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종마/일본]][[분류:2009년 출생/경주마]][[분류:릿토 트레이닝 센터 소속/경주마]][[분류:야마토야 아카츠키]][[분류:선데이 사일런스계]] || '''{{{#fff 저스터웨이 관련 틀}}}'''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include(틀: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 [include(틀:JRA상 최우수 4세 이상 수말)] [include(틀:신세기의 명마 베스트 100)] [include(틀:JRA 경주마 랭킹 연도별 1위)]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저스터웨이_DubaiDF.jpg|width=100%]]}}} || ||<-2> 이름 || ジャスタウェイ[br]Just a Way || ||<-2> 출생 || [[2009년]] [[3월 8일]] ([age(2009-01-01)]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갈색 (鹿毛,카게) || ||<-2> 아비 || [[하츠 크라이]] || ||<-2> 어미 || 시빌(シビル) || ||<-2> 외조부 || 와일드 어게인(Wild Again)[* [[브리더스컵 클래식]] 초대 우승마이다.] || ||<-2> 생산자 || [[샤다이 그룹#샤다이 코퍼레이션|시라오이 팜]] || ||<-2> 마주 || [[야마토야 아카츠키]] || ||<-2> 조교사 || [[스가이 나오스케]][* [[골드 쉽]]도 스가이의 마방에 있었다.] (릿토) || ||<-2> 성적 || 22전 6승 (6-6-1-9)[br]20전 5승[*중앙][br]1전 1승[*UAE][br]1전 0승[*FR] || ||<-2> 총상금 || 9억 939만 8000엔[br]5억 9569만 4000엔[*중앙][br]+300만 미국 달러[*UAE] || ||<|3> 주요[br]우승 || G1 || [[천황상 가을|천황상·秋]](2013)[br][[아랍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5px]]]] [[두바이 터프|두바이 듀티 프리]](2014)[*A 현 두바이 터프][br][[야스다 기념]](2014) || || G2 || [[나카야마 기념]](2014) || || G3 || [[알링턴 컵]](2012) || ||<-2> 주요 수상 || 2014년 [[JRA상]] 최우수 4세 이상 수말 || ||<|2> 레이팅 || {{{-3 WTR[br]WBRR}}} || I116 ([[틀:2012 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2012]]) / I123 ([[틀:2013 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2013]]) / M130[*1위] ([[틀:2014 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2014]]) || || 타임폼 || 131 || ||<-2> [[#s-4.1|주요 자마]] || 테오레마(テオレーマ, 2016)[br][[다논 더 키드]](2018)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2009106461/|[[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or.jp/horse/0001106251/|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저스터웨이.jpg|width=100%]]||[[파일:Just_a_Way_Portrait.jpg|width=100%]]|| || '''세계 제일의 칭호, 부자의 패도.[br]{{{-2 世界一の称号、父子の覇道。}}}''' || '''그 길 저편에[br]{{{-2 その道の彼方に}}}''' || || '''{{{#white 히어로 열전 No.77}}}'''[* 해당 문구가 나온 포스터는 아버지 [[하츠 크라이]]의 히어로 열전과 폰트 하나까지 다 같은 디자인으로 만들어졌다. 사진도 거의 같은 구도인데 부모자식 관계를 강조하는 말들의 히어로 열전들이 사진을 비슷한 구도로 맞추는 경우는 많지만, 전체적인 포스터 디자인을 똑같이 만든 것은 하츠 크라이-저스터웨이 부자가 유일하다. 둘 다 두바이의 G1 경주에서 활약한 것이 커리어 최정점의 순간인 점에서 착안한 듯.] || '''{{{#white 2018년 명마의 초상}}}''' || >'''그 길 저편에''' > >지금 빛을 발할 기회가 찾아왔다. >모든 것을 열풍에 날려버리고 >홍련의 불로 태워라. > >그래 베어버릴 때가 왔다. >[[은혼|은]]의 검을 휘두르며 >[[은혼|혼]]의 포효와 함께 돌진하라. > >더 이상 멈추지 않는다. >언덕을 뛰어올라 >그 길 저편에 있는 >아득한 세계의 정점을 노려라. >---- >JRA 명마의 초상 일본의 경주마. 유난히 개성적인 말들이 많았던 2009년생-2012년 클래식 세대[* [[젠틸돈나]], [[골드 쉽]], '''저스터웨이''', [[페노메노(말)|페노메노]], [[비르시나]] 등 98년의 [[황금 세대]]에 비견될 정도의 역대급 세대로 불린다.] 경주마들 중 하나. 