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장기 용어]] [include(틀:상위 문서,top1=장기)] [목차] == 개요 == 박보(博譜)는 [[장기]] 문제를 뜻한다. 바둑의 [[묘수]]풀이와도 유사하다. == 종류 == === 부동수 박보 === 상대방이 움직일 수 없는 상태에서 그 부동을 풀어주지 않고[* 가끔 풀어주기도 하지만, 그러한 경우 역시 어차피 다시 묶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외통을 만드는 박보이다. 부동을 풀어주지 않고 움직여야 해서 난이도가 있다. 포를 활용하는 문제가 많다. --상대가 부동인데 차를 사용하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연장군 박보 === 연속으로 장군을 치는 박보이다. 한 번도 쉬어서는 안 된다. 그랬다가는 외통으로 먼저 지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연장군 박보는 자신의 궁성[* 대부분의 경우 한을 잡고 풀이한다.]에 한수 외통이 나도록 상대 기물이 배치되어 있다. 수순이 200수 넘게 걸리는 '''김응두 박보'''도 있다. 이걸로 [[장기도사]]를 시험하는 사람들이 가끔 있다. --풀지 못한다고 [[장기도사|이 문서]]에 나와 있다.-- === 도비 연장군 박보 === 연장군 박보와는 약간 다르게, 장군을 한두 번쯤 치지 않고 다른 수를 두다가 다시 연장군을 하는 박보이다. 상대방이 자신을 바로 외통으로 몰아넣을 수 없어 자신에게 약간의 여유가 있다는 것이 특징이며, 엄청 오랜 수순이 걸린다. 대표적으로 김응두 박보가 있다. 장군을 언제 안 치느냐가 중요해 연장군 박보보다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