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3> {{{+2 '''장곡역'''}}} || ||<-3> [[수도권 전철 경강선|[[파일:GyeonggangLine_icon.svg|width=30]]]] || || --[[연수역|{{{-1 {{{#585858,#a7a7a7 연수 방면}}}}}}]][br][[월곶역|월 곶]]--[br]← 4.7 km || [[수도권 전철 경강선|{{{#ffffff {{{-1 경강선}}}}}}]][br]{{{#white (미개통)}}} || --[[여주역|{{{-1 {{{#585858,#a7a7a7 여주 방면}}}}}}]][br][[시흥시청역|시흥시청]]--[br]2.1 km → || ||<-3>{{{#!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경기도 시흥시 장곡동 250-1, 너비=100%, 높이=100%)]}}}||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Janggok || || [[한자]] ||<-2> 長谷 || || [[간체자]] ||<-2> 长谷 || || [[가나(문자)|가나]] ||<-2> [ruby(長谷, ruby=チャンゴク)] || ||<-3> '''주소''' || ||<-3>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 918 일대 || ||<-3> '''관리역 등급''' || ||<-3> 미정 || ||<-3> '''운영 기관''' || || --[[경강선]]-- ||<-2> [[한국철도공사]] || ||<-3> '''개업일''' || || --[[경강선]]-- ||<-2><|2> 미정 || || --[[수도권 전철 경강선|{{{#ffffff 경강선}}}]]-- || ||<-3> '''역사 구조''' || ||<-3> - || ||<-3> '''승강장 구조''' || ||<-3> - || ||<-3> '''철도거리표''' || || [[연수역|{{{-1 {{{#585858,#a7a7a7 월곶 방면}}}}}}]][br]--[[월곶역|월 곶]]--[br]← 4.7 km || --'''[[경강선]]'''[br]장 곡--[br]{{{#red (미개통)}}} || [[강릉역|{{{-1 {{{#585858,#a7a7a7 강릉 방면}}}}}}]][br]--[[시흥시청역|시흥시청]]--[br]2.1 km → || {{{+1 長谷驛 / Janggok Station}}} * [[수도권 전철 경강선|경강선]] 개업 예정일: 미정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철도역.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 918 일대 지하에 들어설 예정이다. == 역 정보 == 원래는 예비타당성 용역에서 제외되어 계획에 없던 역이었으나 지역 정치권과 주민들의 꾸준한 요구로 [[시흥시]]가 453억 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180억 원[* 통상적으로는 역사 설치를 요구한 지자체에서 전액 부담하는 게 맞으나, 역이 들어서는 장현지구는 LH가 시행하는 택지지구이고, 미준공된 상태여서 LH에게도 광역교통대책 마련에 대한 책임이 있기 때문에 LH도 일부 부담한 것으로 보인다.], 두 기관이 총 633억 원의 역사 건설비를 부담하는 조건으로 기본 계획안에 포함, 역사 설치가 확정됐다. 지하 3층, 2홈2선식 규모로 건설될 예정이다. 전략환경영향평가 설명회 당시, 일부 주민들이 [[http://www.sh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25143|"역사 위치를 장곡동주민센터나 갯골생태공원 주변 등으로 변경해 주고 역명도 '''갯골생태공원역'''으로 바꿔줄 것"을 주장]]했었다. 그러나 [[국토교통부|국토부]]에서 "갯골생태공원 앞으로 역사 위치를 변경하게 되면 기본계획 노선의 전면 변경 및 [[시흥시청역]]의 환승거리 과다, 터널 내 도로분기 발생 등으로 열차 안전운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시흥 장현지구|장현지구]] 개발 저촉 등의 문제도 생길 수 있다"며 기각하였다. 또한 장곡동주민센터[* 주민들이 요구한 위치는 구 주민센터 인근으로, 이 당시에는 응곡중학교 앞에 임시 가건물을 지어 운영하고 있었다. 이후 2019년에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나 장곡동 중심지 등으로 역사 위치를 변경하는 것 역시 "장곡역 위치는 기존 장곡동 주민들과 새로 입주할 장현지구 주민들의 편의성을 고려해 중간지점으로 선정한 것"이라며 기각했다. 그렇지만 갯골생태공원은 역 예정지에서 직선거리로 약 1.5km 정도 떨어져 있어 그리 멀지 않고 일 1만 명이 방문할 정도로 시흥의 관광명소 중 한 곳이기 때문에 부역명으로 쓰일 가능성은 있다. == 역 주변 정보 == [youtube(6uqip_xTGEU, width=560, height=315)] 장곡중학교, 진말공원, 장곡어울림센터(장곡동행정복지센터), 진말초등학교, [[시흥경찰서]] 등이 있다. 역 예정지에서 황고개로를 따라 안산 방향으로 10분 정도(자동차 기준) 내려가면 서로 연계하여 개발될 예정인 [[시흥 거모지구|거모지구]]와 [[안산 신길2지구|신길2지구]]가 나오는데, 양 택지지구의 계획호수 합이 1만 7천 호에 달한다. 장곡역은 그곳에서 가장 가까운 경강선 역이기 때문에 입주 이후 이용객 대거 유입을 기대해 볼 수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역 목록)] [include(틀:경강선의 역 목록)] [[분류:대한민국의 착공 예정 철도역]][[분류:경강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2026년 개업 예정인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