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원작에서의 모습, rd1=잭 아틀라스)] [include(틀:유희왕 듀얼링크스/플레이어블 듀얼리스트)] [[파일:듀얼링크스 잭 아틀러스.png|width=200]] >'''한국판 소개''' >----- >[[잭 아틀러스(유희왕 듀얼링크스)|잭 아틀러스]]는 여러 이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킹, 속도의 제왕, [[시그너]]라고 불립니다. 하지만 [[잭 아틀러스(유희왕 듀얼링크스)|잭]]은 [[유성(유희왕 듀얼링크스)|유성]]의 친구이며 그의 라이벌이기도 합니다. 자신감이 가득 찬 [[잭 아틀러스(유희왕 듀얼링크스)|잭]]은 라이딩 듀얼 킹[* 인게임에서는 '터보'라고 잘못 번역되어있다. [[라이딩 듀얼]]의 영문 명칭이 turbo duel이기 때문에 한글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터보 듀얼이라고 번역한 것으로 보인다. 원문에 있던 왕관이라는 표현도 잭은 작중에서 킹이라 불려서 왕과 관련있다고 볼 수 있으나 잭은 왕관과의 접점이 없다. 영문판을 그대로 따른 오역으로 보인다.]의 칭호를 다시 얻기 위해 [[유성(유희왕 듀얼링크스)|유성]]을 쓰러뜨리기 전 까지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그의 듀얼 스타일은 압도적인 힘으로 상대방을 뭉개 버리는 것입니다. 그의 에이스 몬스터는 전설의 시그너 드래곤인 "[[레드 데몬즈 드래곤]]"입니다. [목차] == 개요 == [youtube(wAleJn-XzJ8,width=480,height=270)] * '''한국판 성우''' : [[김승준(성우)|김승준]] * '''일본판 성우''' : [[호시노 타카노리]] 2019년 5월 10일 14시부터 상시 게이트 캐릭터로 편입되었다. == 해금 미션 == * '''게이트 출현 조건''' : 듀얼 월드 (5D's) 스테이지 6 달성 시 등장 * '''캐릭터 해금 미션''' : 듀얼 월드 (5D's) 스테이지 6 부터 진행 가능 ||
{{{#white '''미션1'''}}} ||잭 아틀러스를 상대로 1000 이상의 효과 데미지를 가하세요. || || {{{#white '''미션2'''}}} ||[[유성(유희왕 듀얼링크스)|유성]]으로 플레이하여, 함정 카드를 4번 발동하세요. || || {{{#white '''미션3'''}}} ||[[유성(유희왕 듀얼링크스)|유성]]으로 플레이하여, 레벨 30 잭 아틀러스를 상대로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1번 싱크로 소환하세요 || || {{{#white '''미션4'''}}} ||[[유성(유희왕 듀얼링크스)|유성]]으로 플레이하여, 레벨 30 잭 아틀러스를 상대로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사용해 전투 데미지를 입혀 상대의 라이프 포인트를 0으로 만들어 승리하세요. || || {{{#white '''미션5'''}}} ||[[유성(유희왕 듀얼링크스)|유성]]으로 플레이하여, 레벨 30 잭 아틀러스를 상대로 3000 이상의 전투 데미지를 가하세요. ||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yugioh&no=213345|대사가 나오는 카드]] == ||<-3>
{{{+2 '''{{{#white 대사가 나오는 카드}}}'''}}} || ||[youtube(AGPpKsbiT_Q,width=480,height=270)]||[youtube(AlbG3WzUqSU,start=5,width=480,height=270)]||[youtube(V6jAieU7om8,width=480,height=270)]|| || {{{+1 '''{{{#white 한국어}}}'''}}} || {{{+1 '''{{{#white 일본어}}}'''}}} || {{{+1 '''{{{#white 영어}}}'''}}}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yugioh&no=868958|음성이 존재하는 카드(1)]][[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yugioh&no=868960|(2)]] * '''몬스터''' : '''[[레드 데몬즈 드래곤]]''', [[스카레드 노바 드래곤]], [[레드 데몬즈 드래곤/버스터]], [[레드 데몬즈 드래곤 스카라이트]], [[레드 데몬즈 드래곤 타이란트]], [[염마룡 레드 데몬]],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 [[염마룡 레드 데몬 베리얼]], [[염마룡왕 레드 데몬 캘러미티]], [[스타더스트 드래곤]], [[데몬 카오스 킹]], [[피스 골렘|스몰 피스 골렘]], [[피스 골렘|미드 피스 골렘]], [[피스 골렘|빅 피스 골렘]], [[피스 골렘|멀티 피스 골렘]], [[바이스 드래곤]], [[레드 라이징 드래곤]], [[배틀 페이더]], [[크림즌 블레이더]], [[다크 스프로켓터]], [[다크 레조네이터]], [[레조네이터(유희왕)#s-3.3.2|플레어 