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rsey Club [목차] == 개요 == [youtube(OisTWkWdYRI)] [[일렉트로니카]](전자 음악)의 하위 장르. 좀 더 구체적으로 분류하면 볼티모어 클럽, [[힙합 음악|힙합]], [[브레이크비트]], [[풋워크#s-3|풋워크/주크 음악]], [[하우스(음악)|게토 하우스]], [[Crunk|크렁크]], [[:분류:마이애미 베이스|마이애미 베이스]]의 하위 장르에 해당한다. [[BPM]]은 140 ~ 160 정도에 4분의 8박자[* 한 마디가 4분의 4박자 보다 2배로 길다.] 볼티모어 클럽이 90년대 초 인기를 끌 무렵, 볼티모어 클럽을 기반으로 미국 [[뉴저지]]의 [[뉴어크]] 지역을 중심으로 저지클럽이 탄생했다. 당시 미국 언더그라운드 클럽씬에서 볼티모어 클럽의 인기가 상당했기 때문인데, 보스턴의 일부 라디오에서도 볼티모어 클럽을 틀었고 버지니아 일부 지방에서까지 유행을 탈 정도로 대세였다. 자연스럽게 볼티모어 클럽의 요소를 차용해 뉴저지에서도 독자적인 장르~~라기엔 너무 비슷하지만~~를 구축하기 시작 한 것이다. 이 움직임의 중심엔 DJ Tameil, DJ Tim Dolla, Mike V, DJ Black Mic 등이 있었다. 이후 주목을 받지 못하다가 2010년대 들어 [[사운드클라우드]]에서 언더그라운드 프로듀서들을 중심으로 주목 받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예로 [[Cashmere Cat]]과 Lido. 다만 캐시미어 캣같은 경우 칠웨이브에 리듬만 저지클럽을 이용 한 경우라 오리지날 저지 클럽의 느낌과는 거리가 좀 있다. 원조 저지클럽의 느낌을 유지하면서도 현재도 활동하는 아티스트에는 DJ Sliink, DJ Taj, DJ Jayhood, Nadus 등이 있다. 2022년 하반기에는 [[Drake]]의 Sticky, [[Lil Uzi Vert]]의 Just Wanna Rock과 같이 해외 유명 힙합 아티스트들이 저지 클럽의 흥행에 올라탔다. 이후 [[EK]], [[수퍼비]] 등 다수의 국내 래퍼들이 저지 클럽을 이용한 곡을 내놓았다. 현재는 [[K-POP]] 걸그룹에도 유행이 이어지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NewJeans]]가 K-POP 씬에서는 최초'''로 저지 클럽 장르의 곡인 [[Ditto(NewJeans)|Ditto]]를 발매하면서 국내에서 본격적인 저지 클럽 열풍이 돌기 시작했다.[* 구글에 '저지클럽'을 검색하면 바로 아래 자동 완성으로 '저지클럽 뉴진스'가 나올 정도.] 이후 [[New Jeans(노래)|New Jeans]], [[Super Shy|Super Shy]]에도 저지 클럽 리듬을 사용했고, 볼티모어 클럽 장르의 [[ETA(NewJeans)|ETA]]도 발매하였다. [[LE SSERAFIM]] 또한 [[이브, 프시케 그리고 푸른 수염의 아내]]를 통해 저지 클럽 곡을 선보였고, [[오드아이써클|ODD EYE CIRCLE]] 역시 [[Version Up#s-4.2|Air Force One]]으로 저지 클럽 곡을 선보였다. 또 다른 사례로는, [[세븐틴]]의 미니 10집 [[FML]]의 [[FML#손오공 (Super)|손오공]]에서도 도입 부분에 약간 사용되었다. 특유의 스타카토 리듬이 [[보깅]]에 적합해 보깅 공연에서 배경음악으로 종종 쓰이는 편이다. 때문에 자연스럽게 볼룸씬의 주요 구성원인 성소수자들에게는 몇 년간 익숙한 음악이었고 이는 볼룸 컬쳐에 기반한 다양한 장르와의 결합으로 이어졌다. 