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장현석(동명이인))] || '''{{{#fff 장현석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현역 한국인 마이너리거)] ---- ||
'''{{{#fff 장현석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auto&height=70]][br]'''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종목[br]{{{#d4af37 금메달}}}''' || || '''[[류중일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fff 2022}}}]]''' || }}} || ---- || '''{{{#fff A대표팀 참가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류중일호/2022 아시안 게임 엔트리)]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현석다저스.jpg|width=100%]]}}} || ||<-2> '''{{{#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산하 마이너 No.18}}}''' || ||<-2> '''{{{#005A9C,#62bcff {{{+2 장현석}}}[br]Hyun-Seok Jang}}}''' || ||<|2> '''출생''' ||[[2004년]] [[3월 14일]] ([age(2004-03-14)]세) || ||[[대전광역시]][*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014/0005025046|어머니가 대전에서 오래 거주하였으며, 장현석은 대전에서 출생신고를 했다고 밝혔다.]] 이후 유년기에 [[마산시|마산]]으로 이사했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상일초(함안리틀) - [[경주중학교|경주중]] - [[마산용마고등학교 야구부|용마고]] || || '''신체''' ||190cm | 90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23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 '''병역''' ||[[예술체육요원]][br]{{{-2 ([[류중일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부문)}}} || || '''국가대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아시안 게임]] 1회 {{{-2 (2023)}}}}}} || || '''소속사''' ||[[리코스포츠에이전시]] || || '''SNS''' ||[[https://mlb.com/player/hyun-seok-jang-815794|[[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고.svg|width=20]]]] | [[https://instagram.com/hyun_seok_jang_|[[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2><^|1>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가족''' || || '''부모''' ||아버지[* 태권도 유단자 출신으로 장현석이 고등학교 1학년 때 돌아가셨다고 한다.], 어머니[* 학창시절 육상 대표로 뛰었다고 한다.] || || '''형제자매''' ||여동생[* 장현석과 8살 차이가 난다.]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스엔젤레스 다저스]] 산하 마이너 소속의 우완 투수. 최고 158km/h의 공을 던지는 우완 강속구 투수로 2023년 8월 9일 다저스와 국제 유망주 계약을 맺고 MLB로 진출했다. == [[/선수 경력|선수 경력]] == [include(틀:장현석의 선수 경력)]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현석투구폼.gif|width=100%]]}}} || || '''장현석의 투구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현석 직구.gif|width=100%]]}}} || || '''최고 158km/h가 찍힌 포심 패스트볼[* 최고 158km/h, 평균 150km/h 초반의 위력적인 패스트볼을 구사한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현석 커브.gif|width=100%]]}}} || || '''결정구로 사용하는 커브[* 구속은 평균 120km/h대 후반 정도로, 삼진을 잡을 때 주로 사용하는 '''장현석의 결정구'''이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현석 슬라.gif|width=100%]]}}} || || '''140km/h대 초반의 슬라이더[* 주로 우타자를 상대할 때 사용하는 구종으로 평균 140km/h대 초반의 고속 슬라이더와 스위퍼 2가지 형태를 구사한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현석 체인지업.gif|width=100%]]}}} || || '''140km/h대 초반의 체인지업[* 좌타자를 상대할 때 주로 사용하는 구종으로 평균 140km/h대 초반의 고속 체인지업을 구사한다.]''' || * MLB.com 파이프라인 2023년 스카우팅 리포트. 팀내 21위. [[https://www.mlb.com/prospects/dodgers/hyun-seok-jang-815794|#]] > '''MLB.com 파이프라인 기준 [[20-80 스케일]]''' > Fastball : 60 | Curveball : 60 | Slider : 60 | Changeup : 50 | Control : 50 | Overall : 45 190cm, 90kg이라는 투수로서 이상적인 체구와 이를 뒷받침하는 유연한 투구폼에서 나오는 최고 '''158km/h''', 평균 150km/h대 초반의 위력적인 포심 패스트볼을 구사하는 우완 강속구 투수로 패스트볼의 평균 회전수도 2400RPM으로 비교적 높은 회전수를 가지고 있어 구속뿐만 아니라 구위에서도 높이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구위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3학년 시절에 16.14의 K/9[* 당해 고교 삼진 비율 '''전체 1위''' 기록이다.]을 기록하였다. 변화구로는 슬라이더, 체인지업, 커브를 구사한다. 장현석의 구종들 중 가장 좋은 평가를 받는 평균 120km/h대 후반의 커브는 삼진을 잡는 결정구로 주로 사용하며 슬라이더는 평균 140km/h대 초반의 고속 슬라이더와 스위퍼 2가지 형태를 구사하고 마지막으로 체인지업은 평균 140km/h대 초반의 고속 체인지업을 구사한다. 