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gray 20%, gray)" || {{{#fff {{{+1 '''전미선'''}}}}}} ||{{{#fff '''全美善[br] Jeon Mi-sun'''}}}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배우 전미선.jpg|width=100%]]}}} || || '''예명''' ||유세인 || ||<|2> '''출생''' ||[[1970년]] [[12월 7일]][* 오랫동안 [[1972년]] 생으로 소개되다가 어느 날부터 1970년 생으로 소개되고 있다. 사실 런닝맨에 출연 당시 1972년생인 [[유재석]]과 [[염정아]]는 각각 [[누나]]와 [[언니]]라는 호칭을 썼었다.] || ||[[전라북도]] [[전주시]] || ||<|2> '''사망''' ||[[2019년]] [[6월 29일]] (향년 48세)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고사동]][* [[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23510768&cloc=|#]]]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본관''' ||[[정선 전씨]] || || '''신체''' ||[[A형]] || ||<|2> '''가족''' ||오빠, 남동생[* 2016년에 SBS 식사하셨어요 프로에 나와서 작년에 사촌 동생을 한강에서 잃었다고 했었다. 2015년에 동생이 사망했다고 알려졌던 건 친동생이 아니라 사촌 동생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배우자 박상훈^^(1969년생)^^, 아들^^(2007년생)^^ || || '''학력''' ||[[안양예술고등학교]] {{{-2 (연극영화과 / 졸업)}}}[br][[서울예술대학교|서울예술전문대학]] {{{-2 (방송연예과 / 전문학사)}}} || || '''종교''' ||[[개신교]] || || '''데뷔''' ||[[1986년]] [[MBC 베스트극장]][* 당시에는 '''베스트셀러극장'''이었다.] '산타클로스는 있는가'[* [[장선우]]가 극본을 담당한 12월 21일 방영분으로, 동방박사 3인을 모티브로 한 넝마주이 3인방(이 중 한 명이 [[박윤배]]다.)이 크리스마스가 오자 자기들도 [[산타클로스]]처럼 착한 일을 하고 싶어하면서 벌어지는 해프닝을 다루었다. 전미선은 살림이 어려워 공장에서 일하는 여공으로 출연해 극 중반부에 등장했다.] || || '''소속사''' ||보아스엔터테인먼트[* [[http://sports.donga.com/3/all/20190614/95993120/2|#]]] || [목차] [clearfix] == 개요 == 1986년에 데뷔한 [[아역]] 출신 배우. 생모 역할을 자주 맡는 배우로 유명했으며 1990년대 방영했던 [[MBC TV|MBC]] 코미디 프로그램 [[오늘은 좋은 날]]에 오랜 기간 출연해서 [[개그맨|개그우먼]]으로 착각하는 경우도 꽤 있었다. == 사망 == 공연을 위해 머물고 있던 전북 전주에서 동료들과의 늦게까지 회식을 하고 다음날 오전 1시에 [[호텔]]로 들어갔고 40분 후 아버지와 마지막 통화를 했다고 한다. 그리고 당일 [[2019년]] [[6월 29일]] 오전 11시 45분경 숨진 채 발견되었다. 매니저가 전화를 받지 않자 호텔 관계자와 함께 문을 열고 들어가 발견했다고 한다. 경찰은 [[자살]]로 추정했으며, [[유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복도 [[CCTV|영상보안장치]]에 아무 외부 침입 흔적이 없는 등 검시등에서 타살 혐의점이 없어 여러 정황을 검토한 결과 결국 자살로 결론내리고 부검은 하지 않기로 했다. 사망 후 개봉한 영화 [[나랏말싸미]]가 유작이 되었고, 드라마로서는 [[사이코메트리 그녀석]]이 유작이었다. 본래 후속작으로 출연 예정이었던 [[조선로코 녹두전]]은 그녀의 절친인 [[윤유선]]이 대신 맡았다. 최근 올케(친오빠 아내)를 잃었고 부모 모두가 투병중이라 어려움을 토로했다고 한다. 게다가 평소 [[우울증]]이 있었다고 한다. 다만 이 부분에서 말이 다른데, 경찰은 우울증 치료를 받지 않았다고 했고, 소속사는 우울증 치료를 받아왔다고 발표했다. 