레조네이터]], [[레조네이터(유희왕)#s-3.3.4|클락 레조네이터]], [[레조네이터(유희왕)#s-3.2.1|포스 레조네이터]], [[레조네이터(유희왕)#s-3.1.5|더블 레조네이터]], [[레드 레조네이터]], [[레조네이터(유희왕)#s-3.1.4|미러 레조네이터]], [[레조네이터(유희왕)#s-3.1.2|싱클론 레조네이터]], [[레조네이터(유희왕)#s-3.1.1|베리어 레조네이터]], [[레조네이터(유희왕)#s-3.1.3|체인 레조네이터]], [[레조네이터(유희왕)#s-3.3.3|크리에이트 레조네이터]], [[레드 와이번]], [[레드(유희왕)#s-4.2.2|레드 가드너]], [[레드 미러]], [[레드(유희왕)#s-4.2.1|레드 스프린터]], [[레드 노바]], [[레드(유희왕)#s-4.3.1|레드 울프]], [[천랑왕 블루 세이리오스]], [[천형왕 블랙 하이랜더]], [[풍래왕 와일드 와인드]], [[회진왕 애쉬 거쉬]], [[기술왕 문 스타]], [[환영왕 하이드 라이드]], [[절대왕 백 잭]], [[익스플로드 윙 드래곤]], [[구세룡 세이비어 드래곤]], [[세이비어 데먼 드래곤]] * '''마법''' : [[융합(마법카드)|융합]], [[레조네이터(유희왕)#s-4.2|콜 레조네이터]], [[트러스트 마인드]], [[레드 데몬즈 드래곤#s-3.4|홍련마룡의 항아리]], [[레드 데몬즈 드래곤#s-3.3|크림즌 헬 시큐어]], [[버스터 모드|버스터 버스트]], [[버스터 모드|Re-BUSTER]], [[버스터 모드|버스터 텔레포트]], [[레조네이터(유희왕)#s-5.3.1|공명파]], [[레조네이터(유희왕)#s-4.1|레조네이터 엔진]], [[튜너즈 하이]] * '''함정''' : [[강화소생]], [[리젝트 리본]], [[데먼즈 체인]], [[로스트 스타 디센트]], [[리바이벌 기프트]], [[레드 데몬즈 드래곤#s-3.6|스카레드 코쿤]], [[싱크론 리플렉트]], [[왕혼조화]], [[어썰트 스피릿]], [[레드 데몬즈 드래곤#s-3.1|크림즌 헬 플레어]], [[킹 스카레트]], [[킹스 싱크로]], [[파괴신의 계보]], [[레드 슈프리머시]], [[버스터 모드|버스터 카운터]], [[버스터 모드|버스터 슬래시]], [[버스터 모드]], [[체인지 데스티니]], [[하프 또는 스톱]], [[나이트메어 데몬즈]], [[프라이드의 포효]], [[레조네이터(유희왕)#s-5.4.1|스카레드 카펫]], [[레드 데몬즈 드래곤#s-3.2|스크린 오브 레드]], [[어둠의 저주(유희왕)|어둠의 저주]], [[스타게이트]], [[싱크로 콜]], [[튜너 캡처]] ##미출시 카드들도 NPC, 스킬전용 등의 항목으로 따로 나누지 말고 몬스터/마함/함정 항목에 맞춰 기입해주세요. 업데이트 될때마다 수정하는것도 번거롭고, 다른 캐릭터들도 굳이 나눠져있지 않습니다. == 시작 덱 == ||<-5>
{{{+2 '''{{{#white 시작 덱}}}'''}}} || ||<-5> [[파일:듀링스킬.png|width=20px]] '''용의 표식 - 날개''' || ||<-5> {{{+2 '''{{{#white 메인 덱}}}'''}}} || || N [[타이혼|타이혼 #2]][br]x1 || N [[주작(유희왕)#s-2.2|화염의 마신]][br]x3 || N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3#s-39|킬러의 손톱]][br]x3 || N [[화염의 조종자]][br]x3 || N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2#s-27|파이어 아이]][br]x3 || || N [[마브러스#s-2|사염의 날개]][br]x3 || N [[데몬즈 미러|악마의 거울]][br]x3 || N [[워터 스피릿]][br]x1 ||<-2> || ||<-5> {{{+2 '''{{{#white 엑스트라 덱}}}'''}}} || ||<-5>  || == 레벨 업 보상 == ||
{{{#white '''1'''}}} || 아이콘: 잭 아틀라스[br][[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용의 표식 - 날개''' || {{{#white '''16'''}}} || N [[항아리(유희왕)#s-2.2.12|홍련마룡의 항아리]] || {{{#white '''31'''}}} || [[파일:듀링 골드.png|width=25px]] 100,000 || || {{{#white '''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0 || {{{#white '''17'''}}}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60 || {{{#white '''3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0 || || {{{#white '''3'''}}} || N [[항아리(유희왕)#s-2.2.12|홍련마룡의 항아리]] || {{{#white '''18'''}}} || SR [[다크 스프로켓터]] || {{{#white '''33'''}}} || SR [[다크 레조네이터]] || || {{{#white '''4'''}}}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0 || {{{#white '''1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75 || {{{#white '''34'''}}}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0 || || {{{#white '''5'''}}}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br]카드 슬리브: 잭 아틀라스 || {{{#white '''20'''}}}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박살내기''' || {{{#white '''35'''}}} || UR [[다크 버그]] || || {{{#white '''6'''}}}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5 || {{{#white '''21'''}}} || R [[다크 리페어러]] || {{{#white '''36'''}}} || [[파일:듀링 ur 구슬.png|width=25px]] 1 || || {{{#white '''7'''}}} || R [[다크 리페어러]] || {{{#white '''2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00 || {{{#white '''37'''}}}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0 || || {{{#white '''8'''}}}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 || {{{#white '''23'''}}} || SR [[다크 스프로켓터]] || {{{#white '''38'''}}} || SR [[다크 레조네이터]] || || {{{#white '''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 || {{{#white '''24'''}}}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20 || {{{#white '''3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0 || || {{{#white '''10'''}}} || N [[항아리(유희왕)#s-2.2.12|홍련마룡의 항아리]][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white '''25'''}}} || SR [[다크 레조네이터]] || {{{#white '''40'''}}} || UR [[다크 버그]] || || {{{#white '''11'''}}} || R [[다크 리페어러]] || {{{#white '''26'''}}}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50 ||<-2><|5> || || {{{#white '''1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35[br]플레이 매트: 잭 아틀라스 || {{{#white '''27'''}}}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 || || {{{#white '''13'''}}}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헤비 스타터''' || {{{#white '''28'''}}}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0 || || {{{#white '''14'''}}} || SR [[다크 스프로켓터]] || {{{#white '''2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0 || || {{{#white '''15'''}}}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br]아이콘: 잭 아틀러스 (Ver.2) || {{{#white '''30'''}}} || UR [[다크 버그]][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 스킬 == ||<-2>
{{{+2 '''{{{#white 스킬}}}'''}}} || ||<-2><:> {{{+1 '''{{{#white 레벨 업 보상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용의 표식 - 날개'''[br]① :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 외부에서 "[[레드 데몬즈 드래곤]]" 1장을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추가합니다. 그 후, 자신의 덱 외부에서 "[[다크 레조네이터]]" 2장을 자신의 덱에 추가합니다.