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전남대학교]] [include(틀:전남대학교)] [목차] [clearfix] == 역사 == [include(틀:일제강점기 조선의 구제전문학교)] 1951년 10월 6일에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1952년 1월 1일 광주농과대학, 사립 대성대학, [[목상고등학교|도립 목포상과대학]], 도립 광주의과대학을 묶어서 발족하게 되었다. 초대 총장으로는 [[최상채]] 박사가 취임하였다. 1960년대에는 국립대학 정비조치에 따라 상대나 농대가 없어지고 현재 [[광주교육대학교]]의 전신이었던 광주사범대학을 임시로 병설화 시키기도 했으나 시간이 지나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1980년에는 [[5.18 민주화운동]]의 시작이며, 중심에 섰었던 역사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다만 최초의 희생자는 당시 [[전북대학교]] [[농과대학]]에 재학중이던 이세종 열사이다.] 최초 시위가 있었던 곳이 이 학교 입구이고, 계엄군들은 교내에 주둔하며 사람들을 무차별로 잡아와서 마구 구타하기도 했으며 그 과정에서 맞아 죽은 사람도 여러 명일 정도다. 그래서 과거의 대학본부는 현재 5.18연구소로 쓰이고 있으며, 정문은 [[5.18 사적지 목록]] 1호, [[전남대학교병원]]은 9호이다. [[시민군]] 중 이 학교 학생 희생자도 있다. 서호빈이 그 주인공. 당시 2학년으로, 마지막날인 5월 27일 전남도청에서 계엄군의 총에 맞아 사망했다([[향년]] 19세). 또한 당시 18세로 1학년이던 여학생 장경희도 계엄군에게 폭행을 당해 정신이상에 시달리다가 1987년 1월 [[자살]]했다. == 역대 총장 == [include(틀:역대 전남대학교 총장)] * [[최상채]] (1952~1960) * 박하욱 (1960~1962/1965~1969) * 김준보 (1962~1965) * [[유기춘]] (1969~1974) * 민준식 (1974~1980) * 오항기 (1980~1984) * 정득규 (1984) * 김영인 (1984~1988) * 오병문[* 김영삼 정부 초기 교육부장관 역임. 2010년 6월 21일 작고.] (1988~1992) * 최한선 (1992~1996) * 노성만 (1996~2000) * 정석종 (2000~2004) * 강정채 (2004~2008) * 김윤수 (2008~2012) * 송경안 직무대행 (2012) * [[지병문]] (2012~2016) * 이용복 직무대행 (2016~2017) * [[정병석(교수)|정병석]] (2017~2021 ) * [[정성택]]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