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탬파베이 레이스/로스터)] ---- ||
'''{{{#ffffff 잭 라텔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미네소타 트윈스|{{{#ffffff 미네소타 트윈스}}}]] 등번호 52번}}}''' || || [[박병호]][br](2016) || {{{+1 →}}} || '''잭 라텔[br](2018~2020)''' || {{{+1 →}}} || [[마이클 풀머]][br](2022) || ||<-5>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56번}}}''' || || [[토니 왓슨]][br](2018~2020) || {{{+1 →}}} || '''잭 라텔[br](2021)''' || {{{+1 →}}} || [[토니 왓슨]][br](2021) || ||<-5>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46번}}}''' || || [[저스틴 스모크]][br](2020) || {{{+1 →}}} || '''잭 라텔[br](2021~2022)''' || {{{+1 →}}} || [[마크 마타이아스]][br](2023) || ||<-5> '''{{{#ffffff [[보스턴 레드삭스|{{{#ffffff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52번}}}''' || || [[마이클 와카]][br](2022) || {{{+1 →}}} || '''잭 라텔[br](2023)''' || {{{+1 →}}} || [[윌리어 아브레우]][br](2023~) || ||<-5> '''{{{#ffffff [[탬파베이 레이스|{{{#ffffff 탬파베이 레이스}}}]] 등번호 52번}}}''' || || [[토미 로메로]][br](2022) || {{{+1 →}}} || '''잭 라텔[br](2023~)''' || {{{+1 →}}} || [[현역#s-2]]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레이스라텔.jpg|width=100%]]}}} || ||<-2> '''탬파베이 레이스 No. 52''' || ||<-2> '''{{{#092c5c {{{+2 잭 라텔}}}[br]Zack Littell}}}''' || || '''본명 ''' ||재커리 스튜어트 라텔[* 특이하게도 철자와는 달리 본인은 이 이름을 라텔이라고 읽는다. 이것이 밝혀진 이후에는 국내 중계에서도 라텔이라고 불러주고 있다.][br]Zachary Stuart Littell || ||<|2> '''출생''' ||[[1995년]] [[10월 5일]] ([age(1995-10-05)]세) || ||[[노스캐롤라이나|노스캐롤라이나 주]] 벌링턴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이스턴 앨러만스 고등학교 || || '''신체''' ||193cm / 99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3 MLB 신인드래프트|2013년 드래프트]] 11라운드 (전체 327번, [[시애틀 매리너스|SEA]]) || || '''소속팀''' ||[[미네소타 트윈스]] (2018~2020)[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21~2022)[br][[보스턴 레드삭스]] (2023)[br]'''[[탬파베이 레이스]] (2023~)''' || || '''계약''' ||Arbitration / $720,000 || || '''연봉''' ||2023 / $720,000 || || '''SNS''' ||[[https://www.instagram.com/z_littel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탬파베이 레이스]]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2016년 11월 18일 [[제임스 파조스]]를 상대로 [[뉴욕 양키스]]로 트레이드되었다. === [[미네소타 트윈스]] === 2017년 7월 30일 [[디트릭 엔스]]와 함께 [[하이메 가르시아]]를 상대로 [[미네소타 트윈스]]로 트레이드되었다.