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마이크로잡 시장이 커지고 있는 현재 신규사업으로 떠오르는 분야로, 각자 자신이 갖고있거나, 이용하고싶은 타인의 [[재능]]을 사고 팔 수 있는 시장이다. 프리랜서대상의 서비스 중개 플랫폼 사업을 칭한다.--[[재능기부]]의 연장선-- ~~21세기 길드~~ 판매자 입장에서는 소소한 수준의 용돈을 벌 수 있고, 구매자 입장에서는 싼 값에 재능을 살 수 있다. 단, 비슷한 수준의 능력이라도 판매자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니 의뢰하기 전 다른 재능들도 충분히 둘러보고 구매하는 것이 좋다. 운이 좋다면 만족스러운 수준의 도움을 싸게 받을 수 있으나, 구매 후기 등을 극히 세밀하게 살펴보고 구매해야 만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다. 판매 수익 중 중개수수료[* 세금별도 세금의 경우는 재능마켓이 중개사업자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세금 신고 및 납부는 직접 해야 한다.]만을 제하고 나머지가 자신의 계정에 적립되며, 이는 계정 소유자의 계좌로 출금할 수 있다. 수수료는 재능마켓 중개업체에 따라 다르다. ##개별 사이트의 수수료는 별도 문서에 서술하세요. == 재능 거래 == === 거래 가능한 재능 === * 재능의 종류는 일반적인 분류에 따라 나열되었으며, 각 재능마켓에 따라 상세 카테고리 및 명칭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folding [거래 가능한 재능 [펼치기/접기]] || 디자인 || 로고디자인, 웹디자인, 글씨디자인, 사진, 만화/일러스트, 템플릿, 편집디자인, 컴퓨터응용설계, 설치물, e북/출판 || || 마케팅 || 기획/분석, 카페/블로그, 소셜마케팅, 검색/트래픽, 일반광고, 배너광고, 이메일/메시지, 야외광고, 광고대행 등 || || 번역/작성 || 카피라이팅, 창작/대본, 번역/통역, 타이핑/복사, 기사/리뷰, 교정/편집, 글작성/리뷰, 보도자료, 서식/자료, 프리젠테이션, 이력서/자기소개서, 작명, 학업레포트, 연애편지(!) 등 || || 비즈니스 || 사업계획서, 컨설팅, 문서작성, 노하우, 업무지원, 통계분석, 리서치 || || 컴퓨터 || 웹, 어플리케이션, 워드프레스, 퍼블리싱, 일반소프트웨어, 커머스&쇼핑몰, 게임 제작, 임베디드 등 || || 음악&영상 || 로고송, BGM&사운드, MR, 음반, 영상, 더빙/녹음, 음악 레슨, 노래/댄스 || || 생활서비스 || 상담/대화, 사주/운세, 생활지식/비법, 생활 보조서비스, 개인레슨, 여행&해외, 수리/노무, 게임 강의~~게임 강의는 절반 이상이 [[리그 오브 레전드|롤]] 강의다..~~[* 참고로 게임강의는 개발사들에게 고소크리를 당할 확률이 높으므로, 괜히 손해배상금 뜯기고 영정 먹고 싶지 않다면 허용범위를 잘 가늠해보고 사는 것을 추천. 그게 귀찮으면 그냥 매매하지 말자.], 기타 || || 핸드메이드/레슨[br](원데이클래스) || 리빙, 음식, 패션, 문구/사무용품, 뷰티, 아트/공예, 가구, 반려동물, 노하우, 기타 ||}}} === 재능 판매 === 회원정보에서 계좌정보, 연락처 등 기본적인 판매자 정보를 입력한 다음 '재능 등록'을 통해 자신의 재능을 판매 등록한다. 재능과 카테고리, 설명 등을 기재하는데, '''재능 설명을 기재할 때는 연락처나 자신의 개인 SNS 주소 등 외부에서 연락 가능한 수단을 입력하면 재능 승인 거부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외부 거래를 유도한 후 사기를 치는 사례가 있기도 하고, 수수료 없이 외부에서 거래하면 회사 입장에서도 손해이기 때문. 