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86BD 20%, #666666)" {{{#ffffff '''장선구 박사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프라임법학원의 공인노무사 강사)] ---- [include(틀:프라임법학원 감정평가사 강사)] ---- [include(틀:공단기 9급 전공과목 강사)] ---- [include(틀:에듀윌경영아카데미의 소속강사)] }}} || ||<-2>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786BD 20%, #0786BD)" {{{+3 {{{#ffffff '''장선구'''}}}[b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선구 경제학.png|width=100%]]}}} || || '''출생''' ||1972년 || || '''직업''' ||강사 || || '''학력''' ||[[성균관대학교]] {{{-2 (경제학 / 학사·석사·박사[* 산업조직론 전공])}}} || || '''소속''' ||[[프라임 법학원|[[파일:프라임법학원.png|width=40%&bgcolor=#fff]]]](공인노무사,감정평가사)[br][[공단기|[[파일:h1_logo.png|width=25%&bgcolor=#fff]]]](공무원)[br][[에듀윌경영아카데미]](회계사, 세무사)[br][[메가스터디교육|유니스터디]] || || '''과목''' ||경제학, 재정학 등 다양한 과목 || || '''링크''' ||[[https://youtube.com/user/sunkujan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유튜브 멤버십도 만들었다. 아직까지 등급이 체계화되진 않았으며 멤버십 가입자들에게 경제학 교과서 특강을 제공하고 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경제학 강사이다. --진정한 N잡러-- 성균관대 경제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경제학 박사. 전공은 산업조직론. 이성순 명예교수의 제자라고 한다. [[웅지세무대학교]] 전 교수이자 한국경제학회 종신 회원이다. BK21 지원으로 박사 과정 때 [[영국]] [[런던 정치경제대학교]](LSE), [[네덜란드]] [[틸뷔르흐 대학교]](Tilberg University), [[미국]] [[버지니아 공과대학교]](Virginia PolyTech)에서 연수를 받았다고 한다. 성균관대 동문 인터뷰에서 실린 글이 있다.[[http://www.skkuw.com/news/articleView.html?idxno=22448|#]] == 강의 == [[웅지세무대학교]]가 첫 직장이였는데 연계학원인 웅지경영아카데미에서 CPA 경제학, 세무사 재정학 강의를 시작으로 학원강의를 시작하였다고 한다[* 애당초 학교가 학원식 운영을 하여서...] 동시에 각 학교로 강사 또는 겸임 교수 자격으로 경제학 계열 과목의 강의를 하였다. 학교 강의는 우수한 강의로 호평을 받았다고 한다.[* 학점도 잘 주긴 했지만 강의력 자체도 우수했다.] 현재도 몇몇 대학에서 강의 진행 중. 판서가 자로 잰 듯이 깔끔하다. 강의 자체를 좋아하는 성격인 듯하다. === 객관식 강의 === 지엽적인 것 공부하기보다 기본을 익히고 문제풀이로 빨리 넘어가고 남은 시간에 다른 것 공부하라는 식으로 수업한다. ==== 공인회계사 경제학, 세무사 재정학 강의 ==== * 처음 시작한 강의로 [[웅지세무대학교]] 교수들은 다 학원 강의를 하게 되어서 시작했다고 한다. 이후 [[KG에듀원]] 소속 [[미래경영아카데미]]에서 강의했었다. 옛날에는 [[정병열]] 저로 수업했으나[* 그 유명한 [[김판기]] 강사조차도 이론강의는 그걸로 쓴다] 요즘에는 본인 책으로 수업한다. 수업방식으로는 처음부터 끝까지 판서이다. 기본강의에서는 본인 스스로 제 강의는 판서가 많으므로 필요한 부분만 필기하라고 한다. 중요하지 않는 부분과 아주 지엽적인 부분은 설명하지 않으며 시험에 나온 개념만 설명한다. 즉, [[김판기]]와는 다른 정공파 수업이며, 경제학 기본기를 착실히 닦을 수 있어서 수험생에게 공부할 범위를 늘리려하지 않는다. * 그런데 2022년 5월 31일부로 서비스가 종료된다고 하는데 CPA, CTA 강의를 그만두는지 아니면 타학원에서 강의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 이후 밝혀지길 [[에듀윌]]에서 만든 [[에듀윌경영아카데미]]에서 세무사 재정학 강의를 하게 되었다. 