최근에는 저지 드릴과 같이 [[https://youtu.be/Y2glZr1Fq88|어둡고]] [[https://youtu.be/pPkfpVbuIMs|사악하거나]] 진지한 분위기의 곡들도 많이 나오는 편. 곡척은 대체로 길지 않은 편. 3분 정도 되어야 길다고 할수 있는 축에 속한다. == 타 장르와의 결합 == [[Drill]]이나 [[Phonk]], EDM 등 여러 장르와 결합한 곡들이 있다. [youtube(ALZHF5UqnU4)] 각각 1:29, 3:04 부터. 저지클럽 중에선 가장 '''[[Alone(Marshmello)|유명한 곡이다]]'''. 심지어 저지클럽이 유행하기도 전인 2016년(...). [youtube(OJBxNA8cX-E)] 각 드롭 첫번째 부분. 마찬가지로 Alone과 비슷한 구성이다. 이 역시 Alone 다음으로 유명한 곡. [youtube(zJ3uBefXovo)] [youtube(Z0AWgOnk67A)] [* 후자의 뮤직비디오 미술형식은 시펑크 형식이다. 후일 [[베이퍼웨이브]](미적인 의미로)의 아버지뻘.] 태생이 클럽씬이라 개인 작업물 보단 리믹스 작업이 양적으로 많은 편이다. 그렇다 보니 자연스레 다른 장르와의 결합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리믹스 뿐 아니라 개인 작업물에도 다른 장르와 결합을 시도하는 아티스트들이 많은 편이다. Mask Off의 DJ Taj 리믹스가 전자의 경우고 Ultrademon과 Kiff의 곡이 후자의 경우다. [youtube(ptAyx-Y1RAQ)] [youtube(JprsKeAStcw?t=1m36s)] 또 위와 같이 저지클럽 장르 내에서 뿐 아니라 다른 장르에서도 저지클럽 특유의 잘게 쪼개진 비트를 차용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긴장감과 공간감 형성하기에 제격이기 때문인걸로 보인다. [youtube(RA86c9veerc)] === 해체적 클럽 (Deconstructed-Club) === [youtube(JGi7b4fcaDY)] [youtube(ep9fe2J-9p4)] 2010년대, Night Slugs와 Fade to Mind의 출범 및 'GHE20G0TH1K (게토 고딕, 뉴욕을 중심으로 개최 되는 파티)', [[뷔욕]]의 디제이 셋 등 여러 문화적 사건들은 저지 클럽을 비롯 한 전세계 각지의 [[게토]] 음악([[풋워크]], [[그라임]], 쿠드로, 발리펑크 등 [[덥스텝 #s-9.6|글로벌 베이스]]) 들을 LGBT, 인터넷 문화를 기점으로 한데 모아 묶을 수 있게 했다. 사운드 클라우드의 젊은 프로듀서들에 의해 재탄생 된 이 장르들은 자신이 나고 자란 곳의 음악 뿐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접한 세계의 다양한 댄스음악들을 섞어 놓았다. 기존 장르들 보다 조금 더 전위적이고 [[인더스트리얼]]하게 변한 이 댄스음악들은 '클럽' 및 '레프트 필드 클럽', '익스페리멘탈 클럽'[* 지금은 Fractal Fantasy에서 나오는 음악들에 한정해 쓰이고 있다.]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다 2018년 들어 [[RYM]], [[레드불]] 등 여러 포럼 및 매체에서 '해체적 클럽'이라고 통일해 부르기 시작했다. 메인스트림 댄스음악을 통틀어 EDM이라고 부르듯이, 특정 장르를 지칭하는 것이 아닌 게토 기반 전위적인 댄스장르를 통틀어 일컫는 개념이다. [[분류:하우스(음악)]][[분류:미국 힙합]][[분류:브레이크비트]][[분류:크렁크]][[분류:마이애미 베이스]][[분류:미국 음악]][[분류:음악 장르]][[분류:일렉트로닉 뮤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