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장학퀴즈)] [목차] == 개요 == * 838~994회는 개인전에서 2인 1조 연승제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주제형 퀴즈 형식에서 종합형 퀴즈 형식으로 바뀌었다. * 왕중왕전은 역대 2인 1조 대결에서 다승을 거둔 8~10팀이 1조에 4~5팀씩 대결을 해서 각 조 1, 2위에게 제왕전 진출권이 주어진다. * 894회부터 스튜디오가 다시 넓어졌다. 943회부터는 무대가 룰렛 모형으로 바뀌었고 966회, 969~977회, 979~994회는 무대를 돌렸다. * 950회부터는 챔피언팀의 이름표가 빨간색이였다가 969회부터 챔피언팀과 도전자팀 모두 초록색으로 통합되었다. * 라운드마다 색깔이 있다. * 1라운드는 파란색: 838~899회, 979~994회, 하늘색: 900~943회, 초록색: 944~977회 * 2라운드는 초록색: 838~942회, 969~994회, 빨강 & 파랑: 943~952회, 각 팀의 색: 953~968회 * 파이널 라운드는 보라색: 838~942회, 다홍색: 943~959회, 979~994회, 파란색: 960~978회 == 우승팀 장학금 == || '''{{{#c4c8cb 연승}}}''' || '''{{{#c4c8cb 장학금}}}''' || || '''1''' || 200만원 || || '''2''' || 400만원 || || '''3''' || 600만원 || || '''4''' || 1000만원 || || '''{{{#brown 5}}}''' || 2000만원(5연승 제도)[* 838회~889회][br]1500만원(7연승 제도 - 2014~2015년)[* 890회~942회][br]1400만원(7연승 제도 - 2015~2016년)[* 943회~994회] || || '''{{{#silver 6}}}''' || 2000만원 || || '''{{{#gold 7}}}''' || 3000만원 || || '''2014 왕중왕전 1~3위'''[* 1위부터 2위까지는 제왕전에 진출한다.] || 터키캠프 || || '''2014 제왕전 1위''' || 2000만원 || == 838~889회 == * 865회부터는 챔피언 팀이 예선전부터 참가한다.[* 865회부터 886회까지 예선전부터 참가하는 방식에서 챔피언 팀이 결승에 진출하지 못한 사례는 총 3회 있었다.(868회(대진여고), 873회(한영외고), 883회(신성고))] * 869회부터는 팀명이 학교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같은 학교 학생으로만 참여가 가능하다. === 1라운드 === * 2인 1조 4팀이 A, B, C, D 유형 중 하나를 선택, 한 팀당 총 OX 퀴즈 3문제가 출제되며, 팀원 한 사람만 정답이면 10점, 두 명 모두 정답이면 30점을 획득한다. * 879회부터는 4팀이 공통적으로 OX 퀴즈를 풀며, 879회와 880회는 12문제, 881~889회는 10문제가 출제되었다.(배점 - 10점) === 2라운드 === ==== 군계일학 객관식 퀴즈 ==== * 삼지선다 객관식으로, 교과형과 창의력 퀴즈로 구성된 5문제(879회부터는 10문제 출제)[* 중간에 3, 4문제로 축소되었다.]가 출제되며, 정답팀의 수에 따라 점수가 차등 배점된다.(10~40점) ==== 상부상조 1+1 퀴즈[* 이전 2010~2011년 개인전 2라운드의 형식을 차용했으며, 이전과 달리 기본 문제의 정답과 보너스 문제에 대한 연관성은 없다.] ==== * 기본 문제와 보너스 문제로 구성된 문제가 출제된다. * 버저를 누른 팀에게 우선권이 주어지며, 기본 문제를 맞히면 보너스 문제 우선권을 획득한다.