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 [목차] == 단어 == === 長技, [[재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장기자랑)] 가장 자신있고 잘 하는 재주. 발음은 [[사잇소리 현상]]으로 인해 [장끼]이다. === 臟器, [[내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내장)] [[장기자랑(은어)|은어로서의 장기자랑]]은 위 장기와 발음, 한글표기가 같다는 점을 이용한 말장난이다. === 長期, 오랜 기간 === 오랜 기간을 의미한다. [[경제학]]의 경우, [[미시경제학]]에서는 자본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간을 장기라 한다. 한편 [[거시경제학]]에서는 물가가 신축적으로 조정되는 기간을 장기라 한다. [[군대]]에서 장기간 복무하는 [[장기복무]]를 줄여서 이렇게 부른다. === 將棋, [[보드 게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장기)] === 瘴氣, 독한 기운 === 축축하고 더운 땅에서 생기는 독한 기운. 열병을 일으킨다고 여겨지며, 이중환의 《[[택리지]]》에서 각 고을을 소개하면서 자주 언급되는 것이기도 하다. 서양에도 [[콜레라]]를 비롯한 질병을 유발한다고 여겨지는 유독성 기체인 '미아즈마'라는 비슷한 개념이 있었다.[* [[문명: 비욘드 어스]]에서도 외계 행성 표면에 미아즈마가 흐른다. 국내엔 '독기'(毒氣)로 번역됐다.] 판타지 소설, 만화, 게임 등에 자주 등장하는 "나쁜 기운, 또는 마력"이란 뜻의 장기가 이것이다. === '쟁기'의 비표준어 === 본래 '잠개'였다가 '잠기'가 되고 발음이 변해 '장기'가 됐다가 여기서 [[ㅣ 역행 동화]]가 일어난 '[[쟁기]]'라는 형태가 나타났다. '장기'와 '쟁기'가 대립하다가 '쟁기'가 더 널리 쓰이면서 표준어 사정 원칙 제9항에 규정된 'ㅣ 역행 동화가 일어난 형태 중 널리 쓰이는 일부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칙'(예: 남비→냄비)에 의해 '쟁기'가 표준어가 되었다. === 長機 === 두 대 이상의 항공기들이 [[편대비행]]을 할 때 [[편대]]를 지휘하는 [[편대장]]이나 [[분대장]]을 맡은 항공기. 이들이 통솔하는 동료 항공기를 [[요기#s-1.2]](僚機)라고 부른다. == 지명 == * 長鬐: 조선시대 경상도 동해안에 있던 고을. 현재의 구룡포와 호미곶 등을 포함하는 [[포항시]] 남동부 일대에 해당하며, 다산 [[정약용]]이 첫 유배를 간 곳이기도 하다. 현재도 포항시에 장기면이 있고 그 곳에 장기읍성이 남아있다. * 長岐: 과거 [[충청남도]] [[공주시]] 동부에 있었던 면. [[세종특별자치시]] 출범과 함께 [[장군면]]으로 편입되었다. 현재는 장기중학교와 장기로 등의 명칭에 여전히 남아 있다. * 長崎: [[나가사키]]의 [[한자]]를 한국어 독음으로 읽은 것. [[허생전]]에서도 언급된다. 이 외에도 경기 김포시 장기동, 인천광역시 계양구, 대구광역시 달서구 등이 있다. === [[장기역]](場基), [[김포도시철도]] [[지하철]] [[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장기역)] == 인명 == === [[장기(후한)|장기]](蔣奇), 후한 말 원소의 수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장기(후한))] === [[장기(낙랑태수)|장기]](張岐), 후한 말 낙랑태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장기(낙랑태수))] === [[장중경|장기]](張機), 후한 말의 의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장중경)] === [[장기(삼국지)|장기]](張旣), 삼국시대의 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장기(삼국지))] === [[이마드 앗 딘 장기]](Zankī), 12세기 시리아-이라크의 군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마드 앗 딘 장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