개인신상보호를 위해 의료보험으로 처리하지 않고 치료를 받으면 자료가 남지 않으니 경찰이 알 수 없었을 것이다. 불과 4일 전까지 공식 활동을 해왔고 실제로 영화 홍보도 하던 중에 이런 비보가 떴다. 발견된 시간 몇 시간 후에 전주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에서 햇수로 10년째 공연해온 자신의 대표 연극인 '친정엄마와 2박 3일'에 출연할 예정이었던 터라 더욱 충격이 컸다. 연극 주최측은 오후 2시 공연을 취소했고 오후 6시 공연과 다음날 공연 주연배우를 이서림으로 대체했다. 다음날인 30일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고인의 빈소가 차려졌다. 빈소는 유족들의 뜻에 따라 철저히 비공개로 운영되었다. 6월 30일 마련된 빈소에 [[송강호]], [[봉준호]], [[김동욱(배우)|김동욱]], [[김수미]], [[나영희]], [[박소담]], [[신다은]], [[염정아]], [[윤세아]], [[윤시윤]], [[윤유선]], [[이휘향]], [[장현성]], [[장정희]], [[정영주]], [[정유미(1984)|정유미]], 조철현,[* 유작 [[나랏말싸미]]의 감독.] [[김소현(1999)|김소현]], [[조수향]] 등 배우활동 중 인연을 맺은 수많은 동료들이 방문해 애도를 표하고 유족을 위로했다. [[http://www.upinews.kr/news/newsview.php?ncode=1065592714475185|#]] 발인은 7월 2일에 이루어졌다. [[https://entertain.v.daum.net/v/20190630082025679?f=p|#]] 화장후 고인의 유해는 이천 에덴낙원 납골당에 안치되었다.[* 납골당은 비공개 구역으로 가족들만 출입할수 있다.][* 2023년 5월에 별세한 원로배우 [[최정훈(배우)|최정훈]]도 에덴낙원에 안치되어 있다.] == 여담 == * 작품의 흥행을 간파하는 선구안과 [[연기력]]이 매우 우수했다. 드라마에 본격적으로 나서기 시작한 작품은 [[태조 왕건]]이었고, [[인어 아가씨]]와 [[야인시대]]에도 조연으로 출연했다. 2010년~2015년 사이에는 [[제빵왕 김탁구]], [[로열패밀리(드라마)|로열패밀리]], [[오작교 형제들]], [[해를 품은 달(드라마)|해를 품은 달]], 일일 드라마 시청률 부동의 1위인 [[돌아온 황금복]]까지 연타석 홈런을 쳤다. 심지어 동료 배우들이 전미선의 작품을 따라가겠다고 할 정도였다. 동시대에 활동을 시작한 다른 여배우들이 2000년대 후반 이후의 빠르고 긴박한 전개, 혹은 막장드라마의 연기에 적응하지 못한 채 발연기라는 평까지 들었던 것[* 가장 대표적으로는 김혜선을 들 수 있고 배종옥조차도 미니시리즈가 아닌 일일연속극에서는 연기의 흐름을 잘 못 쫓는다는 평을 듣기도 했다]과는 달리 전미선은 1980년대 이후 드라마 트렌드 및 연기의 흐름에서 조금도 뒤처지는 바 없이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심지어 단역 수준의 영화 [[살인의 추억]]까지 대박이었다. 물론, 이것은 전미선의 [[연기력]]이 워낙에 출중해서 그렇기도 하다. 2016년에는 [[구르미 그린 달빛(드라마)|구르미 그린 달빛]]까지 대히트를 기록했다. [[응답하라 1988]]에서도 중년 [[성보라]]로 짧게나마 출연했다. 그러나 유작인 [[나랏말싸미]]가 역사 왜곡논란으로 100만 명도 넘기기 어려울 정도의 실패를 겪었다. * [[사망전대]]까진 아니지만 극중에서 죽거나 고생하는 역이 꽤 있었다. 특히 사극에서는 거의 클리셰라고 할 만큼 주인공의 최측근 내지는 작중 스토리의 중요한 떡밥을 가진 인물로 등장했다. 그리고 거의 태반이 사망하거나 비극적인 엔딩을 맡아왔다. 주인공은 그걸 계기로 각성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 흑막 역할이나 주인공을 곤경에 몰아넣는 모사꾼 역할도 잘했다. 대표적인 배역이라면 [[육룡이 나르샤]]에 등장하는 비밀 조직 '[[무명(육룡이 나르샤)|무명]]'의 우두머리인 '무극'으로 불리던 [[연향]] 역을 들 수 있다. 비중이 작은 배역을 맡더라도 눈길을 잡아끄는 여배우계의 씬스틸러. 