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종교 의복]][[분류:기독교 문화]] [[한문]]: 長白衣 [[라틴어]]: Alba [[영어]]: Alb [[에스페란토]]: Albo || [[파일:attachment/alb01.jpg|width=100%]] || [[파일:attachment/alb02.jpg|width=100%]] || || 레이스형 || 민무늬 || [[전례복]] 중 하나로, [[제의]]를 입기 전에 [[수단(의복)|수단]] 위에 입는, 그야말로 자락이 길고(長) 하얀(白) 옷(衣). 유래는 [[고대 로마]]의 평상복 [[튜닉]]이며, 옷이 [[흰색]]인 이유는 마음의 순결과 은총을 뜻하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전례용 의복인 것은 아니었는데, [[미사]] 집전 시 [[수단(의복)|수단]]을 가리기 위해 입기 시작했다고 한다. 전례 때 [[사제(성직자)|사제]]와 그를 보좌하는 [[부제(성직자)|부제]] 및 전례 봉사자들이 입을 수 있으며, 옛날에는 새신자들도 1주일 동안 장백의를 입었다고 한다. [[성직자]]들은 [[전례복]]을 입을 때 외에, 가대복(Choir dress)[* 지금은 [[사제]]들이 여러 명이면 보통 '''공동집전'''으로 [[미사]]를 드리기 때문에 전원이 [[전례복]]을 입고 입당하지만,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엔 인정되지 않았다. 이때는 자신이 집전하지 않는 미사에 참여하는 성직자들을 준례복인 가대복을 착용했다.] 차림일 경우에도 이것을 [[수단(의복)|수단]] 위에 입어야 한다. 복제가 [[가톨릭]]과 거의 차이가 없는 [[성공회]]도 똑같은 것을 착용한다. [[프란치스코회]] [[수도자]]들처럼 폭이 벌어지지 않게끔 허리 부분을 흰 끈으로 묶기도 하고, 너무 펑퍼짐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냥 입기도 한다. 또한 원래는 왼쪽 [[레이스]]형처럼 장백의가 수단 목 부분을 가리지 못하므로 그 안에 개두포를 착용하는 게 원칙이지만, [[트리엔트 미사]]식의 레이스 형식에서 목부분까지 미리 다 만들어져 있는 형태로 바뀌는 추세라 대부분 생략한다. 그래도 [[주교]] 이상 고위 성직자가 규모가 큰 [[미사]]를 집전할 때는 레이스로 된 장백의를 입는 모습이 자주 보이며 개두포도 제대로 착용하긴 하는데, 이 경우에도 공동집전으로 참여하는 경우면 생략하는 편이다. 또한 보통의 [[신부(성직자)|신부]]들은 민무늬를 선호한다. 그래서 [[성품성사|사제서품식]]이나 사제 성화의 날 같이 많은 [[신부님]]들이 참석하시는 미사인 경우에는 온통 하얗고 하얗고 하얗다... 원칙적으로는 불법(...)이지만 공동집전이 아닌 주례사제가 [[제의]]를 생략하고 장백의 위에 [[영대]]만 걸치고 있는 경우도 많다. 제의를 정식으로 입는 수단+개두포+띠+영대+제의의 경우에는 여름에 정말로 덥다...[* 물론 이 경우를 대비해 여름용 [[제의]]가 있다. 매우 가볍고 시원하지만, 온몸을 가리는 제의이고, 또 달랑 제의만 입을 수는 없이 위의 저 조합들을 전부 지켜야 하기 때문에 ~~덜~~덥다.] 특히 여름에 땀이 많은 사제인 경우에는 정말 힘들다. 그래서 비교적 시원한 장백의+영대 조합의 약식제의를 입는 경우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대축일이나 교중미사와 같이 크고 중요한 [[미사]] 때는 다 입는것이 옳다.[* 경당에서 드리는 소규모 미사의 경우에는 장백의와 제의만 입고 주례하기도 한다. 이는 경당이 보통 성전처럼 본당/[[수도회]] 등 공동체를 위한 공간이 아니기도 하고, [[감실|성체를 보존]]하지 않는 경우도 있기도 하기 때문에 성대한 장소로까지는 인식되지 않기 때문이다.] 약식이나 소규모인 미사에는 주례 사제가 약식제의를 입는 경우를 볼 수 있다. 