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Zack Littell.jpg|width=100%]]}}} || 2021년 2월 4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다.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2021년|2021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자이언츠라텔.webp|width=100%]]}}} || 6월 6일 기준 16⅓이닝 1.65의 깜짝 활약을 이어나가고 있다. 6월 9일 텍사스전에 오프너로 등판해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6월 15일 디백스전에 다시 오프너로 등판했지만 아웃카운트 하나 못잡고 4실점을 하며 폭발했다. 평균자책점도 3.44까지 올랐지만 팀이 경기를 뒤집으며 패전은 면했다. 이후 불펜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7월 24일 피츠버그전에서 1이닝 3실점으로 부진했고, 결국 트리플 A로 강등되었다. [[토니 왓슨]]이 56번을 달게 되면서 등번호를 56번에서 46번으로 바꿨고, 8월 8일 밀워키전에서 1점차로 앞선 8회말에 등판해 2이닝을 실점없이 막으며 데뷔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8월 10일 [[제이크 맥기]]가 갑자기 블론을 범하자 급히 등판해 [[케텔 마르테]]를 삼진으로 잡아 불을 껐고, 9회말 팀이 [[크리스 브라이언트]]의 끝내기 땅볼로 승리하며 샌프란시스코에서 첫 승리를 기록했다. 8월 13일 콜로라도전에서도 [[제이크 맥기]]가 불을 지르자 급히 등판해 [[C.J. 크론]]을 삼진으로 잡아 시즌 2세이브를 기록했다. 8월 27일 애틀랜타전에서 [[호르헤 솔레어]]에게 역전 쓰리런을 맞고 블론세이브를 저지르며 팀의 패배에 기여하였다. 9월 5일 다저스전 2회초 1:1 무사 2, 3루의 역전 위기에서 [[크리스 테일러]]를 유격수 팝플라이, [[코디 벨린저]]와 [[워커 뷸러]]를 KK로 잡으며 위기를 넘겼다. 그리고 경기 종료 후 승리투수로 선정되면서 시즌 2승을 기록하게 되었다. 9월 10일 컵스전에서 4회말 [[윌슨 콘트레라스]]와 [[패트릭 위즈덤]]을 KK로 잡고 5회초 타석에 들어섰고, [[카일 헨드릭스]]의 87.9마일 싱커를 받아쳐 커리어 첫 안타를 만들었다. 9월 13일 불펜데이로 진행된 샌디에이고전에서 1⅔이닝을 퍼펙트로 막고, 승리투수로 선정되며 시즌 3승째를 기록하게 되었다. 9월 18일 애틀랜타전 4회초 등판해서 [[호르헤 솔레어]]에게 2루타[* 원래 중월홈런이 되었어야 할 타구였지만, 중견수 [[스티븐 더거]]가 공이 담장 안으로 들어가는 걸 막아 2루타가 되었다.], [[프레디 프리먼]]에게 안타를 맞고 무사 1, 3루의 큰 위기를 맞았지만, [[오스틴 라일리]], [[애덤 듀발]], [[트래비스 다노]]를 모두 삼진으로 돌려세워 위기를 넘기고 팀이 4회말 [[커트 카살리]]의 2타점 적시타로 승리하며 승리투수로 선정, 시즌 4승째를 기록하게 되었다. 9월 21일 샌디에이고전에서 올라오자마자 [[오스틴 놀라]]에게 홈런을 맞고 블론세이브를 범했다. 10월 2일 샌디에이고전, 지구우승이 확정지어질수도 있는 경기에서 1점차로 앞선 8회초에 등판했지만 시작부터 [[토미 팸]]에게 안타, [[트렌트 그리샴]]에게 2루타를 맞고 위기를 만들더니, [[매니 마차도]]에게 희생플라이를 맞고 블론세이브를 저질렀다. 