||레벨 1 달성||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헤비 스타터'''[br]이 스킬은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에 카드명이 다른 레벨 5 이상의 몬스터가 3종류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발동됩니다.[br][br]① : 자신의 시작 패에 레벨 5 이상의 몬스터가 들어올 확률이 높아집니다.[br]② : 자신의 첫 번째 메인 페이즈가 끝날 때까지, 자신은 몬스터를 특수 소환 할 수 없고,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습니다.||레벨 13 달성||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박살내기'''[br]① : 레벨이 5 이상인 몬스터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해당 턴이 끝날 때까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모든 레벨이 5 이상인 몬스터의 공격력을 [{{{#gray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레벨이 5 이상인 몬스터 수*300}}}] 만큼 추가로 올립니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레벨 20 달성|| ||<-2><:> {{{+1 '''{{{#white 캐릭터 전용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데몬의 왕'''[br]① : '데몬' 싱크로 몬스터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데몬' 싱크로 몬스터 1장을 선택합니다. 자신의 해당 턴이 끝날 때까지, 해당 몬스터의 공격력을 [{{{#gray 해당 몬스터의 레벨*100}}}] 만큼 추가로 올립니다.[br]이 스킬은 1턴에 1번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왕의 힘'''[br]① : 카드가 자신의 패에 있고, "[[레드 데몬즈 드래곤]]"이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패에서 카드 1장을 선택하여 덱으로 되돌리고 셔플합니다. 그 후, 자신의 덱 외부에서 무작위로 "[[레드 데몬즈 드래곤|크림존 헬 시큐어]]", "[[레드 데몬즈 드래곤|홍련마룡의 항아리]]", "[[레드 데몬즈 드래곤|크림즌 헬 플레어]]" 중 무작위로 1장의 카드를 선택하여 자신의 패에 추가합니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평생 미션[* 잭 아틀러스로 플레이하여, [[유성(유희왕 듀얼링크스)|유성]]을 상대로 "[[레드 데몬즈 드래곤]]"을 사용해 전투 데미지를 입혀 상대의 라이프 포인트를 0으로 만들어 승리하세요.]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악마의 공명'''[br]이 스킬은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에 '[[레조네이터(유희왕)|레조네이터]]' 카드가 합계 8장 이상 포함되어 있고, 자신의 덱에 악마족 몬스터와 드래곤족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 "[[스카레드 노바 드래곤]]"이 각각 1장 이상씩 포함되어 있으며,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싱크로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br][br]① : '[[레조네이터(유희왕)|레조네이터]]' 몬스터가 자신의 패에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패에서 '[[레조네이터(유희왕)|레조네이터]]'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덱으로 되돌리고 셔플합니다. 그 후, 자신의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악마족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자신의 패에 넣고, "[[레드 라이징 드래곤]]" 1장을 덱 외에서 엑스트라 덱에 넣습니다.[br]② : 이 스킬의 ①의 효과를 사용한 후, 자신의 해당 턴이 끝날 때까지, 자신은 이 스킬의 ①의 효과로 자신의 패에 넣은 카드 및 그 카드와 같은 카드명을 가진 카드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습니다.[br][br]이 스킬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 사용할 수 있고, 듀얼 중에 총 2번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평생 미션[* 잭 아틀러스로 플레이 하여, "[[레드 데몬즈 드래곤]]"의 싱크로 소환을 30번 성공하세요.]