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조위의 인물 구련, rd1=장정(삼국지))] 張政 생몰년도 미상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대]] [[중국]]의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의 [[오(삼국시대)|손오]]의 [[무장]]으로 서릉독(西陵督)을 지냈다. == 행적 == [[양양(중국 도시)|양양]]에 주둔하면서 [[징저우시|강릉]] 이북의 [[형주]] 북부를 다스리던 [[서진]]의 장수 [[양호(삼국지)|양호]]가 병으로 죽고 [[두예]]가 그의 뒤를 이어 형주 방면의 [[지휘관]]으로 부임할 무렵에 장정은 [[이창시|서릉]]에 주둔하고 있었다. 두예의 열전인 <[[진서]](晉書)> 두예전(杜預傳)에서 장정은 [[명장]]으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기록되어 있으나, 정작 어떠한 행적을 보였는지는 기록이 없어 알 수가 없다.]] 그러나 두예가 정예병을 선발하여 [[기습]]해오자 이에 별다른 대비를 하지 않고 있었기에 크게 패했다[* 양호가 죽은 것이 278년 12월 27일(양력)이고, 두예가 양양에 부임하자마자 무기들을 수선하고 곧바로 기습했다고 하니 279년 전투가 벌어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서릉성이 공격받았다는 기록은 없으므로 장정이 성 밖으로 상당한 규모의 군대를 끌고 나와서 대규모 훈련을 하다 뜻밖의 기습을 당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장정은 뜻밖에도 큰 피해를 입게 되자 여기에 상당한 수치심을 느꼈는지 조정에 두예의 습격으로 발생한 사상자를 보고하지 않았는데, 두예가 이 사실을 알고 이간시키기 위해 장정과의 싸움에서 붙잡은 [[포로]]들을 [[오(삼국시대)|손오]]의 [[황제]] [[손호]]에게 보란듯이 돌려보내어 사실을 알리니, 마침내 분노한 손호가 ~~낚여서~~ 장정을 불러들이고 당시 무창감(武昌監)이던 [[유헌]]에게 장정을 대신하게 하여 서릉으로 부임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는 [[악수(동음이의어)#s-2|악수]]를 둔 것이었고, 그 [[멸망|결과]]는 1년만에 드러나게 된다. 한편, 이후 장정은 손호에게 불려간 이후 기록이 어디에도 등장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유배나 사형 등 영 좋지 않은 꼴을 당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이로써 [[오멸망전|큰 싸움]]을 앞두고 장수를 갑작스럽게 바꾼 꼴이 되어 [[오나라]]가 멸망할 태세가 갖춰졌다는 두예전의 언급으로 볼 때, 장정은 오랫동안 서릉 일대에 주둔[* [[육항]]이 죽은 직후 서릉에 부임하면서 육항이 운용했었던 서릉의 수비병을 물려받았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하여 병사들을 훈련시켰던 것으로 보이며, 명장으로 불렸을 뿐더러 두예가 [[반간계]]를 써서 제거하려 했던 만큼 상당한 수준의 군사적 능력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진도(삼국지)|다만 기록이 영 없어서 상고할 수 없는 것이 안타까울 따름.]]''' 다만 손호 입장에서는 교체 안하는게 더 이상한 상황이었긴 하다. 진서 두예전만 보면 장정이 요해지에 주둔했는데도 일방적으로 깨진데다 손호에게 피해상황까지 숨겼다 하니 이는 능력 이전에 기군망상의 죄를 저지른지라 손호 입장에서는 장정이 언제 명령을 어길지도 모르는 장수로 여겨지기에 충분했으며, 따라서 장정에 대한 신임을 거두고 그를 해임할 요인이 충분히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을 봤을때 이전의 서릉독인 육항만큼의 역량을 되지 못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어쨌거나 두예가 손오정벌전의 최대 걸림돌로 여겨 껄끄러워 상대이니만큼 서릉독에 그가 계속 있었으면 혹시 모르지 않나하는 IF 떡밥을 굴릴만한 사람은 된다고 할 수 있으니 그가 좀 더 처신을 잘했으면 어땠을지 아쉬움이 드는 장수라고 할 수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장정(삼국지), version=18)] [[분류:손오의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