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장필준/선수 경력)] ||<-5>
'''[[장필준|{{{#ffffff 장필준}}}]]{{{#ffffff 의 연도별 시즌 일람}}}''' || || [[장필준/선수 경력/2022년|2022년]] || → || '''{{{#074ca1,#5ea2f8 2023년}}}''' || → || [[장필준/선수 경력/2024년|2024년]] || [목차] == 개요 == 삼성 라이온즈의 투수, [[장필준]]의 2023시즌을 정리한 문서이다. 올 시즌 이후 방출명단까지 갈뻔 했으나 삼성의 불펜이 매우 약하므로 경험이 풍부한 베테랑인 장필준이 필요 했을것이다. 그러나 억대 연봉에서 삭감이 되며 자신의 입지가 그리 좋지 않은것을 보여주게 되었다. 사실상 올 시즌 보여준게 없다면 더 이상 기회를 받기 어려울수도 있는 시즌. 그러나 반대로 준수한 모습을 보인다면 1군서 자리잡기는 충분할것이다. == 시즌 전 == === 시범 경기 === 시범경기에서는 LG전, 키움전 2경기 등판하여 총 6이닝 동안 12피안타(1피홈런) 3사사구 4탈삼진 9실점 ERA 13.50으로 영 좋지 못한 모습을 보였다. == 페넌트레이스 == === 4월 === 2군에서 개막을 맞이하였다. 1군 승격시엔 불펜이 약한 팀 사정상 선발이 무너질 경우 1+1로 등판하여 2~3이닝을 책임지는 역할으로 예상되며 2군 선발 로테이션을 돌 것으로 보인다. 4월 7일 [[KIA 타이거즈/2군|기아 2군]]과의 경기에 선발 등판하였으나 4⅓이닝 동안 5피안타 4볼넷 1탈삼진 2실점으로 5이닝도 채 소화하지 못하고 강판됐다.[* 상대팀 선발이었던 같은 88년생의 [[김건국]]은 3이닝 4피안타 1볼넷 1실점으로 이닝 소화만 좀 적었을 뿐 작년에 프로를 뛰지 않았던 점을 감안하면 오히려 선방한 투구였다.] 4월 21일 경기에서 1군에 콜업되어 개인 사정으로 귀국하며 로테이션을 한번 거르게 된 수아레즈 대신 선발로 등판했다. 3이닝동안 4피안타 4사사구 4삼진 1실점을 기록하며 과정이 좋다고는 하기 힘들지만 결과적으로는 잘 틀어막았다. 패전 요건인 상태에서 강판되었으나 5회에 팀이 역전하며 노디시전을 기록했다. 4월 27일 경기에서는 2이닝 4피안타 2볼넷 5실점으로 매우 부진했다. 구속 자체는 나쁘지 않았는데[* 140 초반이었지만 라팍임을 감안하면 실제로는 약 145-147 정도가 나온 것이다.] 문제는 제구가 안 좋아서 1이닝당 볼넷을 한 개 꼴로 내줬고, 안타도 많이 맞았다는 것이다. 특히나 강승호가 홈런을 칠 때 이미 볼넷으로만 주자가 두 명이 쌓였기에 좋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결국 다음날인 4월 28일 1군에서 말소되었다.[* 꽤 연차가 있음에도 전성기 시절 모습을 회복하지 못해 전망이 매우 어둡다. 구속은 어느 정도 유지되거나 나아진 모습이지만 제구력과 구위에 큰 약점을 노출하고 있다.] 게다가 5월 3일 다른 투수도 아니고 무려 '''[[오승환]]'''이 전격 선발 기회를 가지면서 사실상 장필준이 더 이상 1군에서 기회를 부여 받는 일은 2군에서 다시 공이 좋아졌다는 기록이나 보고가 올라가지 않는 이상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그리고 그 오승환은 5이닝 3실점을 기록했다.--- === 5월 === 2군에서 선발로 4경기 등판했으나 승리 없이 1패를 기록했고 월간 평균자책점은 6점대에 달했다. === 6월 === 결국 6월 들어서는 선발 로테이션에서 탈락했다. 6월 6일 롯데 2군전에서는 1이닝 6실점(4자책점), 6월 9일 KT 2군전에서는 0⅓이닝 5실점을 기록했다. 