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버닝 소울'''[br]이 스킬은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의 튜너 몬스터가 '[[레조네이터(유희왕)|레조네이터]]' 몬스터만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br][br]① : 카드가 자신의 패에 있고, 레벨이 4 이하인 튜너 몬스터가 자신의 묘지에 있으며, 자신의 필드 위에 있는 몬스터가 드래곤족 / 어둠 속성이고 공격력이 3000 이상인 싱크로 몬스터 1장만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패에서 카드 1장을 선택하여 덱으로 되돌리고 셔플합니다. 그 후, 자신의 묘지에서 레벨이 4 이하인 튜너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해당 몬스터를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놓습니다.[br]② : 이 스킬의 ①의 효과를 사용하기 전, 자신의 필드 위에 있는 몬스터가 "[[레드 데몬즈 드래곤]]" 1장만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 이 스킬의 ①의 효과를 적용하는 대신에 자신의 묘지에서 레벨이 4 이하인 튜너 몬스터 2장을 선택하여, 해당 몬스터를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놓을 수 있습니다.[br]③ : 이 스킬의 효과로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놓인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 되고, 해당 몬스터는 릴리스 할 수 없습니다.[br]④ : 이 스킬을 사용한 후, 자신의 해당 턴이 끝날 때까지, 자신은 싱크로 몬스터를 소재로 하는 싱크로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를 일반 소환하거나 특수 소환할 수 없습니다.[br][br]이 스킬의 ①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이벤트 보상 || ||<-2><:> {{{+1 '''{{{#white 기타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세이비어의 빛'''[br]① : "[[구세룡 세이비어 드래곤]]"이 자신의 덱에 있고, 튜너 몬스터가 자신의 패에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패에서 튜너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덱으로 되돌리고 셔플합니다. 그 후, 자신의 덱에서 "[[구세룡 세이비어 드래곤]]" 1장을 선택하여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놓습니다.[br]이 스킬은 1턴에 1번 사용할 수 있습니다.||평생 미션[* 잭 아틀러스로 플레이 하여, [[다크 시그너 칼리(유희왕 듀얼링크스)|다크 시그너 칼리]]를 상대로 "[[레드 데몬즈 드래곤]]"을 10번 싱크로 소환하세요.]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구세의 가호'''[br]① : 자신의 해당 턴에 자신이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 또는 "[[세이비어 데먼 드래곤]]"을 싱크로 소환에 성공하였을 경우에 발동됩니다.[br]자신의 다음 턴이 시작할 때까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 또는 "[[세이비어 데먼 드래곤]]"은 자기 자신의 효과에 의해서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아가지 않습니다. ||이벤트 보상[* 듀얼리스트 연대기 5D’s ]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LP 부스트 α'''[br]① : 자신의 시작 라이프 포인트가 1000 증가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LP 부스트 γ'''[br]① : 자신의 시작 라이프 포인트가 2500 증가합니다.[br]② : 자신의 시작 패의 카드가 2장 줄어듭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센스: 고레벨'''[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000 감소할 때마다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레벨 5 이상의 몬스터를 드로우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센스: 어둠'''[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500 감소할 때마다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어둠 속성 몬스터를 드로우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센스: 화염'''[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500 감소할 때마다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화염 속성 몬스터를 드로우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재시작''' [br]① : 양 플레이어가 시작 패를 드로우한 직후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시작 패를 전부 덱으로 되돌리고 셔플합니다. 