어쩐지 [[장영남]]과 비슷한 포지션이다. * 영화 '연애'에 출연하면서 만난 촬영감독과 결혼했다. * 플랜코리아 측에 따르면 평소에 기부 같은 선행을 많이 했다고 한다. 2012년부터 플랜코리아 홍보대사로 일했다. 2020년 첫 기일에 플랜코리아에서도 [[https://www.plankorea.or.kr/campaign/C205|추모하였다.]] ([[https://entertain.v.daum.net/v/20190701200631476|#]]) * 한 때 유세인이라는 예명으로 활동했으나 [[사담 후세인]]이 연상됐을 뿐만 아니라 한 영화 감독의 지적까지 받아 본명으로 되돌렸다는 일화가 있다([[https://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203062311221001|관련 기사]]). == 출연작 == === 영화 === || '''연도''' || '''작품''' || '''배역''' || '''비고''' || || [[1990년]] || [[그래, 가끔 하늘을 보자]] || 은경 || || || [[1991년]] || 테레사의 연인 || 진희 || || ||<|2> [[1994년]] || 우리 시대의 사랑 || 영미 || || || [[젊은 남자]] || 진이 || || || [[1995년]] || 비상구가 없다 || 은지 || || || [[1998년]] || [[8월의 크리스마스]] || 지원 || || || [[2001년]] || [[번지점프를 하다]] || 인우의 아내 || || || [[2003년]] || [[살인의 추억]] || 곽설영 || || || [[2004년]] || 나두야 간다 || 인옥 || || || [[2005년]] || 연애 || 어진 || [* 전미선의 첫 영화 주연작이며 지금의 남편과 만나게 해준 작품. 전미선의 남편은 이 영화의 촬영감독이었다.] || || [[2006년]] || 잘 살아보세 || 순이 || || || [[2007년]] || 울 밑에 선 봉선화 || || || || [[2008년]] || [[바보(웹툰)#s-5.1|바보]] || 승룡의 어머니 || || ||<|3> [[2009년]] || 유감스러운 도시 || 박 반장의 아내 || 특별 출연 || || [[마더(한국 영화)|마더]] || 미선 || || || [[집행자(영화)|집행자]] || 윤선 || || ||<|3> [[2010년]] || [[웨딩드레스(영화)|웨딩드레스]] || 지혜 || || || 이번 일요일에 || || || || 바다 위의 피아노 || || || || [[2011년]] || 수상한 이웃들 || 조미라 || || || [[2013년]] || [[숨바꼭질(2013)|숨바꼭질]] || 민지 || || || [[2016년]] || 위대한 소원 || 고환의 어머니 || || ||<|2> [[2017년]] || [[내게 남은 사랑을]] || 화연 || || || [[봄이가도]] || 신애 || || || [[2019년]] || [[나랏말싸미]] || [[소헌왕후]] ||<|3> 유작 || ||<|2> [[2020년]] ||<|2> 사랑하고 있습니까 || 소정의 어머니 || || 할머니 || === 방송 === ==== 예능 ==== || '''채널''' || '''작품''' || '''회차''' || '''비고''' || ||<|4> [[한국방송공사|KBS]] || [[상상플러스]] || 제3기 251회 || || || [[김승우의 승승장구]] || 105회 || || || [[해피투게더(KBS)|해피투게더]] || 236회, 305회 || || || [[불후의 명곡|불후의 명곡[br]전설을 노래하다]] || 179회 || || ||<|3> [[MBC TV|MBC]] || [[오늘은 좋은 날]] || || || || [[놀러와]] || 327회 || || || [[무한도전]][br][[2016 무한상사-위기의 회사원|2016 무한상사]] || 495회~497회 || [* 유 부장이 입원한 병원의 [[간호사]]로 출연했다.] || ||<|4> [[SBS]] || 맛있는 초대 || 8회 || 게스트 출연 || || [[런닝맨]] || 113회, 158회 || || || [[좋은 아침]] || 3975회 || || || [[잘 먹고 잘 사는 법, 식사하셨어요?