마명의 유래는 만화 [[은혼]]에 등장하는 [[저스터웨이|동명의 물체]]인데, 이 말의 이름이 이렇게 된 건 마주가 은혼 각본가 중 한명인 [[야마토야 아카츠키]]라 그렇다. 여담으로 야마토야가 사들인 같은 세대의 말 중에서는 '[[데라카도 츠우|오츠우]]'[* 해당 암말 역시도 하츠 크라이 산구(모부 [[토카이 테이오]])이며 현재 번식암말로서 지내고 있다. 오츠우의 자마들도 야마토야가 마주다. 아니나 다를까 말의 이름도 [[매지컬 스테이지]], 킹 로코마이카이([[갓슈 벨|착한 왕]]), [[오오카와 시게|오시게]], 파카 파카 부(말이 달리는 소리) 등 특유의 네이밍 센스(...)를 보여준다.]도 존재한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하츠 크라이]][br]{{{-2 ハーツクライ}}}[br]{{{-2 2001}}}||<|2>'''[[선데이 사일런스|Sunday Silence]]'''[br]{{{-2 1986}}}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헤일로(말)|Halo]]'''|| ||Wishing Well|| ||<|2>아이리시 댄스[br]{{{-2 アイリッシュダンス}}}[br]{{{-2 1990}}}||'''[[토니 빈|Tony Bin]]'''|| ||Buper Dance|| ||<|4>시빌[br]{{{-2 シビル}}}[br]{{{-2 1999}}}||<|2>Wild Again[br]{{{-2 1980}}}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Icecapade'''|| ||Bushel-n-Peck|| ||<|2>Charon[br]{{{-2 1987}}}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Mo Exception|| ||Double Wiggle|| ||<-3>* -|| 삼관마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를 2005년에 꺾은 걸로 유명한 [[하츠 크라이]]의 자마 2세대에 해당하는 경주마로 하츠 크라이의 자마들중 최초로 G1을 우승한 말이기도 하다. 외조부인 와일드 어게인은 [[브리더스컵 클래식]] 초대 대회 우승마로 역사에 남겼으며 다른 G1 대회도 우승 경력이 있는 말이다. == 커리어 == 출생부터 데뷔 당시까지 대대로 이어진 휜 다리 때문에 기대를 받지 못했다.[* 조부 [[선데이 사일런스]]의 다리 문제는 익히 알려져 있고, 부마인 [[하츠 크라이]] 또한 어린 시절 심한 휜 다리를 보였었다. 다만 보통이라면 자마들에게 휜 다리를 물려주지 않았던 선데이 사일런스 및 하츠 크라이와 다르게, 저스터웨이의 자마들은 고질적으로 휜 다리 문제를 겪고 있다.] 이후 2010년 셀렉트 세일에서 마주 [[야마토야 아카츠키]]에게 1200만엔으로 팔려 혈통에 비해 값싸게 넘어갔다. 데뷔전에서 5마신차 압승을 선보이며 기대주로 떠올랐으나, 이후 제대로 힘을 보이지 못하며 연패. 마이니치 왕관에서 고마들을 모두 꺾었으나 정작 같은 3세마이자 [[NHK 마일 컵]]의 패자 [[카렌 블랙 힐]]에게 패하며 2착에 그쳤다. 2013년에도 상황은 변하지 않았으나, [[엡솜 컵]]부터 중상 경주 3연속 2착을 기록하며 착실하게 평가를 올리고 있었다. === 2013년(4세) === [include(틀:2013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 [[천황상 (가을)]] ==== [youtube(482SyBXvQNE)] 저스터웨이의 행선지는 지난해 6착으로 패퇴했던 천황상 (가을).[* 출주 예정마들 중에서는 상금 순위가 20위로, 최대 18두 엔트리이기 때문에 나오지도 못할 뻔 했다. 이후 [[토센 라]] 등의 출주 예정마들이 회피하게 되어 겨우내 출주할 수 있게 되었다.] 작년도 우승마 [[에이신 플래시]]가 3인기, 중상 3연승[* 그 중 3번째인 삿포로 기념에서 6마신차 압승을 거둬 유력마로 급부상했다.]을 달리던 토케이 헤일로가 2인기였으며, 1인기는 봄 경기에서 2연패 했으나 [[오르페브르|3관마]]를 패퇴시킨 말로서 여전히 입지가 높던 [[젠틸돈나]]였다. 이런 가운데 저스터웨이는 5인기를 받게 된다. 경기는 토케이 헤일로의 하이페이스 도주, 젠틸돈나부터 에이신 플래시까지가 두텁게 선행조를 만들었고, 저스터웨이는 그 선행조를 바라보는 위치에 자리잡아 느긋한 경마를 하고 있었다. 직선에 다다른 이후, 하이페이스로 소진된 젠틸돈나와 마군에 막힌 에이신 플래시가 다소 고초를 겪는 동안 차분히 힘을 모은 저스터웨이는 특유의 압도적 직선 스퍼트를 발휘했다. 그 결과 젠틸돈나를 무려 '''4마신''' 차이로 따돌리고 압승. 하이페이스조를 따라가지 않고 직선에서 적절한 포지션을 찾는 기승과, 상대방이 불리한 상황에 놓였던 점[* 젠틸돈나는 자기 뒤에서 몰아붙이는 선두조에 소진을 겪고 있었고, 안 좋은 마장은 잘 뛰지 못하는 경향이 있어 상황과 적성 모두 불리했다. 에이신 플래시 또한 마군이 생겨 잠깐 발이 멈췄었다. 물론 착순 자체는 2착과 3착으로 제대로 들어가 경기 수준에 의심을 품기는 어렵다.]