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저주받은 하인/서포트 카드)]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하급 일반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SkullServant-JP-Manga-DM-color.png|width=300]] || 한글판 명칭 ||<-4>'''와이트''' (원작)[br]'''저주받은 하인'''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 일어판 명칭 ||<-4>'''ワイト'''|| || 영어판 명칭 ||<-4>'''Skull Servant'''||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는 1.] || 어둠 || 언데드족 || 300 || 200 || 원작에서 [[어둠의 유우기]]가 [[카이바 세토]] 첫 듀얼 중 사용. 수비 표시로 소환된 후 [[거대화(유희왕)|거대화]]로 강화된 [[미노타우로스(유희왕)|미노타우로스]]의 공격에 파괴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35화에서는 카드들을 버리는 우물에서 버려져 있던 카드들 중 하나로 처음 등장. 이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이차원세계 편|이차원세계 편]] 131화에서는 과거 어린 시절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에서 오사무라는 소년이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하며, [[드래곤 좀비(유희왕)|드래곤 좀비]], [[머더 서커스 좀비]]와 함께 쥬다이를 직접 공격하여 승리했다. [[유희왕 5D's]] [[유희왕 5D's/일상생활 편|일상생활 편]] 70화에서는 [[미셸(유희왕)|미셸]]이 [[루아(유희왕)|루아]]와의 듀얼 중 [[미셸(유희왕)#서클 오브 테러|서클 오브 테러]]의 발동 코스트로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나왔다. 이후 [[유희왕 5D's/WRGP 편|WRGP 편]]에서는 [[팀 태양]]이 소지한 약소 카드들 중 하나로도 등장했다. [[유희왕 ARC-V]] 1화의 초반부에 건물의 벽에 설치된 광고 그림으로도 등장. === 반다이판 === [[파일:819sFWeoLWL._AC_SL1500_.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저주받은 하인'''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ワイト'''|| || 영어판 명칭 ||<-4>'''Skull Servant'''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레벨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악마족 || 500 || 300 || ||<-4>생자의 혼을 빨아들이는 어둠의 망자.|| ||<-4>'''~룰 ②~'''[br]자신의 덱에서 5장을 뽑아, 패로 삼는다.|| 룰이라고 적힌 부분은 이 카드의 효과가 아니라 말 그대로 반다이판 유희왕 카드 게임의 룰을 적어둔 것이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SkullServant-DM2-JP-VG.png]] || 한글판 명칭 ||<-4>'''저주받은 하인'''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ワイト'''|| || 영어판 명칭 ||<-4>'''Skull Servant'''||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 악마마족 || 언데드족 || 300 || 200 || ||<-5>어디에서나 출현하는 해골 요괴. 공격력은 약하지만 집단으로 모이면 큰 힘을 발휘한다.|| DM1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SkullServant-BE01-JP-C.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 명칭=저주받은 하인, 일어판 명칭=ワイト, 영어판 명칭=Skull Servant, 레벨=1, 속성=어둠, 종족=언데드족, 공격력=300, 수비력=200, 효과외1=어디에서나 출현하는 해골 요괴. 공격력은 약하지만 집단으로 모이면 큰 힘을 발휘한다.)] 무려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 팩이 나온 '''1기 시절'''부터 존재해 왔던 원로 몬스터. 일단 레벨 1의 일반 몬스터이기 때문에, 플레이버 텍스트는 저렇지만 그렇다고 진짜로 이것만 모아서 공격하면 [[역관광|큰일 난다]]. 하지만 저주받은 하인 킹 때문에 이는 사실이 되고 말았다. 물론 그냥도 [[하극상의 목걸이]], [[트라이앵글 파워]] 등의 일반 몬스터 서포트 카드와 함께 사용해도 큰 힘이 발휘된다. 이외에도 [[수호신의 창]]을 장비하면 저주받은 하인 킹 다음가는 화력을 낼 수 있는 몬스터로 돌변한다. 당시 레벨 1 일반 몬스터답게 능력치는 최약이나 다름없어서 [[모케모케]]와 더불어 '약소 몬스터'의 대명사 중 하나로 꼽힌다. 그래도 집단으로 모이면 강하다는 설정 때문에 묘하게 인기가 있었고 그 특유의 존재감이나 묘하게 귀여운 일러스트 때문에 그럭저럭 팬들을 가지고 있었는데 어느샌가 식구들이 하나둘씩 생기면서 [[저주받은 하인(유희왕/카드군)|카드군]]으로 격상, 묘지 쌓기 전략을 가진 전용 덱을 짤 수 있게 되었다. 