그 후, 자신의 시작 패를 1장 감소시키고, 그 수만큼 다시 드로우합니다.[br]② : 자신의 첫 번째 메인 페이즈가 끝날 때까지, 자신은 몬스터를 특수 소환 할 수 없고,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근성'''[br]① : 턴 시작 시에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4000 이상이었고, 해당 턴에 자신이 받게 될 데미지가 현재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 이상일 경우에 발동됩니다.[br]해당 턴에 단 한 번만,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 미만으로 떨어지지 않습니다.[br]② : 이 스킬의 ①의 효과가 발동되었을 경우, 다음 자신의 턴이 끝날 때까지, 자신은 몬스터를 1번만 특수 소환할 수 있습니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발동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레벨 증강'''[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3000 이하이고, 몬스터가 자신의 패에 있으며, 레벨을 가지는 몬스터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패에서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상대에게 공개한 뒤,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고 레벨을 가지는 몬스터 1장을 선택합니다. 자신의 해당 턴이 끝날 때까지, 선택된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몬스터의 레벨은 패에서 공개한 몬스터의 레벨만큼 추가로 높아집니다.[* 선택된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몬스터 레벨에 공개한 패의 몬스터 레벨을 더한다는 의미. 즉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해당 몬스터 레벨은 '''"자신의 레벨 + 패의 몬스터 레벨"'''이 된다.] [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레벨 조절'''[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2000 이하이고, 레벨을 가지는 몬스터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2장 이상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고 레벨을 가지는 몬스터 2장을 선택한 뒤, 1에서 4 사이의 몬스터 레벨을 하나 선언합니다. 선택된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몬스터의 레벨은 자신이 선언한 레벨과 같아집니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 CPU == [[파일:듀얼링크스 잭 아틀러스 덱.png|align=center&width=70%]] ||
<-5>
{{{+2 '''{{{#white CPU (Lv.40)}}}'''}}} || ||<-5> {{{+2 '''{{{#white 메인 덱}}}'''}}} || || [[매드 데몬]][br]x3 || [[트윈 브레이커#s-2]][br]x3 || [[다크 레조네이터]][br]x2 || [[레조네이터(유희왕)#s-2.1.1.2|플레어 레조네이터]][br]x1 || [[레조네이터(유희왕)#s-2.1.1.6|클락 레조네이터]][br]x1 || || [[파워 인베이더]][br]x1 || [[풍래왕 와일드 와인드]][br]x1 || [[레조네이터(유희왕)#s-4.3.2|콜 레조네이터]][br]x2 || [[레드 데몬즈 드래곤#s-3.7|홍련마룡의 항아리]][br]x1 || [[스타 체인저#s-2|싱크로 히어로]][br]x3 || || [[강화소생]][br]x2 ||<-4> || ||<-5> {{{+2 '''{{{#white 엑스트라 덱}}}'''}}} || || [[레드 데몬즈 드래곤]][br]x3 ||<-4> || === 듀얼 보상 === ||<-5>