에 힘입어, 파괴력이라 일컬어지는 저스터웨이의 압도적인 힘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론진에서는 그다지 고평가하지 않았으나, 타임폼에서는 129의 레이팅을 수여하면서 상당히 고평가하였다.] === 2014년(5세) === [include(틀:2014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지난 천황상 가을에서 완전히 각성한 저스터웨이는 3월 29일의 두바이 듀티 프리 출주를 목표하게 된다. [youtube(_qwvBnYeUbQ)] 해당 경기에 앞서 [[나카야마 기념]]에 출주. [[로고타입]], [[사다무 파텍]], 토케이 헤일로[* 지난 천황상 가을에서 10착으로 패퇴했으나, 그 다음 [[홍콩 컵]]에서 2착을 기록했다.] 등의 강호들이 출주한 슈퍼 G2에서 3 1/2마신차의 압승을 거두었다. ==== [[두바이 터프|두바이 듀티 프리]] ==== [youtube(yGQeYYrKccA)] 예정대로 두바이 듀티 프리에 출주, 외신에서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으나 단독 우승 후보는 아니었다. 특히나 베르신게토릭스[* Vercingetorix,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조교마로, 두바이 듀티 프리 직전에 제벨 헤타(G1)을 우승하였다.]와 더 퓨그[* The Fugue, 알 카짐 등의 강호를 꺾어버리고 2013년 아이리시 챔피언 스테이크스를 우승한 암말이다. 두바이 듀티 프리 이후로도 프린스 오브 웨일스 스테이크스에서 우승, 2023년 기준 해당 경기의 현행 레코드를 보유하고 있다.] 등이 강한 라이벌로 지목되었다. 본편에서는 스타트가 늦어 다소 고전할 것처럼 보였으나.. 직선에서 베르신게토릭스를 '''{{{#red 6 1/4마신}}}'''으로 꺾어버리는 공전절후의 힘을 보이며 우승했다. 아무렇지 않게 세운 레코드 기록은 2023년 기준으로도 현행 레코드, 또한 6 1/4마신은 역대 두바이 듀티 프리(현 두바이 터프) 최다 착차이다. 한편 같은 날 같은 곳에서 [[젠틸돈나]] 또한 [[두바이 시마 클래식]]의 레코드 우승을 하였다. 이 경기로 저스터웨이의 론진 공식 레이팅은 '''130'''으로 급상승, 세계 1위 기록에 오른다.[* 역대 일본마 중에서는 1999년 [[엘 콘도르 파사(말)|엘 콘도르 파사]]의 134에 이은 단독 2위 기록이다. 다만 엘 콘도르 파사는 몬쥬에게 패퇴하여 얻은 기록이기에, 결국 그 말의 뒤를 이어 세계 랭킹 2위에 그쳤다.][* 암말의 Sex Allowance를 고려하면 본디 126인 [[리스 그라슈]]도 130으로 타이 2위 기록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기록은 연말까지 깨지지 않아 2014년 세계 랭킹 1위로 당당히 남게 되었다. 일본마로써는 최초이자, 현재까지도 유일한 기록이다. 이런 최강급 말의 등장에 전세계에서 저스터웨이의 해외 출주에 바람을 넣었다. 그 중에서는 영국의 프린스 오브 웨일스 스테이크스, 인터네셔널 스테이크스 등 저스터웨이가 적정히 소화할 수 있는 경기도 있었으나 전부 거절, 국내 레이스를 다음 목표로 잡게 된다.[* 이러한 제의는 2023년 두바이 시마 클래식을 압승한 [[이퀴녹스]]에게도 동일하게 일어났다. 거리 차이 때문에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나 [[개선문상]] 쪽으로 이야기가 나왔지만, 결국 저스터웨이처럼 거절하고 자국의 [[재팬 컵]]을 나가겠다고 의견을 굳혔다.] 이후 여름에 야스다 기념 - 타카라즈카 기념 2연전의 로테이션을 공표한다. ==== [[야스다 기념]] ==== [youtube(pHz1euHgHVs)] 1998년 [[타이키 셔틀]]의 우승 이후 16년 만에 불량마장이 된 야스다 기념. 주전 기수 [[후쿠나가 유이치]]의 기승 정지로 [[시바타 요시토미]]가 안장에 오른 상황에서, 이변 없이 1인기를 취득하여 출주하게 된다. 마지막 직선에서 마군에 약간 막혀있다가 빠져나온 뒤, 이미 앞쪽으로 빠져나간 [[그랑프리 보스]]를 추격하여 골라인에서 겨우 따라잡았다. 마지막은 코 차이의 결착으로 사진 판독에 들어갔고, 이후 저스터웨이가 9cm의 차이로 우승했음을 알렸다. 이렇게 중상 4연승, G1 3연승을 이어나가는 절정의 저스터웨이였다. 그러나 불량마장에서 혹독할 정도로 달려나갔기 때문에 피로가 상당히 쌓인 상태였고, 결국 타카라즈카 기념 출주는 단념하게 된다. 해당 타카라즈카 기념은 저스터웨이의 절친이자 지난 해의 챔피언인 [[골드 쉽]]이 2연패로 마무리지었다. ==== [[개선문상]] ~ 은퇴 ==== || [youtube(bJOpyCA0WKM)] || || 2014년 [[개선문상]] 영상 || 여름 휴양 이후 저스터웨이는 미지의 거리인 롱샹 2400m [[개선문상]]에 도전하게 된다. 저스터웨이 이외에도 [[골드 쉽]], 그리고 삿포로 기념에서 그 골드 쉽을 꺾은 [[하프 스타]] 등이 출주하는 절호의 라인업이었다. 그러나 실제 경기에서는 직선에서 힘을 쓰지 못하며 8착에 그치고 만다.[* 하프 스타는 6착, 골드 쉽은 14착을 기록.] 아쉬움과 함께 일본으로 돌아온 저스터웨이의 차주는 재팬 컵. 젠틸돈나와 하프 스타가 1인기 2인기를 굳히는 동안 3인기로 참가하였다. 직선에서 마장이 괜찮은 바깥으로 나와 선두를 쫓았지만, 이미 멀찍이 떨어진 [[에피파네이아]]를 잡을 수 없어 2착. 4마신 차이로 굴복하게 되었다. 젠틸돈나가 4착, 하프 스타가 5착 등으로 그야말로 난장판이 되어버린 상황.