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장프랑수아 드 갈로 라페루즈 백작}}}[br]Jean-François de Galaup, comte de La Pérous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000126653.jpg|width=100%]]}}} || ||<|2> '''출생''' ||[[1741년]] [[8월 23일]] || ||[[프랑스 왕국]] 알비 || ||<|2> '''사망''' ||[[1788년]] (향년 46~47세) || ||[[솔로몬 제도]] 바니코로섬 인근 해안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 '''직업''' ||[[군인]], [[탐험가]] || || '''군 복무 기간''' ||1756~1788 || || '''계급''' ||해군 준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의 군인, 탐험가. == 생애 == 알비에서 귀족출신의 아들로 태어났고 1756년 해군 장교로 입대해 [[7년 전쟁]]당시 벨일 해전에서 포로로 잡혔으나 4년 뒤 포로 협정으로 석방되었다. 1764년 중위로 진급해 10년간 프랑스에서 복무하다가 인도에서 2년간 복무했다. 이후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해 허드슨 만의 영국 해군기지를 공격해 큰 공을 세우고 대령까지 올랐다. 이후에도 카리브해에서도 영국군과 전투를 치렀다. 1785년에 루이 16세의 명을 받고 배 2척 선원 220명, 당대 최고의 장비를 갖추고 태평양 탐험에 나섰다. 대서양을 건너 칠레 해협을 돌아서 하와이, 알래스카, 필리핀을 거쳐 1787년 5월에 제주도와 울릉도 근방을 지나갔다. 그 후 사할린과 아시아 본토 사이의 타타르 해협을 지나가려다가 실패하고 대신 남쪽 해협을 지나갔는데 그 해협이 바로 이 [[라페루즈 해협]]이다. 하지만 이 해협을 통과한 후 9월에 페트로파블로프스크에서 잠시 쉬었다가 오세아니아로 향했는데 오스트레일리아 북쪽 [[솔로몬 제도]]인근을 지나가다가 좌초되어 행방불명되었다. 당시 프랑스 정부에선 구조대를 파견하려 했으나 번번히 취소되었다. 배의 잔해는 1826년이 되어서야 발견되었다. 한때 생존설이 나왔으나 섬에 가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망처리되었다. == 여담 == * 부모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귀족의 신분으로, 인도 식민지에 근무하던 프랑스인 하급 관리의 딸과 결혼했으며 직계 자손은 없다. * 이 항해의 유일한 생존자인 바르텔레미 드 레셉스는 해군장교인 그는 라페루즈 탐험대장의 비서 겸 통역으로 탐험에 참가했다. 그는 함대가 캄차카 반도의 아바차에 기항했을 때, 그때까지 작성된 항해 일지, 지도, 학술 보고서 등 문서를 시베리아와 유럽 대륙을 횡단하는 육로로 프랑스 파리까지 가지고 왔다. 레셉스는, 1870년대에 수에즈 운하의 대역사를 완성하여 세계 지도를 바꾼 [[페르디낭 마리 레셉스]]의 삼촌이기도 하다. [[분류:7년 전쟁/군인]][[분류:미국 독립 전쟁/군인]][[분류:프랑스의 군인]][[분류:프랑스의 탐험가]][[분류:1790년 출생]][[분류:1832년 사망]][[분류:타른 출신 인물]][[분류:실종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