다른 강속구 투수들과 달리 고등학교 3학년 시절의 WHIP가 0.79에 불과할 정도로 제구가 좋은 편이다. 또 100구가 넘어가도 150km/h 이상의 공을 뿌리는 모습을 보여주며 선발 투수로 뛰면서도 평균 구속 150km/h 초반대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체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과 준수한 경기 운영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으며 향후 강속구 선발 투수 자원으로 육성되리라 여겨지는 중이다. == 여담 == * 태어난 곳은 [[대전광역시|대전]]이며 어렸을 때 아버지를 따라 [[마산시|마산]]으로 오게 되었다고 한다. [[https://youtu.be/zztBYdIPrBI|MBC경남 인터뷰]] 이런 이유때문인지 인터뷰에서 경상도 사투리 억양이 많이 없다.[* 대전은 충청도 사투리를 구사하는 지역이지만 사투리 억양이 약한 지역이고, 젊은 층들은 사투리를 거의 안쓰고, 표준어에 가까운 언어를 구사한다.] * 어린 시절부터 연고지 구단인 [[NC 다이노스]]의 팬이자 [[LG 트윈스]]의 팬이다. 아래에 서술된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410/0000930845|이호준 관련 에피소드를 푸는 인터뷰]]에서 NC 선수들 차량번호까지 외울 정도로 어린 시절부터 NC팬이라고 밝혔으며 [[https://youtu.be/lZ_1tP4hbbI?si=H2m8T7FARSfgtITY|LG 트윈스 구단 유튜브]]에 나와 자신이 [[LGTWINSTV|엘튜브]] 구독자이며 LG팬이라고 밝혔다.[* 다만 립서비스 혹은 선수시절 NC 소속이었던 이호준이 LG로 옮기면서 LG도 좋아하게 된 거 일수도 있다.] * 어머니의 키가 174cm이고 아버지의 키가 180cm 이상으로 부모님 모두 장신이다. [[https://n.news.naver.com/sports/wbaseball/article/021/0002589050|관련 기사]] * [[전상일]]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중학교 때 유급했다는 것을 밝혔다.[*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사이트의 선수 정보에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경주중학교 소속으로 나오는 것을 봐서 리틀야구에서 엘리트 야구로 옮기는 과정에서 일찌감치 유급을 한 것으로 보인다.] 같은 유급생 우투 에이스 투수인 부산고 [[원상현]]과도 교류하고 있다. * 롤모델은 [[다르빗슈 유]]로 짧고 강하게 던지면서 팀의 에이스 역할을 하는 것이 인상적이라고 한다. 고등학교 시절 등번호 역시 다르빗슈 유의 등번호인 11번을 달았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80410213859337|관련 기사]] * 프로에서 상대해보고 싶은 선수로 같은 팀이 될지 모르는 [[오타니 쇼헤이]]를 꼽았다.[* 오타니가 FA로 [[LA 다저스]]와 10년 7억 달러 계약을 맺으며 장현석이 메이져로 콜업 되기만 하면 팀동료 만날수 있게 되었다.] * 어렸을 때 [[마산 야구장]]에서 야구를 본 뒤 한 야구선수의 차를 발견해 사인을 받으려고 달려가다 차에 너무 가까이 다가가는 바람에 그 선수의 차가 후진을 하자 타이어에 발이 밟히는 사고가 있었다. 차량의 주인은 다름 아닌 '''[[이호준]]'''이었으며 사고가 난 이후 병원으로 데려다 주고 며칠 후 사인볼 등 선물을 챙겨줬다고 한다. 이 때 이호준에게 야구 선수 권유를 받았고 그때부터 제대로 야구를 시작했다고 한다. * 경기 도중 감정 표현을 꽤 자주하는 편인데[* 삼진을 잡을 때 리액션이 상당히 큰 편이다.] 에너지가 넘치는 성격으로 추정된다. 이호준 본인 말로는 사고가 났을 당시 장현석의 에너지가 넘쳐서 그걸 운동으로 발산 안하면 건달이 될 것 같았다고 밝힌 바 있다. * 2023년 1월 20일에 올라온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77&aid=0000406813|SPOTV NEWS와의 인터뷰]]에서 현장에 나가지도 않으면서 자신에 대한 기사를 숱하게 쏟아낸 [[정철우(기자)|정철우]]를 간접적으로 저격했다.[* "기사가 많이 나오면 좋지 않나?"라는 질문에 "친구나 주변 사람들이 '또 기사 나왔다.'고 해서 보면 증명사진부터 보여요. 그보다 메이저 리그를 간다거나 안 간다거나 내가 인터뷰를 한 적도 없는데 기사들이 제목만 바꿔서 나올 때도 있어서. 기사를 본 사람들이 물어보면 계속 해명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 좀 스트레스를 받기도 합니다."라고 답했다.] * 2023년 10월 1일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아시안 게임]] B조 1차전인 [[류중일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홍콩전|홍콩전]]에서 스피드건이 오류가 나면서 구속이 194km/h가 측정되는 해프닝이 있었다. * 2023년 10월 7일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아시안 게임]] 최종 결승 대만전을 2:0으로 대한민국 대표팀이 금메달을 획득함으로써 예술체육요원 자격을 얻었다. * 야구게임 [[마구마구]]에는 '''장효섭'''이라는 가명으로 등장한다. 첫 카드가 22 Asia 대표팀이고 이 당시는 [[KBO 리그]]에 진출하지 않았기 때문에 KBO의 라이센스가 없기 때문이다.[* 물론 2010년 [[김명성(1988)|김명성]]이나 2014년 [[홍성무]]처럼 이미 드래프트 지명을 확정했던 선수들은 라이센스를 미리 땄는지 본명 그대로 출시됐다. 다만 장현석은 드래프트를 신청도 안 했었다.] [[이대은]](이대아)과 비슷한 케이스인데[* 이대은의 첫 카드는 15 World 대표팀인데 당시는 NPB 리거였기 때문에 라이센스를 딸수 없었다. 그 후 2019년 kt에 입단한 후에 비로소 본명 이대은으로 돌아왔다.] 추후 KBO 리그에서 뛸때야 본명으로 돌아올 전망이고, MLB 안착 성공시에는 [[류현진]](류선발)[* MLB 카드는 류현진, KBO 카드는 류선발로 등록되어있다.]처럼 동일인물임에도 2개의 이름을 사용하게 될수도 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 [[마산용마고등학교 야구부]]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각주] [[분류:장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