이어 2023년부터 회계사 경제학 강의도 재개된다고 한다. ==== 공무원 강의 ==== * 공무원 강의는 [[윌비스고시학원]]에서부터 시작해 [[에듀윌]]을 거쳐[* 에듀윌에서 9급 통계학 개론도 강의했다고 한다] 2020년 10월 공단기로 이적했다. 객관식 강의 경험이 풍부하고[* 처음 강의한 CPA 경제학, 세무사 재정학 모두 객관식이다] 판서가 자로 잰 듯이 깔끔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계산형 특강 등 테마강의, 교재로 유명했으며 객관식 경제학 시장에서 치고 올라오는 다크호스로 평가받는다. 정병열 강사의 [[메가공무원]]으로의 이적으로 인한 공백을 보충하고자 스카우트한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정병열 강사 이적 이후 [[함경백]] 강사 역시 영입했다.] 장선구 강사는 학부부터 경제학 한 우물을 판 경제학 시장에서 몇 안되는 박사급 강사여서[* 그래서인지 학계 짬밥이 높으며 교수 인맥이 풍부하다] 전공 수업같은 느낌으로 수업해서인지 암기보다 이해를 선호하는 수험생에게 적합하다는 평이 있다. 심플러 경제학이 그의 모토일 정도로 그 동안은 어렵고 잡다한 내용에 집착하기보다 [[고종훈|내용을 컴팩트하게 하고 부족한건 많은 문제풀이로 커버]]하라는 스타일.[* 사실 경제학은 그게 맞다] 코로나 시국이기도 해서 아직은 스튜디오 강의만 올리고 있다. * 7/9급 경제학 외에 통계학도 수업하고 있는 중이다. 대구가톨릭대 박환재 교수, KDI 김대환 박사와 함께 공저한 <정석통계학>으로 수업 중이다. 마땅한 강의가 없는 통계직 입장에서 환영할만한 일이다. ==== 공인노무사 및 감정평가사 1차 경제학 강의 ==== * 처음에 합격의 법학원에서 공인노무사 및 감정평가사 1차 경제학을 시작했다.도 강의 중. * 2020년부터는 프라임법학원에서 공인노무사 1차 경제학을, 2021년부터 [[프라임법학원]]에서 감정평가사 1차 경제학 강의를 진행하고있다. ==== 기타 ==== * [[렛유인|공유인]]에서 객관식 공기업 전공 경제학을, 지텔프에듀에서 [[TESAT]]을 강의 중이다. * 그러나 2022년 9월 20일 공유인 서비스가 중단됨에 따라 현재는 공기업 강의는 하고 있지 않다. 현재는 본인 유튜브에 이를 대체하는 강의가 업로드되어 있다. === 주관식 강의 === * 주관식 강의에서는 있는 것을 꼼꼼히 다 보려는 스타일이다.[* 객관식은 모르면 찍으면 되지만 주관식은 찍을 수 없다! 그리고 객관식은 하나 틀리면 하나 틀리는거지만 주관식은 각 설문당 연결된 문제가 많아 하나 틀리는게 그걸로 끝나지 않고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 본인의 교재를 활용하는 공인노무사 대비 강의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주관식 강의는 이준구 저, 임봉욱 저, 김영산-왕규호 저, 정운찬-김영식 저 등 유명한 경제학 교과서를 판서와 함께 정리하고 읽어나가는 식으로 강의하고 있다. 다만 대학교 강의에서는 종종 자신의 교재를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 학교 강의 ==== * 각 대학교에서 강의를 많이 하였다. --선구미시 선구거시 선구재정-- 학교에서 학점은 꽉 채워준다고 한다. 극소수의 수강생들은 거시경제학에서 유명 교수님 수업보다 깊이가 부족하다고 비판했지만[* 그냥 잘하는 정도가 아닌 초초고수들의 입장이다. 웬만큼 잘하는 사람의 의견도 아니다. 사실 유명 교수들의 수업도 자기 분야 말고는 문외한인데다가 또 경우에 따라 학부 때는 어려운거 하지말아야 한다는 분들도 많다. 깊이를 중시한다고 알려진 교수 중에는 참고문헌도 제대로 안 알려주고 강의 파일도 제공도 안 하면서 수업의 수준도 고려하지 않고 자기할 말만, 그것도 대충대충하는 양아치 교수들도 있다.][* 학원에서 수업듣는 것 같다는 평도 많이 올라온다. --그야 학원강사니까--] -- 경제학 못하는 사람들, 초보나 양민이 많은 -- 절대 다수의 수강생들은 강의력도 좋고 학점도 잘 줘서 선호하는 수업이라고 한다. 학교 수업에서 처음에는 소수의 강의로 출발했다가 나중에는 자리가 모자라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 대학교 강의 시 네이버 밴드를 개설하여 족보를 올려준다. 