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라남도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장성군의 읍면)] ||<-4> '''[[전라남도|{{{#000,#ddd 전라남도}}}]]의 [[자치군|{{{#000,#ddd 자치군}}}]]'''[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장성군 CI.svg|height=60]]}}}||{{{#!wiki style="margin: -5px 0" '''{{{+1 장성군}}}'''[br]長城郡[br]{{{-1 Jangseong County}}}}}}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장성군, 너비=100%, 높이=100%)]}}} || ||<-2> '''군청 소재지''' ||<-2> 장성읍 영천로 200 (영천리) || ||<-2> '''광역자치단체''' ||<-2> [[전라남도]] || ||<-2> '''하위 행정구역''' ||<-2> 1[[읍(행정구역)|읍]] 10[[면(행정구역)|면]] || ||<-2> '''면적''' ||<-2> 518.40㎢ || ||<-2> '''인구''' ||<-2> 42,518명[* 2023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 ||<-2> '''인구밀도''' ||<-2> 82.21명/㎢ || ||<-2> '''군수'''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한종(정치인)|김한종]] ,,(초선),, || ||<|2><-2> '''군의회'''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6석[* 장성군 가선거구 (장성읍,서삼면,북일면, 북이면, 북하면): 차상현, 김연수[br]장성군 나선거구 (진원면,남면,황룡면): 심민섭, 서춘경[br]장성군 다선거구 (동화면,삼서면,삼계면): 고재진 [br]장성군 비례대표: 최미화] ||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2석[* 장성군 가선거구 (장성읍,서삼면,북일면, 북이면, 북하면): 오원석[br]장성군 다선거구 (동화면,삼서면,삼계면): 나철원] || ||<-2> [[전라남도의회|{{{#373a3c '''도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2석[* 장성군 제1선거구 (장성읍, 서삼면, 북일면, 북이면, 북하면): [[정철(정치인)|정철]][br]장성군 제2선거구 (진원면, 남면, 동화면, 삼서면, 삼계면, 황룡면): [[김회식]]]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개호]][br]{{{#!wiki style="margin: 0 -10px; letter-spacing: -1px; font-size: 12px"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담양·함평·영광·장성]] / 3선)}}} || ||<|3> '''상징''' || '''군화''' ||<-2> 백양난 || || '''군목''' ||<-2> [[단풍나무]] || || '''군조''' ||<-2> [[비둘기]] || ||<-2> '''지역번호''' ||<-2> '''061''' || ||<-2> '''홈페이지''' ||<-2> [[http://www.jangseong.go.kr|www.jangseong.go.kr]] || ||<-2> '''SNS''' ||<-2> [[https://blog.naver.com/yellowcity-js|[[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tory.kakao.com/ch/yellowcity-js|[[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yellowcityj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angseonggun, 크기=20)] | [[http://instagram.com/jangseonggu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성군청_202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장성호(호수)|[[파일:장성호.jpg|width=100%]]]]}}} || || '''{{{#373a3c 장성군청}}}'''[* 주소는 장성군 장성읍 영천로 200] || '''[[장성호(호수)|{{{#373a3c 장성호 전경}}}]]'''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성옐로우게이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황룡강|[[파일:황룡강노란꽃축제.jpg|width=100%]]]]}}} || || {{{#373a3c '''옐로우게이트'''}}}[* [[1번 국도]] 광주광역시와 장성군의 경계에 있다.] || {{{#373a3c '''[[황룡강|{{{#373a3c 황룡강}}}]] 노란꽃축제'''}}} || [[전라남도]] 북부에 위치한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 북쪽으로는 [[전라북도]] [[정읍시]], 서쪽으로는 [[전라북도]] [[고창군]]과 [[영광군]], [[함평군]]이 접하며, 남쪽으로는 [[광주광역시]], 동쪽으로는 [[전라남도]] [[담양군]]과 접한다. [[호남고속도로]]나 [[철도]]로 [[호남선]], [[호남고속선]]을 이용할 경우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천안시|천안]], [[대전광역시|대전]], [[전주시|전주]], [[익산시|익산]] 지역에서 [[광주광역시|광주]]로 향할 때 반드시 거치게 되는 일종의 [[전라남도]]의 입구 역할을 한다. 또한 [[광주권]]에 속하는 [[광주광역시|광주]]의 위성 도시이다. [[순우리말]]로 '''갈재(노령)'''라고 불리기도 한다.[* 장성군과 [[전라북도]] [[정읍시]]를 잇는 고개명이 '''갈재(노령)'''인데, 바로 여기서 따온 것이다.] == 역사 == [[백제]] 때 고시이현(古尸伊縣), 구사진혜현(臼斯珍兮縣), 소비혜현(所非兮縣)이었다. [[통일신라]] 때 [[경덕왕]]의 전국 지명 한화 정책에 따라 고시이현은 갑성군(岬城郡), 구사진혜현은 진원현(珍原縣), 소비혜현은 삼계현(森溪縣)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초 갑성군은 장성군으로 개칭되었다. 1018년 장성군과 삼계현은 [[영광군]]의 속현이 되고 진원현은 [[나주시|나주목]]에 예속되었다. 1172년 장성군과 진원현이 영광과 나주에서 분리되고 감무가 파견되었으며 1256년 몽고 제 6차 침공이 있을 때 입암산성에서 몽고군을 격퇴하였다. [[조선]] 초인 1413년 장성과 진원에 현감이 파견되었다. 당시 장성현 중심지는 북일면 오산리였다. 1590년 [[필암서원]]이 건립되었다. 1600년 장성현이 진원현을 흡수하여 읍치를 영천리에 두었다. 1665년 장성현이 도호부로 승격되어 읍치가 성산리로 이전하였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동학농민군]]이 [[황룡촌 전투]]에서 관군을 대파하였다. 1895년 [[23부]]로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전주시|전주부]] 장성군이 되었다. 1896년 13도로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전라남도]] 장성군이 되었으며 1906년 창평군 갑향면과 영광군 현내면, 내동면, 외동면, 외서면, 삼남면, 삼북면이 장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4월 1일 갑향면이 담양군에 편입되었다. 영광군 삼북면, 내동면, 현내면을 합해 삼계면으로, 영광군 삼남면, 외서면을 합해 삼서면으로, 영광군 외동면과 함평군 대화면을 합해 동화면으로 장성군에 편입되어 장성면, 진원면, 남면, 동화면, 삼서면, 삼계면, 황룡면, 서삼면, 북일면, 북이면, 북삼면, 북상면, 북하면의 13개면으로 개편되었다. 동시에 남면 비아리, 안청리는 광주군에 편입되었다. 1921년 장성군청을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1930년 북삼면을 장성면에 합면하여 12개면으로 바뀌었다. 1943년 10월 1일 장성면이 장성읍으로 승격되고 읍소재지가 성산리에서 다시 영천리로 이전되면서 1읍, 11개면으로 바뀌었다. 1975년 10월 1일 [[장성호(호수)|장성호]] 건설로 북상면이 폐지되어 장성읍, 북일면, 북하면에 분할 편입되어 1읍, 10개면으로 바뀌었다. 1983년 남면 삼태리 일부가 [[광주광역시|광주시]]로 편입되었다. === 인구 === || [[파일:장성군 CI.svg|width=50]] '''{{{#000 전라남도 장성군}}}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86.62%,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29,93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79.97%,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19,95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77.20%,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15,79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63.21%,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94,81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54.40%,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81,59