재능 등록 신청을 하면 해당 회사의 심사 후 승인 여부가 결정되는데, 재능이 승인되면 그 때부터 다른 사람들의 재능 구매 신청을 받아 구매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구매자로부터 결제금을 받는다. === 재능 구매 === 다른 사람의 재능을 구매할 때는, 재능 판매자들이 등록해놓은 재능들을 둘러보면서 구매를 결정할 수도 있고, '오더(도와주세요)' 칸에 직접 자신이 원하는 재능과 희망 가격을 설정하여 재능 판매자들의 거래 신청을 받을 수 있다. 판매자들이 등록해놓은 재능을 둘러볼 경우, 연락 가능 시간과 현재 작업 개수[* 현재 작업 개수가 많을 경우 당연히 자신이 요청한 작업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지고, 다른 작업을 진행중이라 바쁜 경우 원하는 기일보다 늦어지는 불상사가 생기게 된다.], 재능 작업일, 재능 설명, A/S 규정, 환불이나 배송 등에 관한 사항을 꼼꼼히 읽어보고, 해당 재능에 대한 구매 평도 읽어보는 것이 좋다. 재능요청(도와주세요)에 구매 요청을 할 경우, 자신이 도움을 받기 원하는 것에 대해 설명해야 한다. 제목과 카테고리, 마감일, 희망 가격 그리고 상세 설명을 적어두고 신청을 하면 재능 판매자들이 둘러본 후 거래 요청을 한다. 희망 가격대로 거래하거나 메시지 등으로 가격을 조율한 후 거래할 수 있다. === 비판, 이슈 === ==== 작업 단가 후려치기 ==== 프리랜서들을 가격으로 자극해 저가로 경쟁시키게 한다는 비판이 많다. 실제 전문가들은 할 수 없는 단가에 해주겠다고 하는 일부 판매자들의 문제. 중개사이트의 특성상 보호해줄 수 있는 한계가 기대치보다 낮다보니 작업자는 작업자대로 수가가 낮아지고, 저가로 후려쳐진 결과물들은 실제로 받아보면 퀄리티가 --창렬--좋지 않은 경우가 많아 이래저래 말이 많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구매를 하기 전 이미 기재된 수주인의 프로필이나 기대수준을 잘 설정해 가격을 타협해야 한다. 싸게 사고싶다면 본인이 해당 분야에 대해 잘 알아보고 가격설정을 해야 원하는 수준의 작품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 판단은 구매자의 몫이다. ==== 고액 수수료 ==== 프리랜서들을 위한 시장이랍시고 평균적으로 20%의 수수료를 수수한다는 점에서도 비판이 있다.[*반론 다수의 플랫폼 비지니스는 초창기에는 수수료를 많이 뗄 수 밖에 없는데, 그것 밖에 회사의 수입구조가 없기 때문이다. 아직 초기시장이기 때문에 사이트 광고를 넣어도 수입이 시원찮지만, 차츰 수수료 인하 등의 수정이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아직 전업으로 삼기에는 이르고, 현업 종사자들이 하는 부업 정도로만 생각하는 쪽이 이롭다. == 관련 문서 == * [[프리랜서]] ##신규 업체 추가 시에는 가나다 순으로 부탁드립니다. === 나무위키에 등재된 재능마켓 목록 === * [[숨고]] * [[크몽]] === 문서가 없는 재능마켓 === * [[https://pioommarket.com/|피움마켓]] * [[https://gigmon.albamon.com/services/gigmon|긱몬]] * [[http://mohana.kr/|모하나]] * [[http://www.otwojob.com|오투잡]] * [[http://www.netbbang.com|넷뱅]] * [[http://www.jaenung.net|재능넷]] * [[http://www.skillagit.com|재능아지트]] [[분류:재능마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