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북한의 호수]][[분류:함경북도]] ||<-6> {{{+2 '''장연호'''}}}[br]長淵湖 || ||<-6>[include(틀:지도,장소=장연호,너비=100%,높이=250px)]|| [목차] [[https://dbscthumb-phinf.pstatic.net/4090_000_3/20150916174242762_81UHIMZUK.jpg/A20502306231.jpg?type=m4500_4500_fst_n&wm=Y|사진]] == 개요 == [[함경북도]] [[경성군]] 주남면과 어랑면에 걸쳐 있는 호수.[* 대부분의 수역은 어랑면에 속한다. 북한 행정구역상으로는 어랑군 룡평리] 둘레 26.4㎞, 면적 7.4㎢이다. 호수의 수심은 평균 25m이며 최고 29.3m이다. [[서번포]]·[[만포]]에 이어 함경북도 제3의 호수이다.[* 서번포와 만포는 모두 [[석호]](潟湖)이다.] 석호와 [[칼데라]]호를 제외한 자연호수로는 한반도 최대 넓이. 조선 시대에는 장자택(長者澤)이라고도 하였다. 호안선이 복잡한 편이다. [[신생대]] 제3기에 화산 활동으로 하천이 막혀 생성된 언색호(堰塞湖)로 분류된다. 근방에는 처럼 이런 식으로 형성된 호수가 여럿 있다. 어랑천 하구 지대인 부근에는 본 호수와 [[무계호]](武溪湖)·[[동련호]](東蓮湖)·~~서련호(西蓮湖)·북명호(北溟湖)~~ 등이 있는데 이들을 합쳐서 어랑오호(漁郞五湖)라 부른다. '어랑'은 여진 말로 호수라는 뜻이라는 설이 있다. 지금은 서련호와 북명호는 메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어랑삼호(漁郞三湖)라 불러야 할 듯. 호수 동쪽에는 간양도(看羊島)라는 작은 [[호중도]]가 있다. 동쪽 끝 호안에는 [[어랑역|어대진역]](북한:어랑역)이 있다. 1980년에 북한의 천연기념물 328호로 지정되었다. == 기타 == [[황해도]] [[장연군]](長淵郡)과는 관련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