(단, 이 때 팀원이 번갈아 가면서 풀어야 함.) * 838, 839회는 20점 문제 9문제, 40점 문제 1문제로 구성된다.(기본 문제, 보너스 문제 포함) * 840~878회는 20점 문제 1문제, 40점 문제 3문제, 60점 문제 1문제로 구성된다.(기본 문제, 보너스 문제 포함)[* 중간에 40점 문제 2문제, 60점 문제 1문제로 축소되었다.] * 879~889회는 40점 문제 3문제, 60점 문제 2문제로 구성된다.(기본 문제, 보너스 문제 포함) * 중간에 상품이 걸려 있는 문제는 기본 문제를 맞히는 팀에게 증정된다. ==== 박학다식 필기형 퀴즈 ==== * 공통 쓰기 5문제 출제(50점, 마지막 문제는 100점) * 838~846회는 5문제, 847~880회는 3문제, 881~889회는 2문제가 출제된다.[* 879, 880회는 2차 문제 유형으로 출제되었다.] * 838~878회의 '''1차 문제 유형''': 5개의 보기 중 정답 2개 고르기(50점, 1개 정답 시 20점), 4지선다 나열형(50점, 부분 점수 없음), 4개 보기에 들어갈 숫자의 합 맞히기(100점, 정답팀이 없을 경우 정답에 가까운 순서대로 80, 60, 40, 20점 부여[* 50점일 경우에는 40, 30, 20, 10점 차등 부여]) * 879회부터 적용된 '''2차 문제 유형''': 3개의 빈칸 단어 맞히기(2문제 - 100점, 2개 정답 시 60점, 1개 정답 시 30점 부여), 4개 보기에 들어갈 숫자의 합 맞히기 * 문제를 다 푼 다음에는 1위 팀이 결승에 진출한다.(864회부터는 상위 2팀 진출 - 챔피언이 없을 경우도 마찬가지) === 3라운드(결승전)[* 이 방식은 991회 설 특집 퀴즈 대결에서도 사용되었다.] === * 3단계 연상 퀴즈로 문제 선택 우선권은 챔피언 팀에게 주어지며, 챔피언 팀이 없을 경우에는 예선전 1위 팀에게 우선권이 부여된다. * 865회부터는 예선전 1위 팀에게 문제 선택 우선권이 주어지며, 이 때부터는 해당 문제의 분야를 알려준다.(동점일 경우에는 챔피언 팀에게 우선권 부여) * 총 9문제, 3x3 빙고판으로 진행된다. * 문제를 맞힌 팀에게 다음 문제를 선택할 권한이 주어지며, 두 팀 모두 답을 맞히지 못한 경우에는 이전 문제를 맞힌 팀(이전 선택팀)에게 문제 선택권이 주어진다. * 먼저 빙고를 완성하는 팀이 우승하며, 빙고를 완성하지 못한 경우에는 문제를 많이 맞힌 팀이 우승한다.[* 이 방식에서 문제를 적게 맞힌 팀이 빙고로 우승한 경우는 [[2013년]] [[12월 21일]]에 방영된 880회(3-4)가 유일하다.(한 문제는 두 팀 모두 못 맞힘) 두 팀이 9문제를 모두 푼 경우는 [[2013년]] [[5월 25일]](850회)과 [[2013년]] [[10월 19일]](871회) 단 두 번 뿐이다. 전자는 많이 맞힌 팀(5-4)이 승리했으며, 후자는 챔피언 팀이 마지막 문제를 맞히면서 빙고(6-3)로 우승했다.] * 2013~2014 왕중왕전 예선전 3라운드는 5문제를 50점짜리 버저 형식으로 진행했다.[* 이 방식은 863회 국회의원 특집 방송에서도 적용되었다.] == 890~942회 == * 2014년에는 최대 7연승까지 도전 가능하며, 전국을 7개 권역으로 나누어 각 지역의 도전팀들이 챔피언에게 맞서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선두랑 200점 차이가 나면 그 팀은 라운드별로 상관없이 탈락한다.[* 이 방식은 890~942회, 966회에만 적용되있다.] * 891회부터는 나레이션이 "지식대결 무한열정 장학퀴즈의 MC를 소개합니다."라고 하면서 MC가 등장한다.