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41.21%,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61,81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39.27%,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58,89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37.32%,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55,98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32.78%,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49,16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31.01%,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46,51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30.91%,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46,36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29.64%,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44,46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28.44%,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1월 42,477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ffffff 읍면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89.247%, #888 0%, #888 100%, #AAA 0%)" {{{#fff 장성읍 13,38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37.98%, #888 0%, #888 100%, #AAA 0%)" {{{#fff 삼계면 5,69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26.333%, #888 0%, #888 100%, #AAA 0%)" {{{#fff 황룡면 3,95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24.753%, #888 0%, #888 100%, #AAA 0%)" {{{#fff 남면 3,71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24.04%, #888 0%, #888 100%, #AAA 0%)" {{{#fff 진원면 3,60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20.28%, #888 0%, #888 100%, #AAA 0%)" {{{#fff 삼서면 3,04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18.2%, #888 0%, #888 100%, #AAA 0%)" {{{#fff 북이면 2,73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14.1%, #888 0%, #888 100%, #AAA 0%)" {{{#fff 북하면 2,11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12.047%, #888 0%, #888 100%, #AAA 0%)" {{{#fff 동화면 1,80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9.76%, #888 0%, #888 100%, #AAA 0%)" {{{#fff 서삼면 1,46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E2A 8.987%, #888 0%, #888 100%, #AAA 0%)" {{{#fff 북일면 1,348명}}}}}} || || {{{-2 2023년 5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 || == [[장성군/교통|교통]] == 과장 좀 보태서 '''[[광주광역시|광주]]의 관문'''이다.