하지만 해설을 따로 제공하지 않아 수강생들끼리 족보 스터디를 만들기도 한다. 기초부터 차근차근 가르쳐주는 스타일이지만 그에 비해 문제는 어렵게 내는 편이라는 의견이 많다.[* 사실 양아치 교수 중에서도 시험은 어려운 교수도 있고 외관상 쉬워보여도 점수를 안 주는 교수들도 많으니 공부하기에는 제일 이상적이다. 장선구 강사는 차근차근 알려주지 날로 먹는건 아니기 때문] 네이버 밴드명은 20XX년 X학기 OO대학교 미시경제학 등으로 수업마다 밴드를 만드는 듯하다. * 산업조직론 전공이다. 산업조직론 강의는 국민대와 한국기술교육대에서 강의했다. [* [[https://blog.daum.net/ecomania/12773340?category=407504|#]] 거시경제학의 각론 중 하나인 화폐금융론 강의도 하였다.] 경제학원론, 미/거시경제학, 재정학, 노동경제학을 주로 강의한다. ==== 공인노무사 2차 노동경제학 강의 ==== * 합격의 법학원에서 시작했는데 유일한 박사급 전공자로 주목을 받았다. 기존에 [[한림법학원]]의 [[김우탁(강사)|김우탁]] 노무사 등 여러 강의가 있었으나 모두 암기식으로 경제학스럽지 못하다는 평가가 있었는데, 그의 강의는 경제학적 원리에 기반한 강의로 현재 김우탁 노무사 강의의 대안으로 평가받는 중. [[프라임 법학원]]의 공인노무사 부문의 확장의 일환으로 2019년 스카우트되었다. 초기에는 본인의 책이 없었으나 지금은 본인의 책을 활용한다. ==== 5급공채, 국립외교원 강의 ==== * 5급공채, 국립외교원 경제학 강의도 합격의 법학원에서 시작했으며 정규순환보다 경제학, 국제경제학 교과서 강의식으로 하였다. 현재 프라임법학원에서 교과서 강의를 진행하였다. 아직까지는 본인의 책은 없다고 한다. 이외에도 임봉욱 저 미시경제학연습을 풀어주는 강의도 있다.[* 대학교 수업에서도 임봉욱 저, 김영산&왕규호 저, [[정운찬]] 저, [[김경수(교수)|김경수]] - 박대근 저 등 유명 교과서들을 교재로 활용한다.] 다만 2021년 이후에는 이쪽에서 신규 강의는 하지 않는다. 대신 교과서 강의들을 유튜브에 업로드하며, 멤버십이 있는 사람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1-3순환을 커버하기는 힘들지만, 예비순환 수준의 교과서 독파나 혹은 임봉욱 저 미시경제학연습을 학습하고자 하는 수험생들에게 좋은 선택지로 평가받고 있다. ==== 기타 ==== * 2021년부터 [[메가스터디교육]] 계열사인 유니스터디에서 전공 강의를 찍게 되었다. * 에듀캐스트[* [[정순영(강사)|정순영]]이 있는 그곳이다]에서 정운찬-김영식 저 거시경제론, 이종화-신관호 저 거시경제학 강의도 서비스하고 있다. == 여담 == * 친분이 있는 교수의 아들이 아이돌 [[EXO]]의 멤버라고 한다.[* 명시적으로 밝히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현 순천향대학교 교수인 [[김용하(1961)|김용하]] 교수와 그 아들인 [[수호(EXO)|수호]]라는 것이 정설이다.] 처음에 으르렁을 듣고는 별로 선호하는 스타일이 아니어서 "요즘 노래는 이렇구나"했는데 운전을 하면서 계속 듣다보니 은근 중독되었다고 한다. * 2018년 유튜브를 개설했는데 과거 강의와 학교 보충 강의 등을 올린다. 2020년 코로나 시국으로 인해 대학 원격 강의가 활성화되면서 강의가 많이 올라온다. 유튜브를 개설한 것 자체는 2007~8년 즈음이라고 한다. 처음에는 강의저장용으로 사용했으나 유튜브에 있는 자신의 강의를 보고 도움을 받았다는 글[* [[정병열]] 저로 강의할 당시 기본강의가 있었다]을 몇 차례 받았고 이로 인해 유튜브를 활성화해보자고 결심했다고 한다. 2020년 부터는 유튜브 멤버쉽 제도도 활용하여 좀 더 다양한 영상들을 제공하고 있다. * 성균관대학교 재학 시절 성균관대학교의 경사와 오르막길을 보며 학우들에게 인력거 서비스를 제공하면 꽤 짭잘한 돈을 벌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 적이 있다고 한다. 그런데 군대를 다녀와보니 셔틀버스가 생겨 시도하지 못 했다고. --했어도 수선관 몇 번만 왕복하면 아마 때려치웠을거다-- * 판서 글씨체가 독특하다. 기역을 시옷처럼 쓴다. [[분류:인터넷 강사/프라임법학원]][[분류:인터넷 강사/공단기]][[분류:성균관대학교 출신]][[분류:성균관대학교 재직]][[분류:인터넷 강사/메가스터디]][[분류:1972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