[* 891회부터 907회까지는 [[안지환]] 성우가, 908회부터 994회까지는 [[이기호(성우)|이기호]] 성우가 소개한다.] === 1라운드 === ==== 890~910회 ==== * 기본 점수 100점 부여, 주관식 버저형 15문제 출제(10점) ==== 911~930회 ==== * 우선권 문제를 맞힌 팀부터 시계방향대로 '장, 학, 퀴, 즈' 세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며, 한 세트에는 총 5개 분야의 4지선다형 객관식 문제가 출제된다.(916회부터는 팀당 4문제 출제) * 각 팀의 문제를 풀 때 문제를 풀 기회는 문제를 선택한 해당 팀에게 있으며, 해당 팀이 오답을 고르거나 문제를 풀지 않을 시 그 다음 버저를 누른 한 팀에게만 기회가 주어진다. * 추가 점수가 걸려있는 한국사 문제는 1라운드에선 주어지지 않으며, 일반 한국사 문제는 출제될 수 있다. ==== 931~942회 ==== * 공통 4지선다 객관식 15문제(배점 10점) === 2라운드 === ==== 890~910회 ==== * 1라운드 1위부터 찬스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며, 장, 학, 퀴, 즈 4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한 개에는 꽝이 있음) * 문제 유형은 4지선다 객관식 버저형 15문제이며, 맞히면 20점이 부여된다. * 896회부터는 20문제가 주어지며, 904회부터는 한 팀당 한 문제에 한 번의 기회만 주어진다. * 찬스 유형 * X2: 말 그대로 문제를 맞히면 배점 점수에 2배가 주어진다. * 긴가민가: 한 팀이 정답을 최대 2개 선택할 수 있다.[* 남은 보기가 3개 이상일 때 사용 가능, 첫 번째 오답은 감점 없음.] * 독점 찬스: 사용한 한 팀에게만 기회가 주어진다. * 왕 찬스: 다른 4개 찬스 중 원하는 찬스 선택(900회 스승의 날 특집 한정)[* 전북사대부설고가 뽑았지만 독점 찬스로 사용했다.] * 지우개 찬스: 보기 중 하나를 지우고 답을 선택(정답을 고르면 문제 풀이 종료 - 900회 스승의 날 특집 한정)[* 민족사관고가 뽑았으나 아쉽게 쓰지 못했다.] ==== 911~942회 ==== * 주관식 버저 문제형 15문제 출제(배점 20점, 916회부터는 20문제 출제)[* 가끔씩 점수 변화가 없는 문제들은 편집되는 경우가 있다.] === 3라운드 === * 종합형 퀴즈인 멀티미디어 퀴즈 5문제 출제(배점 30점) * 문제 선택은 점수가 높은 팀부터 선택하며, 모두 답을 맞히지 못한 경우에는 이전 정답팀(선택팀)에게 선택권이 부여된다.[* 공동 1위가 있을 경우에는 해당 점수에 먼저 도달한 팀에게 우선권이 주어진다.] * 마지막 문제는 정답 여부에 따라 점수 가감이 결정되는 공통 쓰기로 출제되며, 0~50점까지 점수를 걸 수 있다.[* 891회는 OX 문제로 출제되었다.][* 단, 1, 2위 팀 간의 점수 차가 60점 이상 벌어지면 최종 문제와 관계 없이 대결이 끝난다.] === 공통사항 === * 890회부터 나오는 '자랑스러운 한국사' 문제[* 1라운드 8번 문제(890~910회), 2라운드 8번(916회부터 10번), 15번(911~915회는 13번) 문제에서 출제.]는 맞히면 문제 배점에 10점이 더 가산되거나 상품을 획득한다.[* 1라운드 20점, 2라운드 30점, 파이널 라운드 40점(공통 쓰기 문제 제외, 893회까지), 2라운드 한국사 2문제 중 1문제에는 추가 점수 대신 상품권이 부여된다.] * 890~942회 방송분에서는 중간에 1위 팀과 200점 이상 차이 나는 팀은 바로 떨어진다.[* 이 형식이 적용된 이래 928회에선 챔피언 팀이 3라운드에서 떨어진 적이 있었다. 