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천안시|천안]], [[대전광역시|대전]], [[전주시|전주]], [[익산시|익산]]에서 [[광주광역시]]로 올 때 제일 먼저 맞이 하는 곳이 장성군이며[* 물론 [[광주광역시|광주]]뿐만 아니라, '''[[전라남도|전남]]의 관문'''이라 해도 이상하지는 않지만, 전남은 [[호남고속도로]]로만 오는 게 아니라 [[서해안고속도로]], [[순천완주고속도로]]로 올 수 있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고속도로가 [[호남고속도로]]만 존재하던 시절에는 전남의 관문이라 불렸지만 지금은 여기까지 내려오면 대부분 목적지가 [[광주광역시|광주]]이기 때문에 장성까지만 와도 광주에 다 왔다는 걸 대부분 직감하기 때문에 광주의 관문이라 붙어도 이상하지 않다.], [[호남고속도로]] [[광주TG|광주 요금소]]도 장성군에 소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슷한 케이스로, [[서울특별시]]의 관문 중 하나인 [[경부고속도로]] [[서울TG|서울 요금소]] 역시 [[서울특별시|서울]]이 아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하고 있다.] 철도 또한 [[호남고속선]][* [[호남고속선]]은 지나지만 역은 없다.], [[호남선]][* [[백양사역]], [[장성역]]]도 장성을 지나야 [[광주송정역|광주]], [[나주역|나주]], [[목포역|목포]]로 갈 수 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장성군/교통)] == 산업 == 쌀농사 위주의 [[농업]] 지역이며, 특별한 자원이 없어 [[공업]]은 그리 발전하지 않았다. 장성읍과 인접해 있는 고려시멘트나 유진기업 등 [[시멘트]] [[공장]]이 그나마 큰 공장이며, 대부분 농업 지역이다. 그러나 [[잎새주]]로 유명한 [[보해양조]] 주조공장과 동화 농공단지 또한 빼놓을 수 없다. 광주지역 고등학생들이 수능 끝나고 주로 현장학습 가는 곳 중에 하나다. 나노기술일반산업단지 및 현재 조성중인 [[광주연구개발특구]] 개발사업 부지의 대부분이 남면에 위치하고 있고, 그 밖에 삼계면의 삼계농공단지와 동화전자종합농공단지도 있다. 서삼면 용흥리에 장성복합물류터미널이 조성되어 있다. 삼서면의 지역 특산물로는 천연잔디로서 전국 생산량의 57%를 재배·공급하고 있다. [youtube(56DJQwy5RjY)] [[2029년]] 국립심뇌혈관연구소가 건립될 예정이다. === 금융 === ||<-4> '''{{{#ffffff 장성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 || ||<-4> '''{{{#1d1e23 제1금융권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국가기관 }}}''' || ||<-4> [[우정사업본부|{{{#ffffff '''장성우체국 (13)'''}}}]] || ||<-4> '''{{{#1d1e23 국책은행 }}}''' || ||<-4> [[기업은행|{{{#ffffff '''중소기업은행 (1)'''}}}]] || ||<-4> '''{{{#1d1e23 특수은행 }}}''' || ||<-4> [[농협은행|{{{#ffffff '''농협은행(중앙회) (3)'''}}}]] || ||<-4> '''{{{#1d1e23 시중은행 }}}''' || ||<-4> [[국민은행|{{{#ffffff '''국민은행 (1)'''}}}]] || ||<-4> '''{{{#1d1e23 지방은행 }}}''' || ||<-4> [[광주은행|{{{#ffffff '''광주은행 (1)'''}}}]] || ||<-4> '''{{{#1d1e23 지점이 없는 시중은행 }}}''' || ||<-2> [[신한은행|{{{#ffffff '''신한은행'''}}}]][*수완 지점이 가장 가까운 지점이다.] ||<-2> [[우리은행|{{{#ffffff '''우리은행'''}}}]][*하남공단 지점이 가장 가까운 지점이다.] || ||<-2> [[SC제일은행|{{{#66cc00 '''SC제일은행'''}}}]][*상무 지점이 가장 가까운 지점이다.] ||<-2> [[하나은행|{{{#1d1e23 '''하나은행'''}}}]][*수완 지점이 가장 가까운 지점이다.] || ||<-4> [[한국씨티은행|{{{#ff0000 '''한국씨티은행'''}}}]][*광주 지점이 가장 가까운 지점이다.] || ||<-4> '''{{{#ffffff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ffffff 농업협동조합 }}}''' || || [[농협|{{{#fcaf16 '''장성농협 (4)'''}}}]] || [[농협|{{{#fcaf16 '''황룡농협 (2)'''}}}]] || [[농협|{{{#fcaf16 '''삼계농협 (1)'''}}}]] || [[농협|{{{#fcaf16 '''삼서농협 (1)'''}}}]] || || [[농협|{{{#fcaf16 '''백양사농협 (2)'''}}}]] || [[농협|{{{#fcaf16 '''남면농협 (1)'''}}}]] || [[농협|{{{#fcaf16 '''진원농협 (1)'''}}}]] || [[농협|{{{#fcaf16 '''장성축산농협 (1)'''}}}]] || ||<-4> '''{{{#ffffff 새마을금고 }}}''' || ||<-4> [[새마을금고|{{{#afeeee '''담양새마을금고 (1)'''}}}]] || ||<-4> '''{{{#ffffff 신용협동조합 }}}''' || ||<-2> [[신협|{{{#ffa500 '''장성우리신용협동조합 (2)'''}}}]] ||<-2> [[신협|{{{#ffa500 '''장성신용협동조합 (2)'''}}}]] || ||<-4> '''{{{#ffffff 산림조합 }}}''' || ||<-4> [[산림조합|{{{#9acd32 '''장성군산림조합 (1)'''}}}]] || == 문화관광 == [[내장산|내장산 국립공원]]이 [[전라북도]]와 같이 걸쳐져 있고, 주변에 [[백양사]]와 농업용 댐이지만 관광지로 개발된 [[장성호(호수)|장성호]]가 있어 관광도 이뤄지고 있다. 