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국헌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질롱 코리아/2019-20 시즌 엔트리)] ---- ||
'''장국헌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65번}}}''' || || 권영준[br](2009) || → || '''{{{#fff 장국헌[br](2011~2013)}}}''' || → || [[이인복(야구선수)|이인복]][br](2014~2015)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10번}}}''' || || 김선균[br](2015) || {{{+1 →}}} || '''{{{#fff 장국헌[br](2016~2017)}}}''' || {{{+1 →}}} || [[최승훈(야구선수)|최승훈]][br](2018) || ||<-5> '''{{{#ffffff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65번}}}''' || || [[이찬건]][br](2018) || → || '''{{{#fff 장국헌[br](2019)}}}''' || → || [[김동규(야구선수)|김동규]][br](2020) || ||<-5> '''{{{#ffffff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61번}}}''' || || [[박근홍(야구선수)|박근홍]][br](2019) || → || '''{{{#fff 장국헌[br](2020)}}}''' || → || [[박명현]][br](2021) || ||<-5> '''[[질롱 코리아|{{{#fff 질롱 코리아}}}]] {{{#fff 등번호 11번}}}''' || || [[권휘]][br](2018-19) || → || '''{{{#fff 장국헌[br](2019-20)}}}''' || → || [[정윤환]][br](2022-23)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1565_m.png|width=100%]]}}} || ||<-2> '''{{{+2 장국헌}}}[br]Jang Gukheon''' || ||<|2> ''' 출생''' ||[[1991년]] [[10월 5일]] ([age(1991-10-05)]세)|| ||[[광주광역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송정동초 - 화순중 - [[군산상일고등학교 야구부|군산상고]]|| || ''' 신체''' ||183cm, 83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11년/신인드래프트#s-3|2011년 5라운드]] (전체 37번, [[롯데 자이언츠|롯데]])|| || '''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2011~2017, 2018~2020)[* 2017 시즌 뒤 방출되었다가 2018 시즌 재입단.][br][[질롱 코리아]] (2019/20)|| || '''지도자'''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야구부]] 코치 (2023~)||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롯데 자이언츠]]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롯데 자이언츠]] 시절 === 2017 시즌이 끝나고 방출되었지만 2018 시즌 다시 [[롯데 자이언츠]]에 재입단했다. 2019 시즌이 끝나고 [[질롱 코리아]]로 파견되었다. [[노경은]]이 선발 출격한 개막전 연장 10회초에 등판해 1이닝 1K 무실점으로 깔끔하게 매조지면서 개막전 승리투수가 되었다. 이후 [[질롱 코리아]]의 마당쇠로 활약하고 있는데 나오는 경기마다 실점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평균 구속 147km/h, 최고 150km/h에 이를 정도로 팀에서는 [[허민혁]]과 함께 가장 빠른 공을 던지는 투수이기는 하나, 제구가 좋지 않다 보니 장작을 쌓고, 볼 카운트가 몰리면서 가운데에 던지다 통타당하는 패턴이 반복되는 중. 거의 시즌 내내 두 자릿수 평균자책점을 유지하고 있으나 팀 불펜 사정이 좋지 않아 상당한 혹사를 당하고 있다는 점을 참작할 필요는 있다. 1월 19일 퍼스전 팀 수비의 삽질로 2실점을 했는데 패색이 짙은 10회말 [[이재원(1999)|이재원]]의 끝내기 만루포가 터지며 시즌 2승을 따냈고, 이로써 팀내 다승 1위 투수가 되었다. 시즌 최종 라운드에는 [[백승현]]이 마운드에 오를 정도로 투수가 없는 상황이었고, 3연투까지 하면서 팀내 최다경기 등판 선수가 되었다. 3연투째 경기인 애들레이드전에는 제대로 영점이 잡히지 않아 1이닝 3볼넷 3피안타 5실점으로 크게 부진하는 안타까운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결국 [[질롱 코리아]]의 40경기 중 절반이 넘는 21경기에 등판해 2승 1패 24.2이닝 22볼넷 37피안타 WHIP 2.39, ERA 10.22의 성적으로 시즌을 마쳤다. 제구에 큰 어려움을 겪기는 했으나 계속된 연투 등으로 컨디션 조절이 어려운 가운데 150km/h에 육박하는 강속구를 꾸준히 뿌리며 팔꿈치 수술 후 재기 가능성은 증명한 시즌이 되었다. 2020년 10월 8일, [[김상호(1989)|김상호]], [[김대륙]] 등과 함께 [[웨이버 공시]]되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76&aid=0003640288|기사]] == 지도자 경력 == 은퇴이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야구부]]코치로 지도자를 시작하게 되었다. == 여담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롯데 자이언츠/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광주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91년 출생]][[분류:2011년 데뷔]][[분류:2020년 은퇴]][[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군산상업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