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었던 금강산청년선의 역, rd1=고성역)] ##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3> {{{+2 '''장전역'''}}} || ||<-3> [[부산 지하철 1호선|[[파일:Busan1.svg|width=30]]]] || || [[다대포해수욕장역|{{{#!html
다대포해수욕장 방면}}}]][[부산대역|부산대]][br]← 0.9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html
1호선
(129)
}}}]] || [[노포역|{{{#!html
노포 방면}}}]][[구서역|구 서]][br]1.1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장전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Jangjeon || || [[한자]] ||<-2> 長箭 || || [[간체자]] ||<-2> 长箭 || || [[가나(문자)|가나]] ||<-2> [ruby(長箭, ruby=チャンジョン)] || ||<-3> '''주소''' || ||<-3>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온천천로]] 144 ([[장전동]]) || ||<-3>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 ||<-3> 장전관리역 / [[제1운영사업소]] || ||<-3> '''운영 기관'''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부산교통공사]] || ||<-3> '''개업일'''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1985년 7월 19일 || ||<-3> '''역사 구조''' || ||<-3> 지상 2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attachment/Jangjeonst.jpg|width=100%]]|| || 장전역사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29번.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온천천로]] 144 ([[장전동]])소재. 본래 1971년 당시 초기 구상 안에서는 '''부곡역'''이었다. 원래 '''장전동역'''이었으나 [[2010년]] [[2월 25일]]에 '''동'''으로 끝나는 역들의 '''동'''을 삭제하여 '''장전역'''으로 개명하였다. 부역명은 인근에 있는 '''[[부산가톨릭대학교]]'''이었으나 계약이 만료되어 삭제되었다. == 역 정보 == ||[[파일:attachment/장전역/Example.jpg|width=100%]]|| || [[스크린도어]] 설치 전 승강장 || [[온천천]]의 흐름 때문에 고가역사 중에서 보기 드물게 급곡선 형태로 지어졌으며[*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751666&page=1&exception_mode=recommend|직접 한번 보자]]] 승강장도 꽤 좁은 편이다. [[부산대역]] 방향으로 Y자 건넘선이 설치되어 있는데 [[2014년]] [[8월 25일]][[2014 동남권 폭우 사태|에 떨어진 물폭탄으로 인하여]] [[범어사역]]이 침수되면서 [[신평역]] ~ 장전역 구간만 운행하기 위해 사용되였다. [[2013년]]부터 [[부산대역]]과 함께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가동 중이다. 내부 마감 색은 [[파란색]]과 [[하늘색]]이며 이 역의 지붕은 [[연녹색]]인데 위성[[지도]]로 확인해보면 [[온천천]] 위에 고가로 세워진 6개 역 중 3칸 다음 [[명륜역]]과 깔맞춤이 되어있다. 1988년 동래구에서 금정구로 분리가 되었을 때 청사가 준비가 되지 않아 현 청사 신축이 완료되기 전 까지 이 역과 부산대역, 그리고 동래구청에 임시청사가 들어왔었다. == 역 주변 정보 == 경남한신아파트, 부곡쌍용아파트, 서희스타힐스아파트 등 평범한 주거지역인지라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안에서 특별히 승하차 인원이 많은 편은 아니다. 다만 [[남산동(부산)|남산동]]이나 [[구서동]] 방면으로 향하는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부산 시내버스]]나 [[양산시 시내버스|양산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이 역에서 내려 환승하는 것이 좋다. [[부산대역]]에서 [[부산대학로(부산)|부산대학로]]나 [[금정로(부산)|금정로]]의 버스 정류장까지는 5분 정도 걸어야 하지만 이 역은 3번 출구 바로 앞에 [[금정로(부산)|금정로]]가 있어서 버스 타기가 편리하다. 또한 부산대를 회차지점으로 삼는 시내버스 노선 중에 이 역을 경유하는 노선이 6개나[* 회차노선: 77, 100, 100-1, 110, 121, 144/경유노선: 29, 80, 111-1, 300, 1008등] 있어서 그 노선들과의 연계도 편하다. 단 다른 부산대 종점 노선인 110-1번, 148-1번, 183번은 '''부산대 정문 앞에서 회차하는 특성상 이 역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부역명으로 쓰인 [[부산가톨릭대학교]][* 정작 가톨릭대학교는 부곡동에 있어 이름과 실제가 다른 케이스긴 하다.]는 [[부산 버스 금정5|금정5번]], [[부산 버스 금정5-1|금정5-1번]] 마을버스를 이용하면 갈 수 있다. 그리고 [[부산대학교]]의 북문 근처 건물인 법학관, 사회관, 경영관(A동,B동), 새벽벌도서관, 자유관,[* 여학생 생활관] 성학관은 [[부산대역]]보다 오히려 이 역에서 조금 더 가깝다. 물론, 도보 기준이 그렇다는 것이고 경사가 급격해서 시간이 적게 걸림에도 불구하고 내려갈때는 몰라도 올라갈때는 힘이 많이들기 때문에[* 경사각 역시 힘에 영향을준다.(경사각 증가 - 작용하는 힘의 크기 증가로 이어진다.)], 그냥 부산대역에 내려서 [[부산 버스 금정7|부산대 순환버스]]를 타는 것이 더 편하고 시간도 빠를 수 있다. == 일평균 이용객 == 장전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부산 도시철도 1호선|[[파일:Busan1.