내장산과 백양사는 [[단풍]] 시즌에는 [[광주광역시|광주]]를 비롯한 [[전라북도|전북]], [[전라남도|전남]] 지역에서 많은 관광객이 찾아든다. 다만 백양사 지역은 같은 내장산인 [[정읍시|정읍]]의 [[내장사]] 지구에 비해선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편이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필암서원]]이 있고, 조림 생태숲이 있어 산림욕에 좋은 축령산이 있다. [[홍길동]]이 장성에서 태어났다고 했던걸 이용했는지, 홍길동생가와 [[홍길동테마파크]]가 있다. 사적으로 지정된 입암산성, 여름에도 시원한 남창계곡, 영화 [[태백산맥(영화)|태백산맥]], [[내 마음의 풍금]], [[왕초|MBC 드라마 왕초]] 등의 촬영지인 금곡영화촌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http://www.jangseong.go.kr/home/tour/spectacle/recommend/recommend_03|장성군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옐로우시티 === [[파일:장성군-옐로우시티.png]] 민선 6기 [[유두석]] 군수가 취임하고 군 차원에서 『'''{{{#FFBE2A [[노란색|{{{#FFBE2A 옐로우}}}]]시티}}}'''』 컬러 마케팅을 진행해오고 있다. 이를 위해 옐로우시티 건축디자인 지원사업을 하고 있으며 주민들도 동참중이라고 한다.[[http://honam.co.kr/detail/iGuhUw/600993|#]] 옐로우시티는 [[황룡강]]에서 모티브를 따왔으며 황색은 금색을 연상케 해 부를 부르는 색으로 알려진 지라 추진했다고 군은 설명한다. 이미지 구축을 위해 군청에서 상당한 노력을 쏟고 있기 때문에 차를 타고 군내를 둘러보면 정말 옐로우시티라는게 바로 느껴질 정도이다. 도로변 화단은 온통 황금사철나무 등 노란색을 띄는 식물로 채워져있으며 심지어는 전봇대 보호대, 인도 그늘막까지도 노란색, 장성군 관용차와 [[군민운수|군내버스]]의 도색도 노란색으로 변경했다. 최근에는 군내 아파트 외벽 페인트까지도 지원비를 주고 노란색으로 맞추고 있어 이름만 옐로우시티가 아닌 진정한 옐로우시티가 되어가고 있다. 이 덕에 '황룡강 노란꽃잔치'에 매년 100만 명이라는 관광객이 찾는 등 효과도 거뒀다.[[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3180020392996|#]] 다만 옐로우시티 때문에 과도한 행정력과 세금낭비라는 지적도 끊이지 않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난 2018년 국도 1호선 [[광주광역시|광주]]와 장성 경계부분에 ‘옐로우게이트’라는 폭 34m, 높이 28m짜리 조형물을 예산 10억원을 들여 설치했는데, 장성의 정체성이 그닥 반영되지 않았고 디자인에 대해 호불호가 갈리면서 세금 낭비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으며, 2021년에는 14억원을 들여 군청 입구에 LED 미디어파사드로 덮힌 대형 문주를 설치했는데 이 역시도 세금낭비라는 지적을 피할 수 없었고 무자격자가 시공했다는 논란도 생기면서 KBS광주 뉴스에서 보도되기도 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1047326|해당 기사]] 또한 일부 주민들 사이에서 옐로우시티 마케팅이 너무 과하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고 ‘주의’를 뜻하는 노란색을 너무 남발하면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지적도 있다. 2020년에는 유 군수로부터 집 지붕을 노란색으로 칠하라는 강요를 받은 군청 직원이 이를 폭로하는 사건이 발생하기까지 했다. == 교육 == [include(틀:전라남도 장성군의 초등학교)] [include(틀:전라남도 장성군의 중학교)] [include(틀:전라남도 장성군의 고등학교)] [[초등학교]] 13개, [[중학교]] 8개, [[고등학교]] 4개, [[대학교]]와 [[특수학교]]는 없다. 특이하게도 지역 이름인 '장성'만 사용한 초등학교가 없다. 장성읍내에 있는 초등학교의 이름은 장성'''중앙'''초등학교이다. == [[장성군/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장성군/정치)] == 군사 == [[광주광역시]] [[서구(광주)|서구]] 일대에 있던 [[상무대]]가 지금은 장성군 삼서면과 삼계면으로 이전했다. 과거 상무대가 있던 자리가 지금의 [[상무지구]]. 