{{{+2 '''{{{#white 듀얼 보상}}}'''}}} || || UR [[스트롱 윈드 드래곤]] || UR [[피스 골렘#s-2.4|멀티 피스 골렘]] || SR [[피스 골렘#s-2.3|빅 피스 골렘]] || SR [[랜서 데몬]] || SR [[레조네이터(유희왕)#s-2.2|플레어 레조네이터]] || || SR [[로스트 스타 디센트]] || R [[피스 골렘#s-2.2|미드 피스 골렘]] || R [[매드 데몬]] || R [[레드 데몬즈 드래곤#s-3.4|크림즌 헬 시큐어]] || R [[파워 인베이더]] || || N [[피스 골렘#s-2.1|스몰 피스 골렘]] || N [[이펙트 뵐러#s-2|엑스트라 뵐러]] || N [[타이혼|타이혼 #2]] || || || == 평가 == "박살내기", "헤비 스타터", "드로우 센스 : 고레벨" 까지 갖춘 고레벨 중심의 캐릭터. "박살내기"가 너프되기 전에는 자주 사용되는 캐릭터 중 하나였으나, "박살내기"가 듀얼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도록 너프된 이후로는 PVP에서 잘 사용되지 않는다. 기껏해야 "재시작"이나 "근성" 정도가 사용되는 중. 이후에 나온 지원으로 스트럭처 덱 EX [[KING'S RESONANCE]]를 통해 잭의 에이스 몬스터 "[[레드 데몬즈 드래곤]]"의 강화형인 "[[레드 데몬즈 드래곤/버스터]]"도 나오게 되었다. 하지만 레드 데몬즈 드래곤/버스터 자체가 성능이 우수한 편이 아니기 때문에 애매한 지원이라는 평가가 많다. 그래도 스트럭처 덱 EX [[KING'S RESONANCE]] 덕분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을 이전보다 쉽게 소환할 수 있고, 2020년 스킬 패치로 스킬 "왕의 힘"이 패에서 카드를 덱으로 돌리고 덱 외부에서 카드를 가져오도록 상향되면서 "[[버스터 모드]]"의 고질적인 단점인 패 말림도 어느정도 보완할 수 있어 쓰일 여지가 생겼다. 이후 [[SOUL OF RESURRECTION]]과 [[THE KING OF VERMILION]]에서 고성능 레조네이터인 [[레드 레조네이터]], [[레조네이터(유희왕)#크림즌 레조네이터|크림즌 레조네이터]]가 출시되고 [[풍래왕 와일드 와인드]]도 트레이드로 풀리고, 신규 스킬 "악마의 공명"[* 당시 기준 패에 있는 레조네이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패의 카드 1장을 덱으로 되돌린 후, 덱에서 레벨 4 이하 악마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 효과였다. 이 스킬은 메인 덱에 악마족 혹은 레조네이터 10장 이상, 엑스트라덱에 드래곤족 싱크로만 넣고 시작했을 때 발동이 가능했다. 이 스킬로 추가한 카드 및 동일한 카드는 그 턴 동안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는 점과 턴 중 1번 듀얼 중 2번인 것은 지금과 동일하다.]이 오노마토 변화 급의 사기 스킬이라는 것이 밝혀지며 일소권 하나 안 쓰고 안정적으로 전개가 가능해 1티어에 올랐다. 다른 덱들은 LP 코스트가 부담스러워 못 쓰는 [[신의 충고]]나 서치가 안 돼 쓰기 까다로운 [[사령기사 데스커리버 나이트]] 등을 통한 견제가 장점이다. ~~인생 처음으로 유세이를 이겼다~~ 그러나 2021년 10월 18일 악마의 공명이 너프를 받았다. 일단 스킬 조건으로 악마족, 드래곤족 이외에는 채용할 수 없게 되고 레조네이터 카드만 8장이나 넣어야 하며[* 다만, 크림즌 레조네이터 3장, 콜 레조네이터 3장, 레드 레조네이터 2장 이상만 넣으면 손쉽게 조건이 충족되고, 너프 되기전에도 저렇게 넣는게 국룰이었기에, 메인덱 조건 쪽은 그렇게 큰 너프가 아니다.], 그냥 레조네이터를 덱으로 돌리고 서치하는 방식이 되어 써먹을 수 없게 되었다. == 기타 == 유성과 잭의 경우 듀얼 시 나오는 대사가 최종화의 잭VS유성의 에피소드에서 나온 대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한국판의 경우 애니메이션에서 나온 대사 대부분을 그대로 번역했는데, "네 녀석 앞에 길은 없다 포기해라"는 새로 번역했다. 이 대사는 유성이 하이 앤드 로우의 효과를 3번째로 사용했을 때 한 말으로 유성이 달리던 길이 용광로로 이어지는 상황이면서 공격력 800을 넘는 몬스터를 뽑았을 경우 더 이상 수를 쓸 수 없게 된다는 두가지 의미를 담은 말이었는데, 애니메이션에서는 단순히 길이 끊긴다는 의미로 "저기서 그 쪽 길은 끊어진다! 그만 포기해!"로 의역했기 때문이다. 반면 듀얼링크스에선 더 이상 수를 쓸 수 없다는 의미로만 사용되었다. [[잭 아틀라스(유희왕 ARC-V)|ARC-V의 잭]]으로부터 가져온 대사가 존재한다.[* "[[사카키 유우쇼|다른 사람]]이 말하는 듀얼이 아니라 [[사카키 유우야|너]]만의 듀얼을 하란 말야!!"]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유희왕 듀얼링크스/전설의 듀얼리스트/듀얼 월드(5D's), version=27, paragraph=2.4.1)] [[분류:유희왕 듀얼링크스/전설의듀얼리스트(5D's)]][[분류:잭 아틀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