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73a3c,#dddddd '''{{{+1 전국기담 요도전}}}''' (1987~1988)[br]戦国奇譚妖刀伝[br]Wrath of Ninja / Yotode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전국기담요도전_애니.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373a3c,#dddddd 장르}}}''' ||○○ || || '''{{{#373a3c,#dddddd 원안}}}''' ||[[야마사키 오사무]]^^1, 3화^^ || || '''{{{#373a3c,#dddddd 원작}}}''' ||나루미 타케시(鳴海 丈)^^2화^^ || || '''{{{#373a3c,#dddddd 감독}}}''' ||사쿠라이 토시유키(桜井利之)^^1화^^[br][[야마사키 오사무]]^^1, 2, 3화^^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오오누키 켄이치]] || || '''{{{#373a3c,#dddddd 몬스터 디자인}}}''' ||와타나베 준이치(わたなべぢゅんいち) || || '''{{{#373a3c,#dddddd 미술 감수}}}''' ||카츠마타 게키(勝又 激)^^1화^^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야마구치 토시카즈(山口俊和)^^2화^^[br]스나가와 치사토(砂川千里)^^3화^^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모리구치 요스케(森口洋輔)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혼다 야스노리(本田保則) || || '''{{{#373a3c,#dddddd 음악}}}''' ||하노 세이지(羽野誠司)[br]오오이 켄지(大井研二)^^3화^^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J.C.STAFF]] || || '''{{{#373a3c,#dddddd 발매 기간}}}''' ||1987. 05. 21. ~ 1988. 11. 05.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40분 || || '''{{{#373a3c,#dddddd 화수}}}''' ||3화 || || '''{{{#373a3c,#dddddd 국내 심의 등급}}}''' ||심의 없음 || }}}}}}}}} || [목차] [clearfix] == 개요 == 1987년부터 발매를 시작한 일본의 [[OVA]] 시리즈. 3부작. 제작은 [[J.C.STAFF]]. [[야마사키 오사무]] 감독이 기획했으며 그의 감독 데뷔작이다. 캐릭터 디자인과 작화감독은 [[오오누키 켄이치]]. 자신의 길을 가로막는 자는 모조리 죽이는 폭군 [[오다 노부나가]]를 막기 위해 요도(妖刀)를 들고 싸우는 3인의 닌자들의 이야기를 다룬 시대극이다. [[야마다 후타로]]의 작품과 [[카무이전]]의 오마주가 많다. 1989년 OVA 3편의 120분 분량을 90분으로 압축하고 신 작화를 추가한 극장판이 나왔으나 팬들은 압축이 심하니 OVA를 보라고 권장한다. 다만 일본에서는 [[VOD]]로 볼 수 있는 건 극장판 밖에 없어 대부분 이걸로 보고 있으며 [[VHS]], [[LD]]는 고가로 거래되는 실정이다. 애니메이션의 성공에 힘입어 만화판도 나왔는데 [[오오누키 켄이치]]가 그렸고 엔딩이 다르다. [* 정확히 말하면 3인의 동료 중 2명은 전투 중 사망, 1명만 생존해서 죽은 동료들을 추모하며 조용히 은거한다는 내용은 같은데 생존하는 인물이 다르다.] == 등장 인물 == * 카스미의 아야노스케(아야메) (성우: [[토다 케이코]]) * 휴가의 사콘 (성우: [[이노우에 카즈히코]]) * 후도의 료마 (성우: [[와타베 타케시]]) * [[오다 노부나가]] (성우: [[야오 카즈키]]) * [[모리 란마루]] (성우: [[카시와쿠라 츠토무]] (1, 2부) [[시오자와 카네토]] (3부))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작화감독''' || '''방영일''' || || 제1권 || 破獄の章[br]파옥의 장 || 나루미 타케시[br](鳴海 丈) || - ||<|3> [[오오누키 켄이치]] || 1987.06.26. || || 제2권 || 鬼哭の章[br]귀곡의 장 ||<|2> [[아이카와 쇼]] ||<|2> [[야마사키 오사무]][br]츠루야마 오사무[br](靏山 修) || 1987.12.16. || || 제3권 || 炎情の章[br]염정의 장 || 1988.11.05. || == 평가 == [[오오누키 켄이치]]의 수려한 미형 디자인의 작화와 여성의 몸임에도 남장을 하고 정의를 위해 싸운다는 설정의 걸 크래시 주인공 아야노스케가 여성 팬들에게 열광적인 반응을 얻어 엄청나게 팔린 작품이다. 당시 애니메이션 잡지 인기투표에서도 상위권을 할 정도로 히트한 작품이었다. 당시에는 SF 애니메이션이 대세였는데 이 작품은 시대극을 소재로 했는데도 성공했고 미형 시대극 애니메이션이라는 신장르를 개척했다고 평가받는다. 훗날 여러 작품에 나오는 짧은 치마를 입은 [[쿠노이치]]의 이미지가 이 작품을 통해 정착되었다. 특히 작품의 인기가 절정에 이른 뒤에 나온 3부 '염정의 장'은 [[키세 카즈치카]], 니시이 마사노리(西井正典), [[시노 마사노리]], [[스가누마 에이지]], [[야마네 리히로]], 세오 야스히로(瀬尾康博), [[니시자와 스스무]] 등 최고급 애니메이터가 참가해 대단한 작화를 선보였다. 단순히 작화만 좋은 것이 아니고 스토리에 흥미로운 반전도 있으며 연출과 드라마도 잘 이루어져 OVA의 명작으로 평가받는다. 이렇게 좋은 평과 흥행을 모두 얻었으나 저작권이 꼬여 후속 지원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그 인기를 잘 보전하지 못해 일본에서는 '잊힌 전설의 명작'이라 불리며 유명세가 많이 줄었다. 오히려 작화 좋은 애니메이션을 선호하는 서양에서 더 유명한 작품이다. 서양에서는 DVD가 발매되어 있으나 일본에서는 나오지 않았다. 원본 필름을 분실했다는 소리가 있다. 팬들이 [[야마사키 오사무]] 감독과 [[오오누키 켄이치]]에게 광매체로 내달라고 메세지를 보내봐도 묵묵부답으로 대응하는 지경이다. 중국에서도 의외로 인지도가 있는 작품이다. 불법 [[VCD]] ([[따오판]])가 성행하던 시절 인기있던 작품이라고 한다. 반면 시대극이라서 [[왜색]]이 강해 왜색이 강한 작품을 싫어하는 한국에서는 마이너 애니메이션이다. [[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J.C.STAFF]][[분류:센고쿠 시대/창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