|잘 먹고 잘 사는 법[br]식사하셨어요?]] || 102회, 103회 || || ||<|2> [[JTBC]] || [[비정상회담]] || 171회 || || || [[김제동의 톡투유]] || 36회 || || ||<|2> [[tvN]] || [[현장토크쇼 TAXI]] || 107회, 280회 || || || [[어쩌다 어른]] || 66회~70회 || || || [[Olive]] || [[올리브쇼]][br]2012 쿠킹클래스 || 7회 || || ==== 드라마 ==== ===== 장편 드라마 ===== || '''연도''' || '''채널''' || '''작품''' || '''배역''' || '''비고''' || || [[1987년]] ||<|18> [[한국방송공사|KBS]] || [[토지(1987년 드라마)|토지]] || 이봉순 || || || [[1991년]] || [[하늬바람]] || || || || [[1996년]] || [[사랑할 때까지]] || 이유미 || || || [[2000년]] || [[태조 왕건]] || [[신명순성왕후|신명순성[br]왕태후 유씨]] || || || [[2003년]] || TV소설 [[찔레꽃(KBS)|찔레꽃]] || 김수옥 || || || [[2006년]] || [[황진이(KBS)|황진이]] || 진현금 || || || [[2009년]] || [[그저 바라보다가]] || 차연경 || || || [[2010년]] || [[제빵왕 김탁구]] || [[김미순]] || || ||<|2> [[2011년]] || [[오작교 형제들]] || 김미숙 || || || [[포세이돈(드라마)|포세이돈]] || 박민정 || || || [[2013년]] || [[일말의 순정]] || 김선미 || [* [[한승연]]이 아역으로 특별 출연하였다.] || || [[2014년]] || [[태양은 가득히(2014)|태양은 가득히]] || 백난주 || || || [[2015년]] || [[후아유 - 학교 2015]] || [[후아유 - 학교 2015/등장인물#s-2|송미경]] || || ||<|2> [[2016년]] || [[별난 가족]] || [[심순애]] || || || [[구르미 그린 달빛(드라마)|구르미 그린 달빛]] || [[구르미 그린 달빛(드라마)/등장인물#s-4.2|숙의 박 씨]] || || ||<|3> [[2017년]] || [[마녀의 법정]] || [[마녀의 법정/등장인물#s-4|고재숙]] || || || [[미워도 사랑해]] || 길은정 || || || [[안단테]] || 오정원 || || || 1987년 ||<|13> [[MBC TV|MBC]] || [[인생화보(MBC)|인생화보]] || 비서 || || || [[1988년]][br]~[br][[2002년]] || [[전원일기]] || 숙이 || || || 1988년 || [[만남(MBC)|만남]] || || || || 1991년 || [[여명의 눈동자]] || 제주처녀 순애 || || || [[1994년]] || [[큰 언니(MBC)|큰 언니]] || || [* 아는 사람이 거의 없지만 [[설경구]]가 이름이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던 시절 출연했던 드라마다.] || || 1994년[br]~[br]1996년 || [[종합병원]] || 난소암 환자 || 4화 출연 || || 2002년 || [[인어 아가씨]] || 윤성미 || || || [[2008년]][br]~[br]2009년 || [[에덴의 동쪽(드라마)|에덴의 동쪽]] || 이정자 || || || 2011년 || [[로열패밀리(드라마)|로열패밀리]] || [[임윤서(로열패밀리)|임윤서]] || || ||<|2> [[2012년]] || [[해를 품은 달(드라마)|해를 품은 달]] || [[녹영|도무녀 장 씨]] || || || [[천 번째 남자]] || 구미선 || || || 2017년 || [[파수꾼(드라마)|파수꾼]] || 박윤희 || || || [[2018년]] || [[위대한 유혹자]] || 설영원 || || || [[1992년]] ||<|8> [[SBS TV|SBS]] || [[모닥불에 바친다]] || 강수희 || || || 2002년 || [[야인시대]] || 박계숙 || || || 2003년 || [[스크린(드라마)|스크린]] || 박주영 || || || 2012년 || [[다섯 손가락]] || 송남주 || || || 2013년 || [[열애]] || 양은숙 || || || 2015년 || [[돌아온 황금복]] || [[황은실]] || || || 2015년[br]~[br]2016년 || [[육룡이 나르샤]] || [[연향]] || || || 2016년 || 나청렴 의원 납치 사건 || 희경 || || || [[1998년]] || [[EBS 