[* 각각으로 이야기하면 젠틸돈나는 바깥의 기세가 강해 가장 안쪽에 비치, 큰 불리함을 지니는 안쪽 마장을 밟아서 전혀 힘을 쓰지 못했고, 하프 스타는 아일랜드마 트레이닝 레더의 경주 중지에 휩쓸려 크게 대외로 빼버리는 로스가 있었다. 한편 우승마 에피파네이아의 경우 경기 전개에 지장이 없었고, 소모전 양상이 되다 보니까 특장기인 체력을 살려 강하게 우승하였다.] 은퇴전은 [[아리마 기념]]이 되었다. 2번의 패배에도 굴하지 않고, 꿋꿋하게 3번 인기를 등에 안고 출주하였다.[* 1번 인기는 2012년 아리마 기념 우승마인 골드 쉽, 2번 인기는 위의 에피파네이아.] 비르시나의 엄청난 슬로우페이스 리드로 인해 마지막 3~4코너의 추격부터 시작해 직선에서까지 속도 공방이 이어지는 가운데, 저스터웨이는 코너 끝까지 좋은 포지션에 오르지 못했고 직선에서 엄청난 기세를 보였으나 4착에 그쳤다. 라스트 3F는 33.4, 그 자체로 구설수가 되는 엄청난 기록이었으나 아쉬운 패배를 겪고 커리어를 마쳤다. 이런 저스터웨이의 강함과 아쉬운 결과 때문에 기수 [[후쿠나가 유이치]]는 그야말로 몰매를 맞게 된다. 이후 후쿠나가는 [[https://www.google.com/amp/s/g-journal.jp/2017/11/post_4930.html/amp|한 인터뷰]]에서 저스터웨이가 앓았던 오른쪽 다리의 계인대염 때문에 우회전에서 약할 수밖에 없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후쿠나가의 태도와 이야기의 진실됨과 별개로, 저스터웨이가 좋은 스타트를 하고도 포지션이 내려갔던 것은 초반 1펄롱을 지나 코너에 접어들었던 때였다. 부자연스럽게 내려가는 것과, 그 이후로 올라오지 못하는 모습을 볼 때 코너링에 문제가 있었던 것 정도는 추측해볼 수는 있다. 그러나 이런 약한 부분을 기수의 역량으로 커버할 수 없었느냐에는 다소 의문이 들 수 있다. 가령 첫 번째 홈 스트레치나 백 스트레치에서 말을 어느정도 올린다는 선택지는 없었을까?][* 후쿠나가 유이치는 우회전 경주에서 성적이 영 좋지 않다. 최고 수준의 말들이 모이는 그랑프리에서는 이것이 더 두드러져, [[타카라즈카 기념]]에서 '''19번''', 아리마 기념에서 '''13번''' 출전하고도 '''단 한 번도 이기지 못했다.''' 후쿠나가가 주전 기수를 맡았던 [[콘트레일]]의 회피가 이것 때문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고, 실제로 콘트레일의 아리마 기념 불참에는 주전기수 후쿠나가 유이치의 의견이 작용했다.][* 이러한 이야기들을 차치하고, 당시 후쿠나가가 받았던 것은 맹비난 그 자체였다. 천황상 가을에서 좋은 기승력으로 우승을 이끌었던 것은 거의 묻혀버린 채 저스터웨이에 대해서는 안 좋은 이야기만 남았고, 그 때문인지는 몰라도 후쿠나가는 자신이 탔던 말들을 이야기할 때 저스터웨이를 잘 이야기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 또한 저스터웨이의 3F 기록, 그리고 연초의 강함으로 벌어진 일. [[우마무스메]] 유입 이후 소위 최강마 논쟁을 할 때 저스터웨이가 잘 언급되지 않는다는 둥 평가절하되는 경향이 있으나, 그저 하나의 역사로 훑을 때 타이틀이 부족해보일 뿐 그 당시의 저스터웨이가 얼마나 강했고, 고평가 받는 마필이었는지는 그 정도에서 충분히 짐작 가능하다.] 저스터웨이의 말년은 마주의 헛된 바람으로 완전히 망가졌다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진다. 거리적성에 맞는 해외 경기라면 이미 오퍼를 받고 있던 프린스 오브 웨일스 스테이크스, 인터네셔널 스테이크스가 있고, 그 외에도 수많은 1600m~2000m 레이스들이 기다리고 있었다.[* 이클립스 스테이크스, 서섹스 스테이크스, 자크 르 마루아상, 몰랭 드 롱샹상, 아이리시 챔피언 스테이크스, (영국) 챔피언 스테이크스, 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 [[브리더스컵]] 마일 외.] 연말이라면 홍콩 마일 및 홍콩 컵의 선택지도 존재한다. 그런 경기들을 나가지 않고 중장거리에 속하는 [[개선문상]](2400m)→[[재팬 컵]](2400m)→[[아리마 기념]](2500m)에 출주. 3연패(敗)로 커리어를 마감하면서 더 이상의 전적을 얻지 못한 것이다. 때문인지 후일 마주는 저스터웨이를 개선문에 보낸건 잘못된 선택이었다며 반성하는 모습을 보였다. ||[youtube(VJIc2SYUCHU)]|| || 저스터웨이의 은퇴식 (2015년 1월 4일, [[교토 경마장]]) || == 종마 생활 == [[파일:202109211442403984.jpg]] {{{#!wiki style="word-break:keep-all;" || 연도 || 교배료[br](만 엔) || 교배[br]두수 || 자마[br]두수 || || 계양처 ||<-4> 샤다이 스탤리온 스테이션 (2015~2019) [br]브리더스 스탤리온 스테이션 (2020~) || || 2015 ||<|3> 350 || 220 || - || || 2016 || 151 || 138 || || 2017 || 121 || 106 || || 2018 || 300 || 148 || 78 || || 2019 ||<|2> 400 || 214 || 99 || || 2020 || 86 || 140 || || 2021 || 300 || 61 || 62 || || 2022 || 200[*수태], 300[*출생] || 67 || 38 || || 2023 || 250[*수태], 350[*출생] || - || (집계중) || }}} 은퇴 후에는 그 뛰어난 성적을 인정받아 샤다이 스탤리언 스테이션에서 종마 생활을 시작했다. 