챔피언 팀이 2라운드에서 도전자 3팀을 모두 [[양민학살]](?)해 우승한 경우는 5번 있었으며(905회, 917회, 919회, 929회, 930회), 905회에서는 상품이 걸려있는 한국사 문제를 모두 맞히지 못해 챔피언이 파이널 라운드 5문제 중 3문제를 맞히면 추가 상품을 가져가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방송에서는 짤막하게 보여주었으며, 챔피언 팀은 단 1문제만 맞혀 실패했다.][* 이 방식은 966회 광복절 특집 방송에서도 적용되었다.] * 890회부터는 한 문제당 기회는 무제한으로 주어지며(10점 감점 있음), 931회부터는 최종문제를 제외한 모든 문제에 대한 감점 제도가 없어짐과 동시에 팀 당 답할 수 있는 기회는 한 번으로 제한된다. == 943~968회 == * 다시 도전팀들의 출신 지역이 자유로워지고, 챔피언 팀을 포함한 5팀이 대결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943회부터 968회까지 챔피언 팀이 예선전부터 도전하는 방식에서 챔피언 팀이 결승전에 올라가지 못한 경우는 총 3번 있었다.(1라운드: 956회, 2라운드: 957회, 959회)] === 1라운드 === * 4지선다 공통 15문제(10점) * 여기서는 유일하게 정답을 맞힌 팀에게 20점이 주어지며, 최하위 팀을 제외한 나머지 4팀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다. * 1라운드 점수는 다음 라운드로 누적되지 않는다.[* 955회 동문 특집에서는 1라운드 점수를 승계했다.] === 2라운드 === * 2팀씩 맞대결을 펼치며, 1라운드 1위 팀이 공을 뽑아서 상대팀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 각 대결마다 주관식 7문제를 버저 형식으로 진행해서 각 대결 승자팀이 먼저 올라가며, 패배한 두 팀이 대결을 펼쳐 승리한 팀이 추가 진출한다. === 3라운드 === * 3팀에게 기본 점수 300점이 주어지며, 3단계 연상 퀴즈 5문제(도움말에 따라 30~10점 차등 배점)와 0점부터 50점까지 걸 수 있는 공통 쓰기 1문제가 주어진다. * 문제 선택은 2라운드 1경기 승리팀부터 선택하며, 만약 모두 답을 맞히지 못한 경우에는 이전 정답팀(선택팀)에게 선택권이 부여된다. == 969~994회 == * 다시 참가팀이 4팀으로 줄어들었으며, 중도 탈락제 없이 진행된다. === 1라운드 === * 기본 점수 100점이 주어지며, 팀 별로 OX 퀴즈 7문제가 출제된다.(배점 10점, 왕중왕전에서는 10문제 출제) === 2라운드 === * 주관식 버저형 15문제 출제(배점 20점, 왕중왕전에서는 20문제 출제) === 3라운드 === * 점수 걸기 버저형 주관식 5문제 출제. * 2라운드 1위 팀부터 순서대로 5개의 제시어를 보고 10~50점까지의 점수를 한 문제당 한 번씩 선택할 수 있다. * 문제 선택은 2라운드 1위 팀부터 선택하며, 버저를 눌러서 맞힌 팀에게 선택한 점수가 주어진다. * 4번째 문제까지 풀고 나서, 2위 팀이 1위 팀을 따라잡을 수 없으면 그대로 대결이 종료된다.[* 1~2위 팀의 점수 차가 60점 이상이거나, 점수 차가 50점 이하이지만 건 점수가 1~2위 간 점수 차보다 많이 날 때][* 992, 993회 한정 2~3위간 격차를 본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장학퀴즈/2013년 ~ 2014년 2인 1조 진행방식,version=6)] [[분류:장학퀴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