특히 [[순교자]]성월(9월)에 흔히 하는 [[성지]] 야외미사, 이벤트성으로 하는 기차 미사, 광장에서 봉헌되는 시국미사 등은 야외라는 특수성 때문에 장백의, 제의만 입는 약식형태로 봉헌한다.[* 물론 fm을 고수하는 주례사제는 개두포부터 제의까지 풀세트로 착용하기도 하나, 거의 보기 드물다.] 여기서 더 약식미사로 봉헌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제의 개인미사나 사제가 집에서 자신의 가족과 함께 봉헌하는 가정미사이거나 기타등의 경우에는 클러지칼라 셔츠에 영대만 올리는 경우를 볼수 있다.[* 물론 개인 취향이다. 반드시 저렇게 입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개인미사를 봉헌 하면서 제의까지 전부 입어도 상관은 없다.] 그러나 어떤 상황에서든지 [[영대]]는 '''절대로 생략할 수 없다.''' 2014년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 당시, 특히 광화문에서 거행된 [[한국 124위 순교복자]] [[시복]] 미사를 함께 집전하는 [[신부]]들에게 '''약식[[제의]]를 입더라도 클러지셔츠에 장백의만 입지 말고 반드시 수단, 개두포, 장백의의 조합을 지켜달라'''는 지시가 내려왔으며 영대는 교황방한준비위원회에서 붉은색에 교황 방한을 나타내는 무늬가 들어간 영대를 일괄적으로 지급했다. || [[파일:external/www.osv.com/822643p13567EDNMain141850309pg12_822.jpg|width=100%]] || || 2013년 [[콘클라베]]에서 선출되어 [[시스티나 성당]]을 나오는 [[프란치스코(교황)|프란치스코]]. 좌/우의 [[추기경]]이 소백의와 중백의를 각각 착용하고 있다. || 장백의의 다른 버전으로, 자락이 길지 않아 무릎 언저리까지만 오는 것은 중백의(Surplice)라고 한다. 중백의를 입을 때의 기도문 또한 존재한다. >Surplice Indue me, Domine, novum hominem, qui secundum Deum creatus e in iu itia et san itate veritatis. > >Invest me, O Lord, as a new man, who was created by God in justice and the holiness of truth. > >주님, 진리의 의로움과 거룩함 속에서 [[야훼|하느님]]의 모습에 따라 창조된 새 인간으로 입혀주소서. > >([[에페소서]] 4,24 참조) [[부제(성직자)|부제]]나 전례 봉사자들은 [[수단(의복)|수단]] 위에 중백의를 많이 착용하지만, 부제의 경우 [[영대]]만 착용했을 때 중백의를 입을 수 없다. 부제는 이 위에 [[달마티카]]를 꼭 걸쳐야 한다. [[주교]] 등 고위 성직자는 때때로 소백의(Rochet)를 착용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중백의와 잘 구분되지 않을 정도로 비슷하지만 중백의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소매통이 좁다는 것이다. 소백의는 고위 성직자들이 가대복을 입을 때에 많이 착용하며 일종의 예복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민무늬는 찾아보기 어렵고 대부분의 화려하게 [[레이스]] 장식으로 되어 있다. [[정교회]]에서도 장백의와 비슷한 것으로 [[https://s-media-cache-ak0.pinimg.com/736x/a2/d0/6e/a2d06ee861156397730f02cc2015b3a4.jpg|스티하리온]](Stiharion)이 있다. 다만 정교회의 경우에는 색상이 다양하고, [[비단]] 등으로 화려하게 제작된다. 그러나 이것을 먼저 입고 그 위에 [[제의]]인 펠로니온(Phelonion) 등을 입는 건 서방교회의 [[전례복]] 착용례와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