아이러니하게도 그 유순한 성격이 종마 생활에 독이 되었다. 교배를 좋아하지 않는데다가 서툴렀다고 하며 좋아한다는 회색 말 상대로도 예외는 아니어서 교배시킬 때마다 매우 애를 먹었다고 한다. 그러나 자마 실적이 부진하여, 결국 샤다이 스탤리언 스테이션에서 방출되었다. 새로운 보금자리가 된 브리더스 스탤리온 스테이션에는 그렇게나 좋아하는 회색 말이 한마리도 없다고 한다. 2019년 자마 로드 마이 웨이가 챌린지 컵을 수상해, 첫 중상 자마를 배출했으며 2020년 자마인 [[다논 더 키드]]가 호프풀 스테이크스를 우승하며 첫 G1 자마를 배출했다. 다만 다논 더 키드는 이후에 중상도 우승 못하고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다만, 마일 G1에서는 몇 번 입착하여 나름의 실력은 증명하고 있다. 2022년 [[마이니치 왕관]]에서 출발 신호가 떨어지기 전에 게이트를 부수고 뛰쳐나오는 해프닝을 일으켰는데, 부상은 없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최외곽 게이트로 재배치되었다. 웃기게도 이런 난동을 부렸는데 3착으로 완주했다. [[https://www.fmkorea.com/5092681825|#]] 다논 더 키드의 바로 옆 게이트에 있던 [[레이 파팔레]]의 기수인 [[카와다 유가]]는 당시 상황을 게이트가 열리기 직전 2번 게이트의 노스 브릿지가 게이트에 달려들어 부딪혀서 엄청나게 커다란 소리가 났고 그 소리에 반응한 다논 더 키드가 게이트를 부수고 뛰쳐나왔다고 설명했다. [[https://news.netkeiba.com/?pid=column_view&cid=52174|#]] 2022년 8월 20일, 코쿠라 6R 2세 신마전(더트 1700m)에서 저스터웨이 자마인 야마닌 우르스가 2착마와 '''4초 3 차이 대차'''를 기록하면서 1착, 신마전을 통과했다. 랩타임도 2세마의 더트 1700m JRA 신기록인데, 이 대차는 그레이드제 도입 이후 '''평지 경주에서의 최대 착차'''로 기록되었다.[* 이 1착은 당시 야마닌 우르스의 기수인 [[이마무라 세이나]]에게도 유의미한 기승이었는데, 올해 데뷔 후 이 경주의 우승으로 G1 경주 기승 자격을 충족했기 때문이다.][* 그런 한편 이 신마전에서 2착을 기록한 고라이코우가 11월 3일 몬베츠에서 열린 Jpn3 경주인 JBC 2세 우준을 2.5마신차로 압승하면서 야마닌 우르스에 대한 기대치도 더 올라갔다.] [[https://m.dcinside.com/board/umamusme/1213512?headid=50&page=2|#]] [[https://youtu.be/rTrISfkIpNs|영상]] 그런데 막상 이 신마전 이후 계속해서 차주가 정해지지 않고 있고, 11월 26일 오픈 경주에 출주할 예정도 취소해 의문을 자아내고 있다. 2022년 11월 19일, [[도쿄스포츠배 2세 스테이크스]]에서 가스트리크[* [[노스 힐즈]] 대표이사 마에다 코지의 소유마.]가 우승하면서 GII 우승 자마를 추가했다. 샤다이 스탤리언 스테이션에서 있었던 마지막 해에 나온 자마다. 이후 2023년 4월 23일, 부상으로 오랫동안 소식이 없던 야마닌 우르스가 교토 6R 3세 1승클래스 경기에 간만에 출전했고,[* 기수는 [[타케 유타카]]로 바뀌었다.] 여기서도 마체중 +24kg 우려를 딛고 2착마와 6마신차 압승을 거두며 3세 더트 전선 최유력마로 떠올랐다. 2023년 6월 10일 저스터웨이 마주인 [[야마토야 아카츠키]]의 소유마인 히힝이라는 이름의 말이 신마전을 우승해서 화제가 되었다.[[https://youtu.be/BEi_qk7q1us|#]] 마주 본인 말로는 레이스 중계나 인터뷰에서 아나운서가 히힝을 연발하면 재미있을 것 같아서 붙였다고. [[https://www.keibalab.jp/column/yamatoya/170/|#]] === 주요 자마 === * '''굵게''' 표시된 것은 GI 경주. 2016년산 * 어드마이어 저스터 - [[하코다테 기념]](2020) * 벨록스 - 2019년 [[사츠키상]] 2착, 2019년 [[일본 더비]] 3착, 2019년 [[킷카상]] 3착 * 로드 마이웨이 - [[챌린지 컵]](2019) * 어 윌 어 웨이 - [[실크로드 스테이크스]](2020) * 마스터 펜서 - [[머큐리 컵]](2020, 2021), [[하쿠산대상전]](2020), [[나고야 그랑프리]](2020) * 테오레마 - [[마린 컵]](2021), '''[[JBC 레이디스 클래식]](2021)''' 2017년산 * 에이포스 - [[필리즈 레뷔]](2020) * 베르텍스 - 나고야 그랑프리(2021) 2018년산 * [[다논 더 키드]] - '''[[호프풀 스테이크스]](2020)''', [[도쿄스포츠배 2세 스테이크스]](2020) 2020년산 * 가스트리크 - 도쿄스포츠배 2세 스테이크스(2022) == [[은혼]]과의 관계 == 재미있는 점은 야마토야 아카츠키가 각본을 맡았던 애니 155화 중에 경마중계가 나온적이 있는데 이 때 우승한 말 역시 저스터웨이라는 이름이었다. 