기초로 한다. 원래는 1933년작 영화를 만든 데이비드 O. 셀즈닉이 나중에 그의 아내가 되는 [[제니퍼 존스(배우)|제니퍼 존스]]를 조로 기용해 한 번 더 만들 작정이었다. 10대로 성장한 [[셜리 템플]]도 나올 예정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하필 스튜디오가 파업 시위를 하면서[* [[제니퍼 존스(배우)|제니퍼 존스]]에게 의상을 입혀보니 별로여서 접었다는 얘기도 있다.] [[MGM]]에 제작할 권리를 넘겼다. 셀즈닉이 만들다가 만 세트장을 일부 갖다 썼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V5BMTc0MTYxMTQ5MV5BMl5BanBnXkFtZTcwNDY1MzQyNw@@._V1_.jpg|width=100%]]}}} || <[[오즈의 마법사(영화)|오즈의 마법사]]>(1939년)를 제작하고, <애수(Waterloo Bridge)>(1940년), <[[쿠오 바디스#s-2.2|쿠오 바디스]]>(1951년) 등을 연출한 머빈 러로이가 감독을 맡았다. 작은 아씨들 원작 영화 연출은 러로이의 오랜 꿈이었다. [[MGM]]은 이 영화를 [[준 앨리슨]], [[피터 로퍼드]], [[엘리자베스 테일러]], [[재넷 리]], 마거릿 오브라이언 등 당시 자사에서 미래가 가장 유망했던 젊은 배우들을 한꺼번에 소개 시키는 자리로 삼았다. 이 영화는 또한 MGM의 자사 25주년 기념 프로그램의 첫 신호탄을 올린 작품이기도 하다. 한참 [[MGM]]에서 밀던 [[준 앨리슨]] 중심으로 꾸려져 준 앨리슨이 조 마치 역을 맡았다. 한편 MGM은 [[엘리자베스 테일러]]를 새침한 미녀 역으로 밀고 있었기 때문에 에이미 역을 맡겼다. 마가렛 오브라이언[* Margaret O'Brien. [[아카데미 시상식|아카데미]] 아역상을 수상한 바 있다.]이 베스, [[재넷 리]]가 메그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0924_104116.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0924_104156.jpg|width=100%]]}}} || || [[엘리자베스 테일러]] 홍보 이미지(에이미 역) |||| [[재넷 리]] 홍보 이미지(메그 역) || 최초로 흑백이 아닌 테크니컬러로 제작된 작은 아씨들 영화로, 화면이 엽서처럼 예쁘게 나온다. 감독 머빈 러로이에 따르면 MGM은 당시 현장에서 주로 쓰던 가짜 눈을 실제로 갈아낸 얼음으로 대체했다고 한다. 그래서 배우들이 실제로 추위를 느끼는 것처럼 찍히는 효과를 낳았다고. 이런 노력 덕분인지 1949년 [[아카데미 미술상]]을 받았고 [[아카데미 촬영상]] 후보에 올랐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umblr_ccc5365aabe3e2a41e7a6dbdc200fb26_6271ca16_400.gif|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sdgashfsau4wy74.gif|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marmee-analysis-1949-mobileMasterAt3x.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ittle-women-1949-ievenn-2.jpg|width=100%]]}}} || 1부 내용만 다룬 이전작들과는 달리 2부 분량까지 각색되었고, 1994년 영화와 공통점이 여럿 있다. 한국에는 [[저작재산권]]이 만료되었기 때문에 [[유튜브]]에서 무료로 볼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42nD7j1G0N4|1부]] [[https://www.youtube.com/watch?v=-qnRYTPI9FA|2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0uw.gif|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ds.gif|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de.gif|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vXy.gif|width=100%]]}}} || == 여담 == * 에이미의 금발을 재현하기 위해 흑발의 [[엘리자베스 테일러]]는 가발을 쓰고 나온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umblr_mxnpuiCC071r1ad86o6_r1_250.gif|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umblr_mxnpuiCC071r1ad86o1_250.gif|width=100%]]}}} || * 이 영화 속의 베스 역 배우가 들고 다니는 바구니는 <[[오즈의 마법사(영화)|오즈의 마법사]]>(1939)에서 [[주디 갈런드]]가 들고 다니던 바구니를 재활용한 것이다. * 엘리자베스 테일러는 이 영화 속 모습으로 [[럭스#s-2|럭스]] 광고에 나왔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ittle_women_lux.jpg|width=100%]]}}} || * [[준 앨리슨]]과 [[피터 로퍼드]]는 [[1949년]] 3월 13일 송출된 Lux Radio Theatre 라디오극에서 이 영화 속 배역을 그대로 다시 맡았다. * [[크리스마스]]에 보기 좋은 영화 목록에 자주 들어간다. * 한국에선 [[6.25 전쟁]]이 끝나고 [[1954년]] 10월에 [[단성골드주얼리센터|단성사]]에서 "푸른 화원"으로 개봉한바 있다. [[1963년]] 재개봉 때도 이 제목을 썼다. == 관련 문서 == * [[작은 아씨들/영화]] [[분류:작은 아씨들]][[분류:1949년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미국의 로맨스 영화]][[분류:미국의 가족 영화]][[분류:성탄절 영화]][[분류:소설 원작 영화]][[분류:전체관람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