시즌 최종성적은 63경기 2.92 4승 61⅔이닝으로, 제구불안으로 많은 볼넷을 내줬지만 샌프란시스코 불펜진의 한 축으로 활약해주었다. ===== 포스트시즌 ===== ====== [[2021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NLDS]] ====== ||<-11> '''{{{#fd5a1e NLDS 기록}}}''' || || '''경기''' || '''ERA''' || '''승''' || '''패''' || '''세''' || '''이닝''' || '''피안타''' || '''실점(자책)''' || '''볼넷''' || '''탈삼진''' || '''WHIP''' || || 2 || 10.13 || 0 || 0 || 0 || 2⅔ || 6 || 3 || 0 || 5 || 2.250 || 10월 9일 2차전에서 4점차로 뒤진 8회초에 등판했으나 시작부터 [[윌 스미스(1995)|윌 스미스]]에게 홈런을 내주더니 [[맷 베이티]]에게까지 적시타를 맞고 강판됐다. 이후 [[할린 가르시아]]가 [[코리 시거]]에게 적시타를 맞고 승계주자가 들어와서 ⅔이닝 3실점이라는 최악의 피칭으로 팀의 추격의지를 완전히 꺾어버렸다. 10월 12일 4차전에서 6회말에는 안타 2개를 내주는 와중에 무실점으로 막고, 7회말은 KKK로 완벽하게 막으며 극과 극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2022년|2022년]] ==== 4월 10일 마이애미전 6회초 2사에서 시즌 첫 출장을 했고, 7회초 [[호르헤 솔레어]]와 [[헤수스 산체스]]에게 안타 2개를 맞았지만 [[헤수스 아귈라]]를 병살로 처리하며 1⅓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다. 4월 17일 클리블랜드전에서 6회말 [[알렉스 우드]]가 갑자기 무사 1, 2루를 만들고 내려가자 등판, [[호세 라미레즈]]를 유격수 플라이, [[프란밀 레예스]]를 병살타로 처리하며 위기를 삭제했다. 4월 26일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았고, [[커빈 카스트로]]가 대신 콜업되었다. 5월 5일 복귀해서 세인트루이스전 2회초에 등판, 2이닝 동안 삼진 3개를 잡아냈으나 3회초 [[야디어 몰리나]]에게 맞은 솔로홈런이 그대로 결승점으로 이어지며 패전투수가 되었다. 5월 7일 세인트루이스전에서 [[폴 골드슈미트]]와 [[타일러 오닐]]에게 안타, [[딜런 칼슨]]에게 쓰리런을 맞고 3실점했다. 5월 10일 콜로라도전에서 6회초 [[알렉스 우드]]가 만들어놓은 1사 1, 2루 위기 상황에 등판했고, [[요나단 다자]]에게 안타를 맞았지만 [[가렛 햄슨]]과 [[샘 힐리아드]]를 KK로 처리하고 실점없이 위기를 넘겼다. 5월 13일 세인트루이스전에서 8회말 [[폴 골드슈미트]]에게 솔로포를 맞고 실점했다. 5월 15일 세인트루이스전에서 [[카를로스 로돈]]이 핵폭발을 일으키자 급히 등판했으나 [[놀란 아레나도]]와 [[야디어 몰리나]]에게 투런홈런을 한방씩 내주며 무너졌고, 평균자책점도 5.54까지 올랐다. 5월 22일 샌디에이고전에서 5회초 [[매니 마차도]]에게 3루타, [[주릭슨 프로파]]에게 2루타를 맞고 실점했고, 6회초에도 [[윌 마이어스]]와 [[루크 보이트]]에게 안타를 맞고 [[김하성]]에게 2루타, [[호세 아소카르]]에게 땅볼로 점수를 내주며 2이닝 3실점을 기록해 평균자책점이 6.32까지 올랐다. 6월 3일 마이애미전에서 5회말 등판해 2이닝을 4K로 완벽하게 막았고, 경기 후 승리투수로 선정되면서 시즌 첫 승을 거두었다. 6월 7일 콜로라도전에서 2:3으로 앞선 6회초에 마운드에 올랐으나 [[호세 이글레시아스]]와 [[랜달 그리칙]]에게 연속안타를 허용, [[에로리스 몬테로]]의 땅볼로 1사 2, 3루를 만들고 강판되었다. 결국 뒤이어 올라온 [[호세 알바레즈]]가 곧바로 [[찰리 블랙몬]]에게 역전 쓰리런을 맞으며 시즌 2패째를 떠안게 되었다. 6월 11일 다저스전에서 7회초에 등판했으나 올라오자마자 [[크리스 테일러]]에게 볼넷, [[개빈 럭스]]와 [[무키 베츠]]에게 연속안타를 맞아 무사 만루를 만들고 강판되었다. 