그리고 애니 상에서 이 말이 우승한 방식이 "우회전 코스에서 13번마로 출주, 중반까진 최후미에 뒤쳐져 있었지만 폭발적인 가속력으로 외각으로 돌입해 앞선 말들을 제치고 역전 우승"이었는데, 야마토야의 소유마인 '''실존마 저스터웨이가 [[https://www.youtube.com/watch?v=WxqAAY9aMbk|2012년 알링턴 컵]]에서 똑같이 재현했다'''. 팬들 사이에선 거의 예언에 가까울 정도라고 평가받는다는 듯. 이것이 예언이건 아니건 저스터웨이의 진가가 발휘되기까지는 더 시간이 걸렸다. 이외에도 패러디가 하나 또 있는데, 저스터웨이가 이기는 말 이름이 "치프 임팩트"인데 살짝만 이름을 비틀면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가 된다. 이렇게 패러디된 이유는 저스터웨이의 부마가 아리마 기념에서 딥 임팩트에게 첫 패배이자 일본 내 유일한 패배를 안긴 [[하츠 크라이]]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된 젠틸돈나는 딥 임팩트의 딸이자 '''암말 트리플 크라운마'''인지라 '''부자가 모두 부녀 트리플 크라운마를 이겨본''' 진기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기묘하게도 마주 야마토야가 개인 마주를 시작하게 된 계기도 [[하츠 크라이]]의 한입마주로 지내면서 얻은 경험 때문이었다고 하니 아버지에게 피 말고도 많은 것을 받은 셈. 대활약을 해 준 덕에 야마토야 각본가는 이 말에 각별한 애정을 안 쏟을 수가 없었고, 두바이 듀티 프리 우승 당시에는 두바이 경마의 후원자로 유명한 셰이크 무하마드 국왕에게 황금 저스터웨이를 [[http://gameinn.jp/umamusume/9512/|선물했을 정도]]. 야마토야가 맡은 작품에 콜라보 내지는 오마쥬로 자주 등장하는데, 은혼에서는 이 말에 긴토키가 탄 [[http://alonestar.egloos.com/4866056|콜라보 일러]]도 나왔다. 또 후일 이 서브 각본을 맡은 [[열차전대 토큐저]]에서 말 장식이 붙은 도끼형의 무기로 패러디한다. 그리고 그 무기 소유주인 관리인 나이트의 성우는 [[사카구치 다이스케|신파치]]...결국 전투중 [[니지노 아키라]]에 의해 우주로 날아간다. 또한 같은 감독 작품인 [[오소마츠 상]] 23화에서도 특별출연했다. == 여담 == * 특이하게도 다른 말들은 거의 안 좋아하는 회색 말을 좋아해서[* 회색 말은 무리에서 매우 눈에 띄기 때문에 야생에서 존재하는 것 만으로도 자신은 물론 주변의 다른 말에까지 포식자의 관심이 이끌리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골드 쉽]]과 친하게 지내는 거의 유일한 말[* 사실 골드 쉽이 저스터웨이만 맘에 들어하던 것과 달리 저스터웨이는 골드 쉽과 헤어진 후에도 그냥 회색 말이면 친하게 다가가는 모습을 보여서 그냥 회색 털이기만 하면 누구든 좋았던 거 아니냐는 농담도 있다.]이었다고 한다.[* 공교롭게도 할아버지 [[선데이 사일런스]]도 회색 말인 [[메지로 맥퀸]](골드 쉽의 외조부)과 절친한 사이였고, 아비 하츠 크라이 역시 회색 말인 [[쿠로후네(말)|쿠로후네]]와 친하게 지냈다.] 골드 쉽은 저스터웨이가 자기보다 1년 먼저 은퇴하자 먹이도 제대로 먹지 않을 정도로 상심했고 저스터웨이와 비슷한 말을 들여놓았다가 사육사를 물려 한 적도 있어서 저스터웨이의 동영상을 보여주는 걸로 달래줬다고 할 정도로 친하게 지냈다고 한다. 다만 골드 쉽의 이복형인 [[오르페브르]]와는 반대로 사이가 매우 안좋았다고 하며 서로 여러번 싸우기도 해서 둘을 따로 떼어놔야 했다고 한다. * 일반적인 [[서러브레드]] 종과는 달리 꽤 온순한 성격이라고 한다. 심지어 암말이 옆에 있어도 얌전할 정도라서 프랑스 원정 당시 함께 간 절친 골드 쉽이 또다른 원정멤버중 하나인 암말 [[하프 스타]]를 덮치지 않도록 골드 쉽과 하프 스타 사이에 저스터웨이를 배치했던 일화도 있다. [[https://tsumanne.net/si/data/2021/04/14/7209936|기사]] 또한 느긋한 면모도 있어서 데뷔 초에는 다른 말들에 비해 스타트 대시가 느린 편이었다고 한다. * 2021년 4월 18일자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 [[골드 쉽]]이 '경주마계의 아이돌'로 소개되었는데, 골드 쉽과 제일 친했던 저스터웨이를 죽지 않았는데 '''죽었다고''' 방송에 그대로 내보내는 오류가 있었다.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는 등장은커녕 언급조차 없다. 커리어도 충분히 뛰어난데다 은혼마라는 점 덕분에 인기도 제법 있었고 무엇보다 이미 실장된 캐릭터인 [[골드 쉽]]의 절친이라는 창작하기 좋은 캐릭터성 때문에 아쉬움을 많이 산다. 특이한 점은 마주가 비협조적으로 나왔던 [[샤다이 그룹]]이나 [[카네코 마코토(기업인)|카네코 마코토]] 등과는 다르게 마주인 야마토야는 오히려 자기가 직접 실장을 원한다고 발언한 적이 있다는 것, 그리고 샤다이 그룹 소속마들은 가명으로라도 나오거나 간접적으로 존재라도 언급된 것과 달리 저스터웨이는 언질조차 없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름 때문에 은혼의 연재/방영처인 [[슈에이샤]]나 [[선라이즈(브랜드)|선라이즈]]와 관련되어서 뭔가 문제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으며, 또는 이미 라이센스를 따놓고 발표만 기다리고 있다는 의견도 있다. 