이후 4경기 무실점을 기록했으나 앞서 2경기 대량실점을 했던 탓에 월간 평균자책점은 무려 17점을 넘겼다. === 7월 === 2군에서는 7점대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으나 7월 8일 1군에 콜업돼 당일 창원 NC전에 9회말 등판하여 150km에 달하는 직구를 던지며 1이닝을 막아냈다. 가장 좋을 때인 2017-2019년의 모습을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후반기 첫 경기인 7월 21일 KT전 홈 경기에 깜짝 선발로 등판하게 되었다.[* 사유는 1선발 [[데이비드 뷰캐넌|뷰캐넌]]의 무릎 통증으로 인해 로테이션을 한번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1회 초는 2사 후 [[앤서니 알포드|알포드]]에게 볼넷을 하나 허용하긴 했어도 4번 타자인 [[박병호]]를 2구만에 2루수 플라이로 처리하며 무난히 막아냈으나, 2회 초에 [[장성우]]와 [[황재균]]에게 연속 안타를 허용하며 무사 2, 3루를 허용하고는 바로 [[이재익]]으로 교체되고 말았다. 이미 [[박진만]] 감독이 불펜데이를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109&aid=0004893004|선언]]한 만큼 조기강판 또한 이미 이야기가 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재익]]이 [[강백호(야구선수)|강백호]]한테 좌월 쓰리런을 허용하면서 최종 1이닝 2피안타 1볼넷 2실점(2자책)을 기록했다. === 8월 === 8월 11일 인천 SSG전에서 8회말 2아웃에 등판하여 남은 아웃카운트 1개를 문제없이 잡았다. 팀은 9회초 김현준이 9회초 서진용을 상대로 4:4에서 5:4로 앞서가는 점수를 뽑고 9회말 오승환이 깔끔하게 세이브를 기록하면서 시즌 첫 승리투수를 따냈다. 8월 18일 대구 KIA전에서 7회초 9점차로 앞서가는 상황에서 등판했으나 등판하자마자 소크라테스에게 3루타, 이창진의 희생플라이를 허용하여 1점을 허용했고, 한준수 1루타 - 김선빈 우익수 플라이 - 박찬호 1루타 - 최원준 적시 1루타로 결국 자책점이 2점이됐다. 그나마 김도영을 1루수 플라이로 처리하여 힘겹게 이닝을 마쳤으나 올시즌 불펜의 악몽을 겪고있는 삼성팬들은 보고있는 것만으로도 호러 그 자체였다. 이날 성적은 1이닝 2실점(2자책점) 4피안타 0삼진을 기록하였다. 8월 19일 결국 1군에서 말소되었다. === 9월 === 9월 1일 대구 NC전에 올라와서 2이닝 무실점으로 내려갔다 9월 5일 울산 롯데전에 올라와 1.1이닝동안 3실점하며 내려갔다 이후 1군에서 말소되었다. == 총평 == 2021시즌에 이은 커리어로우. 노쇠화가 심하게 왔으며 이대로라면 방출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11월 25일 발표된 방출 명단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한 번 더 기회를 받긴 받을 것으로 보인다. 사유로는 일단 구속과 구위가 팀 내 불펜 투수들 중 최상위권으로 선발 보직은 낙제 확정이지만 2023 시즌에 불펜으로 등판한 14경기 중 9경기를 무실점으로 막아낸 만큼 일단 직구가 스트라이크 존에 들어가기만 해도 다른투수에 비해 아직은 전력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듯 하다. 다만 만 나이로도 내년 시즌 36세로 적지 않은 만큼 내년이 정말 마지막 기회가 될지도 모른다. 2023 시즌 1군 성적에서 선발 등판을 제외하고 불펜 등판만 볼 경우의 대략적인 성적은 14경기 13 1/3이닝 ERA 6.07 9자책점이다. == 시즌 후 == [[분류:장필준]][[분류:삼성 라이온즈/2023년]][[분류:야구선수/커리어]] 놀랍게도 방출명단에 안들고 생존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