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성명''' ||<(> 장 드 푸아[br]Jean de Foix || ||<-2> '''생몰년도''' ||<(> [[1410년]] ~ [[1485년]] || ||<-2> '''출생지''' ||<(>가스코뉴 공국 || ||<-2> '''사망지''' ||<(> [[프랑스 왕국]] 카스텔노드메독 || ||<-2> '''아버지''' ||<(> [[가스통 1세 드 푸아그레일리]] || ||<-2> '''어머니''' ||<(> 마르그리트 달브레 || ||<-2> '''누이''' ||<(> 이자보, 아녜스 || ||<-2> '''아내''' ||<(> 마가렛 커데스톤 || ||<-2> '''자녀''' ||<(> 가스통, 장, 카트린, 마르그리트 || ||<-2> '''직위''' ||<(> 켄달 백작, 루시용 총독 || [목차] [clearfix] == 개요 == [[잉글랜드 왕국]]에 귀속된 [[가스코뉴]] 공국의 귀족, 군인. 아버지와 함께 잉글랜드 왕국에 충성을 바치면서 [[프랑스 왕국]]에 항전했지만, [[카스티용 전투]]에서 패배한 뒤 7년간 구금되었다가 잉글랜드로 넘어갔지만, 거기서도 [[장미 전쟁]]에 휘말려 고초를 겪었다. == 생애 == 1410년경 부흐의 카프탈(Captal, 특정한 주의 최고 영주)이자 카스티용 자작, 그레일리의 영주를 맡고 있던 [[가스통 1세 드 푸아그레일리]]와 알브레 영주 [[아르노 아마니외 달브레]]의 딸인 마르그리트의 외아들로 출생했다. 누이로 이자보[* 튀렌 자작 르노 6세 드 폰스와 초혼, 산티스테반 백작 피에르 드 페랄타와 재혼.], 아녜스[* 페이 포통 드 라멘산의 부인.]가 있었다. 1445년 [[가터 기사단]]의 기사가 되었으며, [[보르도]] 시의 방어를 강화하고 가스코뉴 영토를 지키는 데 힘을 기울였다. 1451년 프랑스군이 가스코뉴를 휩쓸었을 때 일시적으로 복종했지만, 1452년 10월 [[존 탈보트]]가 이끄는 잉글랜드군이 가스코뉴에 상륙하자 즉각 호응해, 가스코뉴 서부 대부분이 잉글랜드 쪽으로 돌아서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1453년 7월 17일 [[카스티용 전투]]에 참가했다가 참패를 면치 못하고 생포되었다. 이후 타유부르 성에 이송되었고, 기옌의 세네샬인 올리비에 드 코에티비의 포로가 되었다. 1460년 1월 18일, 장은 23,850 에쿠스를 지불하겠다고 약속하고 석방된 뒤 잉글랜드로 갔다. 이후 잉글랜드 왕실에 의해 켄달 백작에 선임되었지만, 1460년 7월 10일 노샘프턴 전투에서 [[랭커스터 왕조]]를 추종했다가 체포된 뒤 [[런던 탑]]에 구금되었다가 워릭 백작인 '킹메이커' 리처드 네빌의 구금에 맡겨져 프랑스로 돌아갔다. 1461년 7월 [[샤를 7세]]가 사망하고 [[루이 11세]]가 프랑스의 새 국왕이 되었다. 이때 그는 여전히 올리비에에게 18,000에쿠스의 빚을 지고 있었지만, 루이 11세는 올리비에에게 이 빚을 탕감하도록 강요했다. 이후 루이 11세의 봉신이 되었으며, 1463년 6월 14일 루이 11세에게 갓 복속된 루시용의 초대 총독에 선임되었다. 1485년경 카스텔노드메독에서 사망했다. 그의 후손들은 이후로도 18세기까지 켄달 백작위를 이어갔다. == 가족 == * 마가렛 커데스턴(1425 ~ 1485): 기사 토머스 커데스턴과 제2대 서퍽 백작 [[마이클 드 라 폴(2대 서퍽 백작)|마이클 드 라 폴]]의 딸인 엘리자베스의 딸. * 가스통 드 푸아(1448 ~ 1500): 켄달 백작. 보헤미아와 헝가리-크로아티아의 왕이었던 [[울라슬로 2세]]의 왕비인 푸아켄달의 안의 아버지이자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1세]]의 황후인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언너]]의 조부이다. * 장 드 푸아켄달(? ~ 1521): [[아라곤 왕국]] 내 마엘라 자작. * 카트린 드 푸아켄달(? ~ 1510): 아르마냐크와 로데츠 백작 샤를 1세 다르마냐크의 부인. * 마르그리트 드 푸아켄달(1473 ~ 1536): 살루초 후작 루도비코 2세 델 바스토의 부인. [[분류:프랑스의 귀족]][[분류:영국의 군인]][[분류:가터 훈장]][[분류:1410년 출생]][[분류:1485년 사망]][[분류:백년전쟁/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