은혼의 주역인 [[사카타 긴토키]]의 성우 [[스기타 토모카즈]] 역시 우마무스메 하드유저로 유명한데, 골드 쉽 육성에 대해 이야기할 때 "골드 쉽이 나오니까 역시 정말 친했던 '''그 녀석'''도 나와줬으면 좋겠다"라는 말을 하여 간접적으로 저스터웨이의 우마무스메 등장을 희망한다는 언급을 했다. 또한 '내가 할 수 있는게 있다면 무엇이든지 협력하겠다'라는 말도 덧붙였다. 그런데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애니메이션 3기)|애니 3기]] 방영 후, 트위터를 통해 '''[[https://twitter.com/varon666/status/1712135981069975822?s=19|팀 카노푸스의 일러스트]]'''가 공개됐는데, 해당 일러스트에서 [[팀 카노푸스]]의 포즈가 '''저스터웨이가 등장한 [[열차전대 토큐저]]'''의 대표 포즈였기 때문에 등장할지도 모른다는 루머가 돌고 있다. * 마주가 우마무스메 관련으로 인터뷰를 했는데, 저스터웨이뿐만 아니라 개인마주가 된 계기를 제공한 저스터웨이의 아비 [[하츠 크라이]][* 마주인 야마토야는 주변 지인의 권유로 하츠 크라이의 한입마주로 활동했고 이 과정에서 여러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한입마주의 한계를 절실하게 깨닫고는 개인마주로 활동하기로 결정한 것이라고 한다. 한입마주는 말이 획득한 '''상금''' 관련 권리를 여러 구좌로 나누어 판매하는 제도로 우선주와 비슷한 제도이다. 문제는 '''등록금과 함께 말의 유지비도 같이 내야 한다'''. --우선주 주주한테 회사 운영비 내라고 했으면 주주들이 경영진 뚝배기를 깼을 것-- 그러나 드는 비용에 비해 마주로서의 권리는 없기 때문에 돈 많이 드는 팬클럽이나 다름없다.]도 같이 나왔으면 좋겠다는 빠심을 드러냈다. 이 인터뷰가 다소 왜곡되어 하츠 크라이가 나오지 않으면 저스터웨이도 내보내지 않겠다고 마주가 발언했다는 루머가 간간히 떠돌고 있다. * [[우마무스메]] 관련 [[2차 창작]]에는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골드 쉽]]의 친구로 간간히 등장한다. 캐릭터 디자인 하나 나오지 않은 말이지만, [[https://www.pixiv.net/users/14618071|无显cnd]]의 [[https://www.pixiv.net/artworks/90091725|창작 디자인]]을 기반으로 자체 2차 창작이 생산되고 있다. 그것도 다른 우마무스메들의 2차 창작에 맞먹는 수준이라, 픽시브 백과의 [[https://dic.pixiv.net/a/ジャスタウェイ(ウマ娘)|항목]]에선 '''(2차 창작 세계관의) 시민권을 따버린 완성도 높은 환각(市民権を得てしまった完成度の高い幻覚)'''으로 불려지는 중. 문서 창작물에선 이모지 💣로 표현 된다. 다른 말들은 다 싫어한다는 백은색 털의 말을 좋아했다는 특징이 부각돼, 대부분의 작품에선 [[은발]] 페티시 설정을 기본적으로 달고 나오는 편이다. 성격에 관해서는 거의 세 가지로 분류되는데 우선 원래의 성격답게 얌전하고 느긋한 성격으로 골드 쉽에게 휘둘리는 모습으로 그려지거나, [[은혼|이름의 유래가 된 물체가 나오는 만화]]나 골드 쉽과 유일하게 친하다는점 때문에 골드 쉽과 맞먹거나 그보다 더한 기행인으로 그려지기도 하며, 앞의 두 가지를 섞어 평소에는 얌전하다가 골드 쉽이나 다른 은발 우마무스메들만 엮이면 초하이텐션이 된다는 식[* 이 경우 종종 골드 쉽이 "너 회색털이면 누구던 좋은 거지?"라고 태클을 걸고 저스터 웨이가 변명하는 전개가 나오기도 한다.]으로도 그려지는 편이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br](odds)[* 서양권에서 사용하는 배당 표기 값이다. 분수로 표기하며, 한국/일본에서 사용하는 배당율과 달리 원금을 제외하므로 값이 1만큼 작다.]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2011년 {{{-1 (2세)}}} || || 7.23 || [[니가타 경마장|니가타]] ||<-2> 2세 신마 || 잔디 1600m || 6.4 || 4 || '''{{{#red 1착}}}''' ||<|2> [[후쿠나가 유이치]] || (라파주) || || 9.4 || [[니가타 경마장|니가타]] || [[니가타 2세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1600m || 1.7 || 1 || {{{#blue 2착}}} || 몽스트르 || || 11.19 || [[도쿄 경마장|도쿄]] || [[도쿄스포츠배 2세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1800m || 7.4 || 3 || 4착 || [[고토 히로키(기수)|고토 히로키]] || [[딥 브릴란테]] || ||<-10> 2012년 {{{-1 (3세)}}} || || 2.5 || [[교토 경마장|교토]] || [[키사라기상]] || GIII || 잔디 1800m || 6.9 || 3 || 4착 || [[아키야마 신이치로]] || 