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의 수영)] [목차] == 개요 == '''전라우도수군절도사영'''(全羅右道水軍節度使營), 줄여서 '''전라우수영'''(全羅右水營)은 [[조선 시대]] [[전라도]]의 서쪽에 존재하던 수군절도사영이다. 지휘관은 정3품 당상관인 [[수군절도사]]이다. [[임진왜란]]기 삼도 수군의 네 수영[* 충청수영, 전라 좌수영 / 우수영, 경상 우수영. 경상 좌수영은 전쟁 초기 본영인 부산이 함락되면서 개전 직후 전멸했다.] 중 가장 규모가 컸다. 원래 경상 우수영이 제일 규모가 컸으나, [[원균]]의 임진왜란 초반 실책으로 병력 손실이 극심해 규모가 대폭 줄어 들었다. 정유재란이 끝나고 나서야 경상 우수영은 원래의 규모를 회복할 수 있었다. 전라 좌수영은 처음부터 법제상 그 규모가 전라 우수영보다 작았고, 그나마 좌수사인 이순신이 전쟁 발발 전부터 꾸준히 전선을 확충한 뒤에야 전라 우수영과 비슷한 규모를 갖출 수 있었다. == 상세 == 임진왜란 시기에는 [[이억기]]가 전라 우수사로 총괄했다가 그가 [[칠천량 해전]]에서 전사하자 김억추가 잠시 후임 우수사로 보임된다. [[명량 해전]] 이후 김억추의 육상 전근으로 명량 해전에서 활약했던 [[안위]]가 이순신의 천거로 전라 우수사로 임명된다. 우수영 본영은 지금의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에 있었다. 현대에도 문내면에는 '''우수영'''을 지명으로 하는 장소들이 여럿 있다. 본영은 [[명량 해전]] 직후 조선 수군이 서해로 일시 후퇴하면서 일본군에게 일시적으로 점령, 파괴되었다가 임진왜란 이후 복구되었다. == 관할지역 및 예하관포 == === 관할지역 === 전라우수영의 관할지역은 동쪽으로는 전라좌수영과의 경계구역인 해남, 장흥 지역부터 북쪽으로 충청도와의 경계지역인 군산지역까지였으며, 현재의 전라북도 ~ 전라남도 서측의 해안지역을 방호하는 임무를 맡고 있었다. 전라우수영은 조선 창업 시기에는 전라수영이라는 이름으로 군산지역에 위치해 있었다가, 태종 시기에 이르러 무안군 대굴포로 이동하였으며, 총 19개의 수군진을 관리하였다. 세종 조에 이르러서는 총 13개의 진으로 개편되었으며, 세조 시기 진관체제의 정립과 함께 성종 조에 이르러서 전라좌수영이 분리 개편되면서, 전라우수영은 관할지역 내 총 9개의 진(임치진, 어란진, 금갑도, 남도포, 목포, 다경포, 법성포, 검모포, 군산포)을 관리하게 되었다. 중종 시기에 이르러서 개편이 다시 이뤄지면서 총 13개의 진(임치진, 목포, 다경포, 법성포, 겸모포, 군산, 가리포, 회령포, 마도, 이진, 어란포, 금갑도, 남도포)을 관리하게 되었으며, 이 시기 즈음하여 전라좌수영에서 장흥, 해남 지역을 받아 관리하게 되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기존의 수군 진지가 섬 지역을 중심으로 새롭게 편성되면서 개편이 이뤄지는데, 숙종 시기에 이르러서는 18개의 진(위도진, 임치진, 목포, 다경포, 지도, 법성포, 검모포, 고군산진, 군산, 가리포, 회령포, 마도, 이진, 어란포, 금갑도, 남도포, 고금도, 신지도)으로 개편되었다. === 예하 관포 === <신증동국여지승람 및 16c초 개편 기준> *8관(16c 개편 기준에는 7관, 임진왜란 시기에 8관) *나주목 - 현 나주시 지역 - 관할관직 : 나주목사 *영광군 - 현 영광군 지역 - 관할관직 : 영광군수 *함평현 - 현 함평군 지역 - 관할관직 : 함평현감 *영암군 - 현 영암군 지역 - 관할관직 : 영암군수 *해남현 - 현 해남군 지역 - 관할관직 : 해남현감 *무안현 - 현 무안군 지역 - 관할관직 : 무안현감 *진도군 - 현 진도군 지역 - 관할관직 : 진도군수 *장흥도호부 - 현 장흥군 지역 - 관할관직 : 장흥부사 - 중종조 개편 시기에는 전라좌수영 관할이었으나, 임진왜란 전후로 하여서는 전라우수영 관할로 넘어왔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다시 전라좌수영 관할로 조정되었다. *13포 *임치진(첨사진) - 함평현 - 현 무안군 해제면 지역 - 관할관직 : 임치진첨사 - 조선 초~중기까지는 첨절제사진이었으나, 숙종 이후 위도진관의 설치에 따라 만호진으로 격하되었다. *목포(만호진) - 무안현 - 현 목포시 지역 - 관할관직 : 목포만호 *다경포(만호진) - 영광군 - 현 무안군 운남면 지역 - 관할관직 : 다경포만호 *법성포(만호진) - 영광군 - 현 무안군 해제면 지역 - 관할관직 : 법성포만호 *검모포(만호진) - 부안현 - 현 부안군 진서면 지역 - 관할관직 : 검모포만호 *군산포(만호진) - 옥구현 - 현 군산시 지역 - 관할관직 : 군산포만호 *가리포(첨사진) - 강진현 - 현 완도군 완도읍 지역 - 관할관직 : 가리포첨사 - 1526년에 개편되면서 신설된 진이다. *회령포(만호진) - 장흥도호부 - 현 장흥군 회진면 지역 - 관할관직 : 회령포만호 - 초기에는 전라좌수영 소속 진이었으나, 임진왜란 전후 시기에 전라우수영으로 관할이 변경되었으며, 임진왜란 이후 다시 전라좌수영으로 관할이 변경되었다. *마도(만호진) - 강진현 - 현 강진군 대구면 지역 - 관할관직 : 마도만호 *이진(만호진) - 해남현 - 현 해남군 북평면 지역 - 관할관직 : 이진진만호 *어란포(만호진) - 해남현 - 현 해남군 송지면 지역 - 관할관직 : 어란포만호 *금갑도(만호진) - 진도군 - 현 진도군 의신면 지역 - 관할관직 : 금갑도만호 *남도포(만호진) - 진도군 - 현 진도군 입학면 지역 - 관할관직 : 남도포만호 [[분류:조선군]][[분류:조선의 병영과 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