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북 현대 모터스 관련 문서)] [목차] [clearfix] == 개요 == 모체라고 볼 수 있는 [[전북 버팔로]]가 1994시즌에 K리그에 참가했으나 재정 문제로 시즌 후 공식적으로 해체했다. 1994년 12월 [[현대자동차]] 지원 아래 독립법인체인 전북 다이노스 축구단을 창단했다. 2000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공식적으로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전북 버팔로]]와는 별개의 구단이라고 규정하므로 역사와 기록을 승계하지 않고 있으며 구단의 공식적인 연혁 또한 전북 다이노스의 창단부터 시작한다. == 호남 최초의 프로 축구단 [[전북 버팔로]] == 1991년 국내 최초로 컨소시엄 형태의 프로 축구단을 표방한 '''전라 진돗개프로축구단'''이 출범을 선언했으나, 자금 부족으로 처음 목표로 잡은 1992년 리그 참가가 무산되었고, 1993년 1월 스포츠 용품 업체인 [[푸마(브랜드)|푸마]]를 끌어들이면서 '''완산 푸마'''[* '완산'은 전주의 옛 지명인 완산주에서 따온 명칭이다. 완산이라는 이름은 현재도 [[완산구|전주시 남부지역의 일반구]] 명칭으로 남아 있다.]로 구단명을 변경하여 그 해 리그 참가를 노렸으나 구단을 둘러싼 악성 루머, 제 7구단 입단이 예정된 선수들의 드래프트 거부 등으로 곤란을 심하게 겪었다. 이로 인해 [[황선홍]][* 사실 이런 식으로 신생 팀의 지명을 피해 우회하는 경우가 많았다. 김대의의 경우 [[대전 시티즌]]에 지명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일본으로 건너갔다가 3년 뒤에 안전하게 귀국해 [[성남 일화 천마]]의 지명을 받는다.]은 완산에 지명되었지만 [[이흥실]] 등의 선수들을 상대로 한 사상 초유의 4+4 이적 및 트레이드 합의로 [[포항 스틸러스|포항 아톰즈]]에 입단하게 된다. 완산 푸마는 결국 선수 등록 시한을 지키지 못하고 리그 참가를 이듬 해로 연기해야 했고, 이 과정에서 선수단 월급을 엄청나게 체불한 사실이 알려졌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완산푸마_복구.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onbuk Bufallo.png|width=100%]]}}} || || {{{#ffdd00 '''완산 푸마 엠블럼'''}}} || {{{#ffdd00 '''전북 버팔로 엠블럼'''}}} || 1993년 11월 메인 스폰서가 교체되며 구단명이 '''제우 엑스터'''로 변경되었고, 1994년 2월 16일 법인 설립과 동시에 다시 구단명을 '''[[전북 버팔로]]'''로 변경하며, 같은 해 3월 보배주조[* 전북지역을 대표하던 소주 회사로 '보배소주'를 생산했다. 그러나 전북 버팔로 운영을 지원하던 당시에도 회사 사정은 녹록치 않았고 결국 1995년 회사가 부도를 맞게 된다. 훗날 [[하이트진로]]에 인수 합병돼 현재는 없는 회사다. 참고로 [[광주광역시|아랫]][[전라남도|동네]]의 대표 소주 회사인 [[보해양조]]와는 다른 회사이다.] 대표인 문수기 구단주가 재정을 책임지는 조건으로 프로축구연맹으로부터 창단 승인을 받게 되어 힘겹게 1994년 K리그에 참가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메인 스폰서인 제우정보의 후원 금액이 당초 알려진 12억이 아닌 3억에 불과했음이 드러났다.] 초대 감독은 김기복으로 최종 결정되었다. == 전북 버팔로의 침몰 == 하지만 만성적인 자금 부족 문제는 시즌 중에도 선수단에게 고스란히 부담으로 전가되어 훈련장은커녕 선수단 숙소도 마련하지 못했고, 홈경기 수입으로 원정 비용을 마련하는가 하면 담당 기자들이 출장비를 모아 전북 버팔로 선수단의 식사비를 마련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19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을 앞두고 국가대표 선수들을 비롯한 다른 구단 선수단에서 전북 버팔로를 돕는 모금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당시 구단주였던 문수기 보배주조 대표는 사비를 4억 원이나 들여 구단을 지원했으나 결국 힘에 부치기 시작했고 메인 스폰서였던 보배주조 내부에서도 전북 버팔로 지원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가 많았다. 결국 1994년 9월 6일 연맹 이사회에서 구단 해체를 전제로 그 해에 한하여 전북 구단의 운영을 맡는다는 결정이 내려졌다. 즉 이때부터 해체될 때까지 전북 버팔로는 K리그 역사상 전무후무한 연맹 직영 구단이었다. == 전북 다이노스로 재탄생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북 다이노스(1995).png|width=100%]]}}} || || {{{#ffdd00 '''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 1994년 시즌이 끝난 후 [[현대자동차]]의 협력업체인 ㈜현양이 전북 버팔로의 기존 선수들과 계약해 1994년 12월 12일부터 '''전북 다이노스'''라는 새로운 구단으로 출범하게 되었다.[* 당시 언론보도를 보면 [[현대자동차]]와 ㈜현양 측에 전북 다이노스의 창단을 주선한 것은 1993년 [[대한축구협회]] 회장이 된 [[정몽준]]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쉽게 말해 현대家에서 위기에 빠진 전북을 건져낸 셈이다.][* 김덕중, '잊혀진 K리그 제7 구단', 《스포츠 2.0》제91호(2008.2.18); 홍재의, 제9, 10탄 '전주종합운동장'편.] 이때 전북 버팔로 구단은 직접 인수되지 않고 해체 후 재창단 형식으로 갈 곳 없는 선수들만 다이노스에 받아들이는 형식이 되었는데, 이는 당시 신인 드래프트에서 신생 팀에게 주어지는 특혜를 노린 결과로 보인다. 당시 전북 다이노스는 ㈜현양이 자본금 10억 원을 조성하고 [[전북]] [[완주군]]에 상용차 공장을 두고 있는 [[현대자동차]]가 매년 20억 원을 후원하는 형태로 운영됐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북 현대 다이노스(1997~1998).