하마터면 경기를 망친 주범이 될뻔 했지만, [[할린 가르시아]]가 무사 만루를 무실점으로 넘겨주며 묻어가는데 성공했다. 6월 21일 애틀랜타전에서 4회말 [[앤서니 데스클라파니]]에 이어 등판했으나 2사에서 [[마이클 해리스 2세]]에게 사구,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에게 역전 투런을 맞았다. 6월 23일 애틀랜타전에서 [[알렉스 우드]]가 1이닝만에 강판당하자 급히 등판해 3이닝을 1실점 3K로 버텼다. 6월 24일 [[유니오르 마르테]]가 콜업되면서 마이너로 내려갔다. 7월 7일 [[호세 알바레즈]]가 15일 부상자 명단에 등재되면서 콜업되었다. 7월 8일 샌디에이고전에서 1⅓이닝 1실점 4볼넷 4K라는 모 아니면 도 피칭을 보여주었다. 7월 9일 왼쪽 복사근 부상으로 부상자 명단에 올랐고, 8월 17일 복귀했다. 8월 21일 콜로라도전에서 11회말 9:8의 리드를 지키기 위해 등판, 첫 타자 [[브라이언 서븐]]을 번트 플라이로 잡고 [[윈튼 버나드]]의 우익수 플라이에 3루로 달리던 [[샘 힐리아드]]를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가 저격해주며 경기를 끝냈고, 시즌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8월 29일 샌디에이고전에서 5회초 올라오자마자 [[매니 마차도]]에게 안타, [[조시 벨(1992)|조시 벨]]에게 볼넷을 내주더니 결국 [[브랜든 드루리]]에게 적시타를 맞고 실점했다. 8월 31일 샌디에이고전에서 5회초 [[알렉스 우드]]가 만들어놓은 2사 만루 상황에 급히 등판했으나 [[매니 마차도]]에게 인정 2루타를 맞고 스코어를 4:0으로 만들었고, 6회초에도 [[브랜든 드루리]]와 [[윌 마이어스]]에게 연속안타를 맞고 [[제이크 크로넨워스]]에게 희생플라이를 내주며 오늘도 실점했다. 팀이 이후 4점을 뽑아내 5:4까지 추격하고 졌기에 더욱 치명적인 실점이었다. 9월 7일 다저스전에서 3:3으로 맞선 7회말 등판해 첫 이닝은 잘막았으나 8회말, [[오스틴 반스]]에게 안타를 맞은 후 [[무키 베츠]]의 진루타로 1사 2루 위기에 몰렸고, 결국 [[트레이 터너]]에게 역전 2루타를 맞았다. 이후 [[프레디 프리먼]]에게 볼넷을 내준 후 [[맥스 먼시]]에게 쓰리런을 맞고 멸망, 시즌 3패를 기록하고 평균자책점도 5.01로 폭등했다. 9월 11일 컵스전에서 6회말 동점 상황에 올라와 1⅔이닝을 무실점 2K로 잘 막았고, 7회초 [[타이로 에스트라다]]의 역전 홈런이 터지며 시즌 3승을 기록했다. 9월 12일 애틀랜타전에서 0:3으로 앞선 8회초 등판했지만 올라오자마자 [[에디 로사리오]]에게 2루타, [[로비 그로스만]]에게 볼넷,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에게 안타를 맞아 무사 만루 위기에 몰렸고, [[댄스비 스완슨]]에게 2타점 적시타를 맞았다. 다행히 [[오스틴 라일리]]를 병살타로 처리했지만, 이후 강판되면서 [[게이브 캐플러]] 감독에게 [[https://twitter.com/NBCSGiants/status/1569540996890869760|신경질적인 모습을 보여]] 논란이 되었다. 결국 다음날인 9월 13일 [[토마스 자퍼키]]가 콜업되면서 마이너로 내려갔다. 시즌 최종성적은 39경기 5.08 3승 3패 1세이브 44⅓이닝 39K로, 5점대 평균자책점에다 시즌 막판 태도 논란까지 터지며 최악의 시즌을 보냈다. 시즌 후인 11월 9일 마이너로 권리가 이관되었고, 10일 FA 신분이 되었다. === [[보스턴 레드삭스]] === 2023년 2월 3일 [[텍사스 레인저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지만 5월 5일 [[보스턴 레드삭스]]로 현금 트레이드되고 6일 콜업되었다. 2경기에 등판해 3이닝 ERA 9.00 WHIP 2.00을 기록했으며, 5월 10일 [[제임스 팩스턴]]이 부상자 명단에서 복귀하면서 로스터에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지명할당]]되었다. === [[탬파베이 레이스]] === 5월 12일, 웨이버 클레임으로 [[탬파베이 레이스]]로 이적했다. 14일에 정식으로 선수단에 등록되었으며, 라텔의 자리를 비우기 위해 [[하비 게라(1995)|하비 게라]]가 [[DFA]]되었다. 