이 카드를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로 [[프레임 고스트]], [[언데드 워리어]] 등이 있지만, 발매 당시에는 능력치가 너무나 처참해서 쓰이지 않았다. 다만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의 효과로 위의 융합 몬스터들을 보여 주고 저주받은 하인을 묻을 수 있는 관계로 묘지 쌓는 용도로 써먹을 수 있긴 하다. [[육신보살]]에 등장하는 해골과 자세가 완벽히 동일하다. [[유희왕 듀얼링크스]] 중국어판 서버에서는 일러스트 검열로 인해 다른 해골 몬스터들처럼 후드로 얼굴을 가리고 피부가 생겨난 모습으로 수정되었다. 다만 카드명은 '白骨(백골)'로 표기되어 있다. [[유희왕 월드 챔피언쉽]] 시리즈에서는 이 카드로 상대 라이프를 0으로 만들면 보너스로 추가 DP를 받는다. 이 카드 때문에 생겨는 우스갯소리도 있는데, '다크와이트@이그니스터' 는, 이 카드 때문에 '다크저주받은 하인@이그니스터' 라는 이름으로 나올 수도 있다는 소리도 있었다. 이 카드의 일판명 이름이 '와이트'이기 때문. 실제로 트라이와이트 존은 '''[[트라이 저주받은 하인 존]]'''이라는 무시무시한 이름으로 번역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스타터 박스|STARTER BOX]] || 없음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青眼の白龍伝説-LEGEND OF BLUE EYES WHITE DRAGON-]] || LB-04 || [[노멀]] || 일본 || 절판 || || DUELIST LEGACY Vol.2 || DL2-004 || [[노멀]] || 일본 || 절판 ||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4기) || BE1-JP101 || [[노멀]] || 일본 || 절판 ||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7기) || BE01-JP091 || [[노멀]] || 일본 || ||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Legend of Blue Eyes White Dragon]] || LOB-EN004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1]] || DB1-EN101 || [[노멀]] || 미국 || ||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 || LOB-K004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1]] || BP1-KR101 || [[노멀]] || 한국 || || === [[유희왕 러시 듀얼|러시 듀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저주받은 하인(유희왕 러시 듀얼))] == [[저주받은 하인/서포트 카드|서포트 카드]] == [[저주받은 하인/서포트 카드]] 문서 참조. == 관련 카드 == === 떠도는 망자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206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 명칭=떠도는 망자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 명칭=さまよえる亡者(もうじゃ), 영어판 명칭=The Wandering Doomed (미발매\, 게임판 공식 번역), 레벨=2, 속성=어둠, 종족=언데드족, 공격력=800, 수비력=600, 효과외1=성불을 못하고 정처없이 떠도는 몬스터.)] 저주받은 하인의 [[팔레트 스왑]] 버전. 공교롭게도 배색은 원작 문고판 및 반다이판에 더 가깝다. == 기타 == 원래 일본명은 [[와이트]]로, 한글판 이름인 '저주받은 하인'은 그 생김새를 보고 지은 영어판 이름 'Skull Servant'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인기 많은 해골 캐릭터라는 점 때문에 [[와 샌즈! 언더테일 아시는구나!#와 샌즈!|와 샌즈!]]와 엮이기도 한다.~~와! 이트!~~ 2017년 방영한 [[케모노 프렌즈(애니메이션 1기)|케모노 프렌즈]]의 등장인물 재규어를 이용한 매드무비 [[http://www.nicovideo.jp/watch/sm31854709|재규어맨 시리즈(ジャガーマン シリーズ)]]에서 느닷없이 튀어나와 '''"와이트도 그렇게 생각합니다(ワイトもそう思います)"[* 와이는 일본에서 나이 먹은 사람이 쓰는 1인칭이다. 거기에서 따온 말장난. 국내에서는 가끔 "저(주받은 하인)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정도로 번역될 때도 있다.]'''라는 대사를 남겨[* 이 네타 자체는 2011년부터 존재한 트위터의 와이트 봇 계정이 한결같이 해당 대사를 트윗하는 것에서 따왔다고 추정된다.] 인상을 남기며 해당 매드 시리즈 이후 네타 캐릭터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얘뿐만 아니라 [[데빌맨]], [[신조인간 캐산]], [[타이거 마스크(만화)|타이거 마스크]] 등등도 이 시리즈에 네타 캐릭터로 자주 등장한다. 자세한 것은 [[재규어맨 시리즈]] 항목 참조. [[분류:유희왕/OCG/언데드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