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북 현대 다이노스 엠블럼(1999).svg|width=100%]]}}} || || {{{#ffdd00 '''전북 현대 다이노스 엠블럼'''[br](1997~1998)}}} || {{{#ffdd00 '''전북 현대 다이노스 엠블럼'''[br](1999)}}} || 그러다 1997년에 메인 스폰서 [[현대자동차]]가 구단 운영에 직접 대주주로 참여하기 시작함에 따라 현대자동차 직영 구단으로 전환하고 구단 명칭을 '''전북 현대 다이노스'''로 변경했다. 이 당시만 해도 [[현대그룹]]은 전북 현대 다이노스와 [[울산 현대|울산 현대 호랑이]] 등 K리그 두 개 구단을 동시에 운영했다. 지금은 현대그룹이 계열 분리를 거치며 규모가 줄어들었지만 [[정주영]] 회장이 살아있던 당시에는 축구단 두 개뿐만 아니라 [[현대 유니콘스|현대 야구단]]과 [[부산 KCC 이지스/역사|현대 농구단]]까지도 동시에 운영할 정도로 현대그룹의 사세가 매우 강했다. 그리고 현대家의 일원인 [[정몽준]]이 대한축구협회장에 재임하며 대한민국 축구계를 꽉 잡고 있었다. [[현대자동차]]가 전북 현대 다이노스와 울산 현대 호랑이를 모두 운영하던 당시에는 울산의 유니폼에 [[현대 엑센트|엑센트]] 등 현대자동차의 제품 로고를 삽입하기도 했다. 그러나 1998년에 울산 현대 호랑이의 운영권이 현대자동차에서 [[현대중공업]]으로 넘기면서 1998년 후반기부터는 울산의 유니폼에서 더이상 현대자동차의 제품 로고를 볼 수 없게 됐다. == 전북 현대 모터스로 새로운 시작 == 2000년에 현재의 구단명인 '''전북 현대 모터스'''로 변경하며 모기업인 현대자동차의 이미지를 전면에 부각시켰다. 2006년에는 영문 표기 중 Chonbuk을 Jeonbuk으로 변경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 (2000~2005).svg|width=85%]]}}}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 (2006~2012).svg|width=65%]]}}}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 (2013~2017).svg|width=65%]]}}}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width=100%]]}}} || || {{{#ffdd00 '''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br](2000~2005)}}} || {{{#ffdd00 '''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br](2006~2012)}}} || {{{#ffdd00 '''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br](2013~2017)}}} || {{{#ffdd00 '''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br](2018~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06889012.jpg|width=100%]]}}} || 엠블럼 디자인은 [[부여군]] [[규암면]] 외리 유적에서 출토한 [[백제]] 시대의 [[기와]] [[봉황]]문전에서 참고한 것이다. '''[[http://sports.news.nate.com/view/20141113n07778?mid=s1001&isq=5887|버팔로와 다이노스, 그리고 지금의 모터스 이야기]]''' ||<-4> {{{#f9d800 '''슬로건(캐치프레이즈)'''}}} || ||<-4>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2022년 슬로건.jpg|width=100%]] || || [[전북 현대 모터스/2009년|'''{{{#034f36 2009년}}}''']] || Green Revolution! 2009 || [[전북 현대 모터스/2010년|'''{{{#034f36 2010년}}}''']] || fantastic JEONBUK! 2010 || || [[전북 현대 모터스/2011년|'''{{{#034f36 2011년}}}''']] || Green Shouting! 2011 || [[전북 현대 모터스/2012년|'''{{{#034f36 2012년}}}''']] || Green Shouting || || [[전북 현대 모터스/2013년|'''{{{#034f36 2013년}}}''']] || GRAND GREEN![br]GREAT JEONBUK!! || [[전북 현대 모터스/2014년|'''{{{#034f36 2014년}}}''']] || Play, Run, Shout || || [[전북 현대 모터스/2015년|'''{{{#034f36 2015년}}}''']] || 全北天下 || [[전북 현대 모터스/2016년|'''{{{#034f36 2016년}}}''']] || Stand Up for Another[br]2016 Innovation of Jeonbuk || || [[전북 현대 모터스/2017년|'''{{{#034f36 2017년}}}''']] || Stand Up for Another[br]2017 Future of Jeonbuk || [[전북 현대 모터스/2018년|'''{{{#034f36 2018년}}}''']] || Stand Up for Another[br]2018 Culture of Jeonbuk || || [[전북 현대 모터스/2019년|'''{{{#034f36 2019년}}}''']] || Stand Up for Another[br]2019 Talent of Jeonbuk || [[전북 현대 모터스/2020년|'''{{{#034f36 2020년}}}''']] || Stand Up for Another[br]2020 World in Jeonbuk || || [[전북 현대 모터스/2021년|'''{{{#034f36 2021년}}}''']] || Stand Up for Another || [[전북 현대 모터스/2022년|'''{{{#034f36 2022년}}}''']] || Stand Up for Another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전북 현대 모터스, version=3470)] [[분류:전북 현대 모터스/역대 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