월드 에이스 || || 2.25 || [[한신 경마장|한신]] || [[알링턴 컵]] || GIII || 잔디 1600m || 4.1 || 2 || '''{{{#red 1착}}}''' ||<|2> [[후쿠나가 유이치]] || (올리빈) || || 5.6 || [[도쿄 경마장|도쿄]] || [[NHK 마일 컵]] || '''GI''' || 잔디 1600m || 10.0 || 4 || 6착 || [[카렌 블랙 힐]] || || 5.27 || [[도쿄 경마장|도쿄]] || [[도쿄 우준]] (일본 더비) || '''GI''' || 잔디 2400m || 112.9 || 15 || 11착 || [[아키야마 신이치로]] || [[딥 브릴란테]] || || 10.7 || [[도쿄 경마장|도쿄]] || [[마이니치 왕관]] || GII || 잔디 1800m || 61.6 || 12 || {{{#blue 2착}}} || [[시바타 요시토미]] || [[카렌 블랙 힐]] || || 10.28 || [[도쿄 경마장|도쿄]] || [[천황상#s-3|천황상(가을)]] || '''GI''' || 잔디 2000m || 28.3 || 8 || 6착 || [[우치다 히로유키]] || [[에이신 플래시]] || ||<-10> 2013년 {{{-1 (4세)}}} || || 1.5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나카야마 금배]] || GIII || 잔디 2000m || 3.4 || 1 || 3착 ||<|2> [[우치다 히로유키]] || 터치 미 노트 || || 2.10 || [[교토 경마장|교토]] || [[교토 기념]] || GII || 잔디 2200m || 3.5 || 1 || 5착 || [[토센 라]] || || 3.9 || [[주쿄 경마장|주쿄]] || [[주니치신문배]] || GIII || 잔디 2000m || 5.9 || 2 || 8착 || 다리오 바르주 || 사토노 아폴로 || || 6.9 || [[도쿄 경마장|도쿄]] || [[엡섬 컵]] || GIII || 잔디 1800m || 6.2 || 3 || {{{#blue 2착}}} ||<|2> [[후쿠나가 유이치]] || 클라렌트 || || 8.11 || [[니가타 경마장|니가타]] || [[세키야 기념]] || GIII || 잔디 1600m || 2.8 || 1 || {{{#blue 2착}}} || 레드 스파다 || || 10.6 || [[도쿄 경마장|도쿄]] || [[마이니치 왕관]] || GII || 잔디 1800m || 9.3 || 6 || {{{#blue 2착}}} || [[시바타 요시토미]] || [[에이신 플래시]] || || 10.27 || [[도쿄 경마장|도쿄]] || '''[[천황상#s-3|천황상(가을)]]''' || '''GI''' || 잔디 2000m || 15.5 || 5 || '''{{{#red 1착}}}''' || [[후쿠나가 유이치]] || ([[젠틸돈나]]) || ||<-10> 2014년 {{{-1 (5세)}}} || || 3.2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나카야마 기념]] || GII || 잔디 1800m || 5.3 || 2 || '''{{{#red 1착}}}''' || [[요코야마 노리히로]] || (아르키메데스) || || 3.29 || [[아랍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5px]]]] 메이단 || '''[[두바이 터프|두바이 듀티 프리]]'''[*A] || '''G1''' || 잔디 1800m |||| 미발매 || '''{{{#red 1착}}}'''[*레코드] || [[후쿠나가 유이치]] || (베르킨게토릭스)[* 남아공의 경주마. 2014년 제벨 하타를 포함해 G1을 2번 우승했다.] || || 6.8 || [[도쿄 경마장|도쿄]] || '''[[야스다 기념]]''' || '''GI''' || 잔디 1600m || 1.7 || 1 || '''{{{#red 1착}}}''' || [[시바타 요시토미]] || ([[그랑프리 보스]]) || || 10.5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파리 롱샹 경마장|롱샹]] || [[개선문상]] || '''G1''' || 잔디 2400m || (8/1) || 5 || 8착 ||<|3> [[후쿠나가 유이치]] || [[트레브]] || || 11.30 || [[도쿄 경마장|도쿄]] || [[재팬 컵]] || '''GI''' || 잔디 2400m || 6.7 || 3 || {{{#blue 2착}}} || [[에피파네이아]] || || 12.28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4.6 || 3 || 4착 || [[젠틸돈나]] ||}}} [include(틀:천황상 가을,grade=GI)] [include(틀:두바이 터프,grade=GI)] [include(틀:야스다 기념,grade=GI)] ---- [include(틀:나카야마 기념,grade=GII)] ---- [include(틀:알링턴 컵,grade=GIII)]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저스터웨이, version=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