이적 후 한동안 패전조나 [[오프너]]로 나오다가 선발진의 줄부상으로 트레이드 데드라인 즈음부터는 아예 선발 투수로 이동했다. 의외로 첫 4경기에서는 22⅔이닝 7실점 평균자책점 2.78로 괜찮은 스타트를 끊었다.[* 휴스턴전 5이닝 2실점, 디트로이트전 6이닝 무실점, 세인트루이스전 6이닝 3실점, 샌프란시스코전 5⅔이닝 2실점] 불펜 투수로 뛰다가 선발로 전업해 훌륭한 경기력을 선보인 [[드루 래스머센]]이나 [[제프리 스프링스]]처럼 선발진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9월 7일 시애틀전에서는 8이닝 1실점으로 눈부신 호투를 했으나 팀 타선이 상대 투수진에게 무득점으로 묶이면서 패전 투수가 되었다. 시즌 최종 성적은 3승 6패 ERA 4.10. 처음에 [[패전 처리 투수]]로 영입되었으나 아무도 예상치 못 한 활약을 하였다. 그러나 아직 구속이 좀 느리기 때문에 다음 시즌에 이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잭 라텔의 역대 MLB 기록'''}}} || || 년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fWAR || bWAR || || 2018 ||<|3> [[미네소타 트윈스|MIN]] || 8 || 0 || 2 || 0 || 0 || 20⅓ || 6.20 || 25 || 3 || 11 || 4 || 14 || 1.770 || 70 || -0.2 || -0.5 || || 2019 || 29 || 6 || 0 || 0 || 1 || 37 || 2.68 || 34 || 4 || 9 || 0 || 32 || 1.162 || 171 || 0.6 || 0.9 || || 2020 || 6 || 0 || 0 || 0 || 0 || 6⅓ || 9.95 || 12 || 5 || 3 || 1 || 3 || 2.368 || 46 || -0.4 || -0.3 || || 년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fWAR || bWAR || || 2021 ||<|2>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63 || 4 || 0 || 2 || 7 || 61⅔ || 2.92 || 46 || 7 || 24 || 2 || 63 || 1.135 || 142 || 0.3 || 1.0 || || 2022 || 39 || 3 || 3 || 1 || 5 || 44⅓ || 5.08 || 48 || 8 || 13 || 1 || 39 || 1.376 || 80 || -0.3 || 0.1 || || 년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fWAR || bWAR || || 2023 || [[보스턴 레드삭스|BOS]]/[[탬파베이 레이스|TB]] || 28 || 3 || 6 || 0 || 0 || 90 || 4.10 || 94 || 13 || 12 || 4 || 74 || 1.178 || 102 || 1.1 || 1.0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6시즌) || 173 || 16 || 11 || 3 || 13 || 259⅔ || 4.09 || 259 || 40 || 72 || 12 || 225 || 1.275 || 103 || 1.0 || 2.3 || == 여담 == * 前 [[롯데 자이언츠]] 소속 [[댄 스트레일리]]와 닮았다.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5년 출생]][[분류:2018년 데뷔]][[분류:앨러맨스 카운티 출신 인물]][[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미네소타 트윈스/은퇴, 이적]][[분류: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보스턴 레드삭스/은퇴, 이적]][[분류:탬파베이 레이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