1TV|EBS]] || [[내일(EBS)|내일]] || 여주 || 특별 출연 || || 2014년[br]~[br]2015년 ||<|2> [[JTBC]] || [[하녀들(드라마)|하녀들]] || [[하녀들(드라마)/등장인물#윤씨부인|윤씨부인]] || || || 2016년 || [[마녀보감]] || 손 씨 || || || 2011년 || [[OCN Movies|OCN[br]무비스]] || 소녀 K || 차인숙 || || || 2015년 ||<|3> [[tvN|TVN]] || [[응답하라 1988]] || [[성보라]] || 48세 || || 2017년 || [[시카고 타자기(드라마)|시카고 타자기]] || [[시카고 타자기(드라마)/등장인물#s-5|전설의 어머니]] || || || 2019년 || [[사이코메트리 그녀석]] || 강은주 || 유작 || ===== 단편 드라마 ===== || '''연도''' || '''채널''' || '''작품''' || '''부제''' || '''배역''' || '''비고''' || ||<|2> [[1995년]] ||<|8> [[한국방송공사|KBS]] ||<|6> [[KBS 드라마 스페셜#s-2|드라마 게임]] || 점분이 || || || 악녀 탄생 || || || ||<|2> [[1996년]] || LA에서 온 로즈 장 || || || || 죽음보다 강한 것 || 홍모란 || || ||<|3> [[1997년]] || 장가네 만두집 || || [*유세인 유세인으로 출연했다.] || || 달콤한 아빠 || || || ||<|2> [[전설의 고향]] || 지네바위 || 지네귀신 || [*유세인] || || [[1998년]] || 묘곡성 || || || || [[1986년]] ||<|4> [[MBC TV|MBC]] ||<|4> [[MBC 베스트극장|베스트 극장]] || 산타클로스는 있는가 || || || || 1996년 || 세리와 수지 || 수지 || || || 1998년 || 설사약 권하는 사회 || 미혼 여성 || || || [[1999년]] || 인연 || 강 마담 || || ||<|2> [[2002년]] ||<|3> [[SBS TV|SBS]] ||<|3> [[오픈드라마 남과 여|오픈 드라마[br]남과 여]] || 골목을 돌아서면 || || || || 두 번 죽는 남자 || || || || [[2003년]] || 장미빛 인생 || || || === 공연 === || '''연도''' || '''장르''' || '''작품''' || '''비고''' || || [[2009년]][br]~[br][[2019년]] || 연극 || 친정 엄마와 2박 3일 || [* 생전 [[강부자]]와 함께 고정 출연자로 활동했다.] || == 수상 == || '''수상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 1994년 || 제17회 [[황금촬영상]] || 신인 여우상 || 우리 시대의 사랑 || || 2006년 || [[KBS 연기대상]] || 여자 조연상 || 황진이 || || 2013년 || 제21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 영화 부문 여자 우수 연기상 ||<|2> 숨바꼭질 || || 2014년 || 제34회 황금 촬영상 || 최우수 여우 조연상 || || 2015년 || [[SBS 연기대상]] || 일일극 부문 여자 특별 연기상 || 돌아온 황금복 || || 2019년 || 제6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 || 여우 조연상 || 나랏말싸미 || [[분류:한국 여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한국의 드라마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연극 배우]][[분류:아역배우]][[분류:1970년 출생]][[분류:1986년 데뷔]][[분류:2019년 사망]][[분류:정선 전씨]][[분류:전주시 출신 인물]][[분류:안양예술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예술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자살한 인물]][[분류:자살한 배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