상무대 소속의 [[육군기계화학교]]가 있어 [[전차]]의 무한궤도의 흔적을 국도에서 심심치않게 볼 수 있다. 상무대에 있는 주요 교육기관은 아래와 같으며, 상무대 자체에서 발생하는 경제활동도 상당한 편이다. 동화면에도 육군포병학교 예하 부대가 있다. 정작 장성군 예비군들은 예비군관리대대가 관내에 없어서 이웃 [[담양군]]으로 훈련받으러 가야 한다. * [[상무대]] [[육군보병학교]]/[[상무대통합방호사령부]] [[육군포병학교]] [[육군기계화학교]] [[육군공병학교]] [[육군화생방학교]] [[상무대 근무지원단]] [[제51군수지원단]] 190공병대대 57통신대대 11전차대대 == [[장성군/행정|하위 행정구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장성군/행정)] == 출신 인물 == * [[강구덕]] * [[강성기]] * [[고영신]] :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전 언론인 * [[고은아]] : 배우 * [[고광효]] : 관세청장 * [[공창덕]] * [[감스트]] :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 [[BJ]][* 태어난 곳만 이 곳이지 [[광주광역시]]에서 유년 시절과 학창 시절을 보내 광주광역시가 고향이라 해도 이상 없다.] * [[기동민]] : 제20, 21대 국회의원[* 지역구 : [[서울특별시]] [[성북구 을]].] * [[김경록(정치인)|김경록]] : 정치인 * [[김경수]] (조선 중기 문신, 의병) * [[김경진(정치인)|김경진]] : 정치인 * [[김동일(1941)]] * [[김동호(1904)|김동호]] * [[김병조]] : 코미디언 * [[김녹영]] : 정치인 * [[김병수(1912)|김병수]] : 정치인 * [[김상순(1900)]] * [[김상현(1935)|김상현]] : 정치인, 6선 국회의원 * [[김양수(1950)]] * [[김영수(군인)|김영수(소령)]] : 장성군 삼계면 출신. 전 [[해군사관학교]] 출신 직업군인, 현 국방권익연구소 연구소장 * [[김영천(법조인)|김영천]] * [[김용우(1961)|김용우]] : 4성장군. 제 47대 육군참모총장. 장성이 배출한 장성 * 김익중 (한말 의병장) * [[김인후]] : 조선 [[인종(조선)|인종]]의 스승이었고 을사사화에 반대하여 귀향했으며 신라~조선에서 유교에 기여한 18인을 기리는 문묘에 배향됨. * 김재구 : [[한국기원]] 전 바둑기사 8단 * [[김재식(1923)|김재식]] : 정치인 * [[김정식(CCM)|김정식]] : 가톨릭 CCM 뮤지션 * [[김태규(1923)|김태규]] * [[김한종(정치인)|김한종]] * [[김회식]] * [[김황식(1948)|김황식]] : 대법관 출신으로 이명박 정부에서 국무총리를 역임했다. * [[김효석(1949)|김효석]] : 중앙대 교수와 3선 의원을 지냈다. * [[김흥식]] * [[맨만숙]](본명: 기현주) * [[미르(엠블랙)|미르]](본명: 방철용) * [[박관열]] * [[박범수(공무원)|박범수]] : 농림축산식품부 관료 * 박수량 : 청백리로서 형조판서를 지냈다. 사후 청렴의 상징으로 백비가 세워진 것으로 유명하다. * [[박준혁]] : (52회 세무사, 현 로우텍스세무회계 대표) * [[박태영]] (전 정치인, 전 전라남도지사) * [[반명환]] * [[백군기]] : 군인(대장), 제3야전군사령관 출신으로 제19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장성군이 배출한 장성군. 현 [[경기도]] [[용인시장]] * 변이중 : (조선 중기 문신) * [[변진갑]] * [[변희봉]] (영화배우, 탤런트) * [[손창완]] : 전 한국공항공사 사장, 경찰공무원 * [[송광운]] * [[송흠]] : 청백리와 효자로 유명했으며 병조판서와 판중추부사 등을 역임했다. '삼마태수'라는 별명이 있었는데, 원래 당시 사또들은 7~8필의 말을 타고 다니는데 이 사람은 3필의 말만 끌고 다니면서 공직을 수행했기 때문에 붙여진 별명이다. 젊은 시절 고향 선배이자 과거급제 선배인 <[[표해록]]>의 저자 최부에게 꾸지람을 듣고 반성하여 청렴한 공직생활을 하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 [[신극정]] * [[유두석]] : 전 장성군수 * [[윤시석]] * [[윤형중]] : 현 한국공항공사 사장, 전 국가정보원 제1차장 * [[이건기]] (전 서울특별시 행정2부시장) * [[이병완]] * [[이용범(1952)]] * [[이원호(정치인)|이원호]] * [[이재식(1972)]] * [[이종남(1919)]] * [[이준호(1969)]] * [[이창섭(1962년 10월)|이창섭]] * [[임우진]] * [[임정옥]] * [[정진권(군인)|정진권]] * [[조영규]](조선 중기 무신) * [[조은석]] * [[최경환(1959)|최경환]] : 정치인, 전 국회의원.[* 당시 지역구는 [[광주광역시]] [[북구 을(광주)|북구 을]]이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관 [[분류:장성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