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역대 감독)]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DDDDD 0%, #FFFFFF)" {{{+1 {{{#000000,#e5e5e5 ''' 대한민국의 농구감독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일.jpg|width=100%]]}}} || ||<-3> '''{{{+2 {{{#000000 장일}}}}}} [br] {{{#000000 張一}}}''' || ||<-2> {{{#000000,#e5e5e5 ''' 출생 ''' }}} ||[[1967년]] [[4월 8일]] ([age(1967-04-08)]세) || ||<-2> {{{#000000,#e5e5e5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000000,#e5e5e5 ''' 신체 ''' }}} ||[[키(신체)|키]] 188cm|[[체중]] 84kg || ||<-2> {{{#000000,#e5e5e5 ''' 학교 ''' }}} ||[[용산고등학교]] {{{-2 (졸업)}}}[br][[중앙대학교]] {{{-2 (졸업)}}} || ||<-2> {{{#000000,#e5e5e5 ''' 직업 ''' }}} ||농구선수([[스몰 포워드]]/ ^^은퇴^^)[br][[농구 감독]] || ||<-2> {{{#000000,#e5e5e5 ''' 실업입단 ''' }}} ||1990년 [[부산 kt 소닉붐|기업은행 농구단]] || ||<|3>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부산 kt 소닉붐|기업은행 농구단]] (1990~1996) || || {{{#000000,#e5e5e5 ''' 감독 ''' }}} ||[[중앙대학교]] (2001 / ^^대행^^) [br] [[중앙대학교]] (2001~2002, 2005~2006.9) [br]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오토몬스]] (2004 / ^^대행^^) || || {{{#000000,#e5e5e5 ''' 코치 ''' }}} ||[[국군체육부대]] (1996~1997) [br] [[안양 KGC인삼공사|안양 SBS 스타즈]] (1997~1998) [br] [[중앙대학교]] (2000) [br]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오토몬스]] (2003) [br] [[용산고등학교]] (2012~2013)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농구 선수. === 선수 시절 === [[용산고등학교|용산고]], [[중앙대학교|중앙대]]를 거친 포워드로, 중대 입학동기로 ~~[[강동희]]~~가 있다. 저학년 때는 걸출한 선배들(83학번 [[김유택]], [[강정수]], 84학번 [[허재]])의 존재로 주로 벤치에서 출전했고, 고학년 때부터 주전 포워드로 활약하며 중앙대 전성시대를 이어갔지만 [[김유택]], [[허재]]가 졸업한 이후 중앙대는 대학 최강까지는 아니고 연세대와 우승을 다투는 수준으로 내려오게 된다. 중앙대 3학년이던 1988년 [[대학농구연맹전]] 추계대회 연세대와의 경기에서 폭력사태에 휘말린 적이 있었다. 중앙대의 승리로 게임이 끝나던 경기 막판, 장일이 드리블하다 공을 던졌다는 이유로 연세대 선수들이 단체로 달려들면서 양팀간 난투극이 벌어졌고, 연대 신입생이던 [[정재근(농구)|정재근]]이 장일을 ~~저승타로~~ 가격해 코뼈가 주저앉게 했다. 결국 정재근은 중징계를 받았고, 연세대학교는 1988-89 농구대잔치에 불참했다. ~~이후 KBL 97-98 시즌 장일이 [[안양 KGC인삼공사|안양 SBS]] 코치로 부임했다 졸업후 [[부산 kt 소닉붐|기업은행]]에 입단, [[이민형(농구)|이민형]], [[김상식(농구)|김상식]] 등과 함께 활약했으며 [[1995-96 농구대잔치]]를 끝으로 기업은행 농구단이 해체수순을 밟자, 프로선수로 전환한 [[이민형(농구)|이민형]], 김상식과 달리 곧바로 은퇴하고 [[1996년]]에 [[국군체육부대|상무]] 코치로 갔다. === 지도자 시절 === [[국군체육부대|상무]] 코치로 있다가 1997년 대학선배 강정수 감독의 부름을 받고 30세의 나이로 [[안양 KGC인삼공사|안양 SBS 스타즈]] 코치로 부임하지만 97-98 시즌 플레이오프 탈락 후 강정수와 같이 짤린다. 2000년 모교 [[중앙대학교]] 코치로 부임했다가 양문의 감독이 갑자기 사임하면서 감독대행을 거쳐 감독으로 승격했으며, 승격 직후 벌어진 [[2001 대학농구연맹전|제38회 세원텔레콤배 전국대학농구2차연맹전]]에서 지도자상을 수상받았다. 2003년 [[최희암]] 감독의 부름을 받아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오토몬스]] 코치로 부임했다가, [[최희암]] 감독이 성적부진으로 중도 퇴진하자 감독대행으로서 03-04 시즌을 치렀다. 하지만 이때도 성적이 좋지 않았고, 시즌 종료 후 모비스는 전신 기아산업의 명 [[포인트 가드]]로 활약했던 '''[[유재학]]'''을 후임 감독으로 데려오게 된다. 2005년부터 2006년 9월까지 [[중앙대학교]] 감독을 다시 맡게된 이후 제21회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와 제86회 전국체전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였고, [[2005 대학농구연맹전|제42회 SK텔레콤배 전국대학농구3차연맹전]] 결승전에서 [[연세대학교]]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면서 지도자상을 수상하였고, 2006년 4월에 열린 제22회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 결승전에서 [[경희대학교]]를 꺾고 6년만의 MBC배 우승을 달성하면서 중앙대의 황금기를 이끌게 되었다. 중앙대 시절에는 [[함지훈]], [[박상오]], [[허효진]], [[강병현(1985)|강병현]], [[윤호영(1984)|윤호영]] 등을 키워냈으며, 2006년 9월에 개인사정으로 [[김상준(농구)|김상준]] 감독에게 자리를 넘겨주고 사의를 표명했다. 그 후 MBC에서 해설을 맡았고, 대학 동기 ~~[[강동희]]~~의 소개로 [[원주 DB 프로미|원주 동부 프로미]] 스카우트로 활동했다가, 2012년 모교 [[용산고등학교]] 코치로 부임했다. [[용산고]] 시절 [[허훈(농구)|허훈]](연세대), 한준영(現 [[전주 KCC 이지스|전주 KCC]] 박세진) 등을 키워냈고, 2012년도 협회장기 우승[* 헝그리베스트 5의 기적으로 불리던 [[부산중앙고등학교]]의 준우승 당시 우승팀이다.]을 이끌었다. 03-04 시즌 모비스 감독대행 시절 올스타전 OB전에 나온 적도 있었다.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수원 kt 소닉붐/선수단]]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장일, version=44)] [[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1967년 출생]][[분류:1990년 데뷔]][[분류:1996년 은퇴]][[분류:스몰 포워드]][[분류:수원 kt 소닉붐/은퇴, 이적]][[분류:용산고등학교 출신]][[분류:중앙대학교 출신]][[분류:상무 농구단/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