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전러시아 국립 텔레비전 및 라디오 회사 로고.svg]] 로고 [[http://vgtrk.com|홈페이지]] [목차] == 개요 == {{{+1 Всероссий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телевизионная и радиовещательная компания (ВГТРК)}}}[* 라틴 문자로는 Vserossiyskaya gosudarstvennaya televizionnaya i radioveshchatel'naya kompaniya (VGTRK)이다.] '''전러시아 국립 텔레비전 및 라디오 회사'''는 [[1990년]]에 설립된 [[러시아]]의 [[국영방송]][* [[러시아 정부]]가 VGTRK의 지분을 100% 갖고 있다. 유사 사례로는 [[한국방송공사]]가 있으며 [[대한민국 정부]]가 한국방송공사의 모든 지분을 보유 중이다.]사이다. 5개의 전국 [[TV]] 채널과 5개의 [[라디오]] 채널, 80여 개의 지역국을 거느리고 있다. 또한 [[러시아]] 내의 [[소수민족]]을 위하여 [[2010년]] 기준 총 53개 [[언어]]로도 방송한다. 메인 채널인 [[로시야 1]](Россия-1)은 [[1965년]] 설립된 프로그램 3이 전신이다. 그러다가 [[1967년]]에 소련중앙 제2프로그램, [[1976년]]에 소련중앙 제2텔레비전, [[1984년]]에 소련중앙 제2채널로 채널명이 변경되었다. [[1990년]]에는 러시아만의 자체 TV채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면서 소련중앙 2채널의 방송시간대를 빌려서 러시아만의 [[지역방송]]을 편성하는 방식으로 러시아 텔레비전이 설치되었는데 [[8월 쿠데타]] 진압 이후로 [[소비에트 연방]] 중앙정부의 권력이 무력화되며 기존 소련 2채널 프로그램의 제작주체가 러시아 텔레비전으로 이전했고, [[1991년]] [[12월 26일]]자로 [[소련 해체]]와 함께 소련 중앙텔레비전이 해체됨에 따라 수입프로그램이나 [[영화]]를 제외한 모든 프로그램이 러시아 텔레비전에서 제작되기 시작했다. [[1991년]]에는 익숙한 이름인 РТР(RTR)로 바뀌었다. [[채널]]이 1번이 아님에도 채널이름이 로시야 1인 이유가 회사 자체가 [[소련]] 시절에 설립되었기 때문이다. [[1997년]]에 РТР1로 바뀌었었지만 이듬해인 [[1998년]]에 다시 РТР이 되었다. [[2002년]]에는 채널명이 로시야로 바뀌었으며, [[2010년]]에 기존의 스포츠 채널이 로시야 2(Россия-2)가 되면서 현재의 이름인 로시야1로 자리를 잡았다. 비슷한 성격의 [[러시아 채널1]]도 [[러시아 정부]]가 지분을 75%나 가지고 있는 사실상의 [[국영방송]]이기 때문에 양 방송사 간의 교류가 상당히 많은 편이고, 프로그램 자체가 아예 서로 채널을 옮기기도 한다. 어떻게 보면 [[독일]]의 [[ARD]]와 [[ZDF]]와 비슷하다고 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HD 채널인 로시야 HD(Россия-HD), 국제방송 채널 에르테에르 플라네타(РТР-планета) 등을 갖고 있다. 지역 방송국의 경우에는 맨 앞의 러시아 전국을 뜻하는 В를 떼고 'ГТРК-지역명'을 사용한다. [[지역방송]]의 경우 현지 [[언어]]로도 뉴스를 하는 편. == 방송 채널 == === TV === [[파일:로시야 1 로고.svg]] * [[로시야 1]] (Россия-1) - [[뉴스]] 및 종합 채널 [[파일:로시야 24 로고.svg]] * 로시야 24 (Россия-24) - [[보도전문채널]], 옛 이름은 ВГТРК의 뉴스 프로그램 이름이기도 한 Вести([[베스티(로시야 1)|베스티]])였다. 본래 유튜브를 통해 실시간 시청이 가능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구글이 러시아 관영 매체 계정을 폐쇄하면서 유튜브에서는 더 이상 시청할 수 없게 되었다. [[파일:로시야 К 로고.svg]] * 로시야 К (Россия-К) - [[문화]] 채널, 옛 이름은 Культура(쿨투라; 문화)였다. * 카루셀 (Карусель) - [[어린이]] 채널, [[러시아 채널1]]과 지분을 50%씩 가지고 있다. [[파일:РТР 플라네타 로고.svg]] * РТР 플라네타 (РТР-планета) - 국제방송 채널 ==== 폐국 ==== [[파일:로시야 2 로고.svg]] * 로시야 2 (Россия-2) - [[스포츠]] 및 [[오락]] 채널, 옛 이름은 Спорт(스포르트; 스포츠)였다. [[2015년]] [[11월 1일]]자로 [[НТВ]]를 운영하는 [[가스프롬]] 미디어에 인수되어 마치TV(Матч ТВ)로 개편되면서 사라졌다. === 라디오 === [[파일:베스티 FM 로고.svg]] * 베스티 FM (Вести ФМ) - [[뉴스]] 채널 [[파일:라디오 마야크 로고.svg]] * 라디오 --마약--마야크 (Радио Маяк) - [[오락]], [[시사]], 중장년층 가요 채널 [[파일:라디오 로시 로고.svg]] * 라디오 로시 (Радио России) - [[토크]] 및 [[지역]] 프로그램 채널 [[파일:라디오 쿨투라 로고.svg]] * 라디오 쿨투라 (Радио Культура) - [[문화]] 채널 [[파일:라디오 유노스티 로고.svg]] * 라디오 유노스티 (Радио Юность, ЮFM) - [[서구권]] [[대중음악]] 채널 == 여담 == 과거에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라디오 마야크(RV-162[* 러시아의 [[호출부호]]는 R, UA~UI로 시작한다.])를 549kHz로, 라디오 로시를 810kHz로 송출했는데, 둘다 '''500kW'''에 달하는 대출력인지라 [[대한민국]], 특히 [[강원도]] 지역에서 수신이 가능했다.[* [[AFN Korea]] ThunderAM [[서울]] [[주파수]]가 1996년까지 549KHz였던 점도 그렇고 [[대구MBC]] [[라디오]] 주파수가 810KHz였던 이유도 여기에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리고 우연의 일치인지는 모르겠지만 일본의 AFN Japan Tokyo ThunerAM의 주파수 역시 810KHz이며 [[일본방송협회|NHK]] [[오키나와]] 방송국의 [[NHK 라디오 제1방송|라디오 제1방송]]의 AM 주파수도 라디오 마야크와 같았던 549kHz이다.] 이들 [[중파방송]]은 모두 [[2013년]] 무렵에 중단되었는데, [[러시아]]도 [[유럽]] 기준에 맞게 [[AM방송]]을 중단하는 것도 있겠지만, 그보다도 블라디보스토크가 [[지진]]이나 [[쓰나미]]가 자주 일어나는 것으로 악명높은 [[환태평양 조산대]]와 가까이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때 [[일본]]의 중파방송 [[송신소]]들이 쓰나미에 [[침수]]된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해당 송신소들도 모두 [[해안가]]에 있었다고 하는데, 만약 [[홋카이도]]나 일본 서북부에서 [[도호쿠 대지진]] 수준의 강진이 발생한다면 이들 송신소도 피해를 입게 될 가능성이 높다. 무엇보다도 이들 송신소가 폐쇄된 시기가 도호쿠 대지진으로부터 2년이 채 안되었던 시기다.] [[분류:러시아의 방송]][[분류:러시아의 공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