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2년 || '''24,700명''' || {{{#fff,#1f2023 비고}}} || || 2003년 || 23,418명 || || || 2004년 || 21,855명 || || || 2005년 || 20,477명 || || || 2006년 || 19,610명 || || || 2007년 || 19,100명 || || || 2008년 || 19,664명 || || || 2009년 || 19,746명 || ||}}}}}}}}} || || 2010년 || 20,111명 || || || 2011년 || 21,566명 || || || 2012년 || 22,030명 || || || 2013년 || 22,613명 || || || 2014년 || 23,423명 || || || 2015년 || 22,740명 || || || 2016년 || 22,761명 || || || 2017년 || 23,007명 || || || 2018년 || 23,147명 || || || 2019년 || 23,419명 || || || 2020년 || 17,049명 || || || 2021년 || 17,955명 || || || 2022년 || 19,820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www.humetro.busan.kr/homepage/default/board/list.do?conf_no=81&board_no=&category_cd=&menu_no=1001040201|부산교통공사 자료실]] || }}} 장전역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23,419명(2019년 기준)으로, 부산 1호선 전체 평균 수준이다. 역세권은 평범한 주거지역이지만 재학생 수 기준 부산 최대의 대학교인 [[부산대학교]]가 가까운 덕분에 근처의 자취생과 통학생[* 일부 학교 건물이 부산대역보다 장전역에서 더 가깝다. ~~그냥 부산대역 가서 순환버스 타자~~]이 장전역을 이용하기도 한다. 또 [[정관신도시]] 주민들이 1호선을 타기 위해 가장 많이 가는 역이다.[* 주로 [[부산 버스 1008]]을 이용한다.] [[부산가톨릭대학교]]를 가고자 한다면 이 역에서 하차하여 [[부산 버스 금정5|마을버스]]나 스쿨버스를 이용하도록 하자. 이 역도 다른 역처럼 2000년대 초반에 이용객의 꾸준한 하락세를 겪었지만, 2007년 이후로 10년째 반등하는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 승강장 == ||[[파일:attachment/jangjeon.jpg|width=100%]]||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 ||[[파일:장전역.gif|width=100%]]|| || 역 안내도 || ||<-4> [[부산대역|부산대]]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구서역|구서]] || || {{{#ffffff 상}}} ||<|2>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연산역(부산)|연산]]·[[서면역|서면]]·[[하단역|하단]]·[[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 방면|| || {{{#ffffff 하}}} ||[[구서역|구서]]·[[두실역|두실]]·[[남산역(부산)|남산]]·[[범어사역|범어사]]·[[노포역|노포]] 방면|| == 요금 == ||<-6>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 || [[서면역|서 면]] || ◁ || {{{#c0c0c0 장 전}}} || ▷ || [[노포역|노 포]]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ffffff 3}}}]] || [[망미역|망 미]] || ◁ || [[연산역(부산)|연 산]] || ▷ || [[숙등역|숙 등]]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ffffff 4}}}]] || [[미남역|미 남]] || ◁ || [[동래역(도시철도)|동 래]] || ▷ || [[반여농산물시장역|반여농산물시장]] || || [[동해선 광역전철|{{{#ffffff 동해}}}]] || [[부전역(동해선)|부 전]] || ◁ || [[교대역(부산)|교 대]] || ▷ || [[센텀역|센 텀]] || == 사건·사고 == [[2000년]] [[6월 2일]] 오전 7시 44분에 장전역 ~ [[구서역]] 사이 구간에서 열차가 탈선하여 중앙분리대를 부수고 반대편 선로를 덮치는 일이 발생하였다. 이 사고로 전동차가 전복되지는 않았지만, 차량이 급정지하면서 객차 안에서 승객들이 넘어졌고, 10명이 허리 중에 중경상을 입고, 상당수가 찰과상을 입었다고 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9&aid=0000016199|기사]] [[https://www.humetro.busan.kr/homepage/history/board/view.do?board_no=720&conf_no=41&menu_no=100202020702|사이버역사관]] == 연계 교통 == === 금정로 가로변 정류장 === * 장전역(정류장 번호: 11-071) * [[부산 버스 29]] - [[금정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49]] - [[금정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51]][*심야 심야포함] - [[금정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77]] - 학장동행 * [[부산 버스 80]] - [[금정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00]]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00-1]]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10]] - 학장동행 * [[부산 버스 111-1]] - 금곡동행 * [[부산 버스 121]] - 금곡동행 * [[부산 버스 131]] - [[금정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44]] - 반여3동행 * [[부산 버스 301]] - [[금정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008]][*심야] - 좌천(원자력의학원)행 * [[부산 버스 1002|부산 버스 심야1002]] - [[웅상공영차고지]]행 * [[양산 버스 16]] - [[양산시내버스공영차고지|증산공영차고지]]행 * 장전역(정류장 번호: 11-249) * [[부산 버스 1008]][*심야] -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행 === 수림로 가로변 정류장 === * 장전역(정류장 번호: 11-280) * [[부산 버스 300]] - 구포시장([[덕천역]])행 * 장전역(정류장 번호: 11-281) * [[부산 버스 300]] - [[금정공영차고지]]행 === 마을버스 === * [[부산 버스 금정5]] * [[부산 버스 금정5-1]]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분류:1985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부산광역시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분류:금정구]][[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