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하스스톤 프로젝트)] * 상위 문서: [[전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 [include(틀: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 [include(틀:전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 [목차] 전사의 [[낙스라마스의 저주]] ~ [[고블린 대 노움]] 카드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 [[낙스라마스의 저주]] == === {{{#Gray 일반 등급}}} === ==== 죽음의 이빨 ==== ||<-12>
<#8f0000><:> || ||<:> '''한글명''' ||<:> 죽음의 이빨 ||<-6><|7><:>http://img1.wikia.nocookie.net/__cb20140722212907/hearthstone/images/thumb/0/04/DeathsBite.png/310px-DeathsBite.png?width=200 || ||<:> '''영문명''' ||<:> Death's Bite || ||<:> '''카드 세트''' ||<:> 낙스라마스의 저주 || ||<:> '''카드 종류''' ||<:> 무기 || ||<:> '''등급''' ||<:> {{{#Gray 일반}}} || ||<:> '''직업 제한''' ||<:> {{{#black 전사}}} || ||<:>'''[[http://img2.wikia.nocookie.net/__cb20140722212907/hearthstone/images/7/78/DeathsBite.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비용''' ||<:> 4 ||<:> '''공격력''' ||<:> 4 ||<:> '''내구도''' ||<:> 2 || ||<:> '''효과''' ||<-7>'''죽음의 메아리''': '''모든''' 하수인에게 피해를 1 줍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7>이를 닦을때는 반드시 혀도 닦으세요! '' ("Take a bite outta Death." - McScruff the Deathlord)'' || 와우에서는 리치 왕의 분노에서 낙스라마스의 켈투자드가 드랍하는 양손 도끼. 죽음의 메아리가 붙은 최초의 무기 카드다. 통칭 '''죽빨.''' 스펙은 성기사의 진은검과 동일하며 특수능력만 다르다. 죽음의 메아리로 1코스트 소용돌이가 붙어 있는 셈인데, 기본적으로 아케나이트 도끼의 무거운 코스트에 부담을 느끼던 전사들에겐 가뭄의 단비같은 4코 무기. 죽음의 메아리도 만성적으로 광역기가 모자란 전사에게는 위니덱을 상대하는 좋은 수단이 된다. 하수인의 죽메와 달리 무기에 붙는 죽메는 무슨 일이 있어도 발동이 된다는 것도 장점. 소용돌이를 덜 집어 넣을 수 있기에 덱을 짤 때 공간에 여유를 만들어 주고, 역으로 소용돌이를 한 번 더 발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손놈처럼 자해가 중요한 덱에서도 엄청난 효율을 낸다. 그롬과 조합해도 좋지만 가장 잘 써먹는 덱은 역시 손놈덱이다. 죽빨을 미리 들어놓고 아무데나 한대 쳤다가, 손놈이나 거무광을 낸 후 죽음의 메아리를 발동시키는 식으로 쓰인다. 전사 무기들 중에서도 최고존엄이라 할 수 있는 성능. 여담으로 [[WoW]]에선 10인 레이드 드랍템이라 25인용인 인간 배반자에 비해 딸리는 무기였기에 거의 뽀각이었다. 정작 항상 전사가 불을 켜고 노리던 25인의 인배가 아니어서 [[켈투 앞 무득 기사]]의 전설을 기억하는 사람들은 블자가 인배는 기사꺼라고 공인했다는 농담을 한다. 일러스트는 인게임과 모습이 다른데, 사실 리치왕이 드랍하는 [[http://kr.battle.net/wow/ko/item/51947|트로그파멸자-서릿결 왕의 도끼]]라는 아이템이다. 등에 메는 한손 도끼라 룩변 수요가 있다. [[http://wow.tcgbrowser.com/images/cards/hd/troggbane_axe_of_the_frostborne_king.jpg|와우TCG의 카드]] 깨알 같은 팁을 주자면 죽음의 이빨을 자세히 보면 피울이 보인다...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3559&l=3168|죽음의 이빨 - 피울]] == [[고블린 대 노움]] == === {{{#Gray 일반 등급}}} === ==== 전쟁로봇 ==== ||<-12>
<#8f0000><:> || ||<:> '''한글명''' ||<:> 전쟁로봇 ||<-6><|8><:>http://img2.wikia.nocookie.net/__cb20141203050344/hearthstone/images/thumb/5/59/Warbot.png/300px-Warbot.png?width=200|| ||<:> '''영문명''' ||<:> Warbot || ||<:> '''카드 세트''' ||<:> 고블린 대 노움 || ||<:> '''카드 종류''' ||<:> 하수인 || ||<:> '''등급''' ||<:> {{{#Gray 일반}}} || ||<:> '''직업 제한''' ||<:> {{{#black 전사}}} || ||<:> '''종족''' ||<:> 기계 || ||<:> '''[[http://img3.wikia.nocookie.net/__cb20141204045131/hearthstone/images/5/58/Warbot.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 1 ||<:> '''공격력''' ||<:> 1 ||<:> '''생명력''' ||<:> 3 || ||<:> '''효과''' ||<-7>'''격노''': 공격력 +1. || ||<:> '''플레이버 텍스트''' ||<-7>용도에 비해 너무 귀엽다는 게 유일한 단점입니다. ''(Mass production of warbots was halted when it was discovered that they were accidentally being produced at "sample size.")'' || > 소환 시: 전투, 감지. > 공격 시: 전투, 개시. > 사망 시: 빠바바바바밥! 사제, 마법사, 흑마법사에 이어 전사도 1코 1/3 하수인이 등장했다. 계속 천대 받다가 마상, 하스폰에서 기계 전사로 2위 달성한 유저가 소개되며 기계 전사 붐이 잠깐 일어났었다. 허나 이후에는 다시 묻힌 상태. 사실 다른 1/3 하수인들에 비하면 딱히 유용하게 쓰기 애매한 효과이긴 하다. 저코스트 고체력 하수인으로 쓰자니 당장 2코스트에 1/4고 효과도 더 쓰기 좋은 방어구 제작자도 있다. ==== 오우거 전쟁망치 ==== ||<-12>
<#8f0000><:> || ||<:> '''한글명''' ||<:> 오우거 전쟁망치 ||<-6><|7><:>http://img3.wikia.nocookie.net/__cb20141203050027/hearthstone/images/thumb/2/27/OgreWarmaul.png/290px-OgreWarmaul.png/310px-DeathsBite.png?width=200 || ||<:> '''영문명''' ||<:> Ogre Warmaul || ||<:> '''카드 세트''' ||<:> 고블린 대 노움 || ||<:> '''카드 종류''' ||<:> 무기 || ||<:> '''등급''' ||<:> {{{#Gray 일반}}} || ||<:> '''직업 제한''' ||<:> {{{#black 전사}}} || ||<:>'''[[http://img4.wikia.nocookie.net/__cb20141204041310/hearthstone/images/5/5b/OgreWarmaul.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비용''' ||<:> 3 ||<:> '''공격력''' ||<:> 4 ||<:> '''내구도''' ||<:> 2 || ||<:> '''효과''' ||<-7>50%의 확률로 엉뚱한 적을 공격합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7>오우거 관련된 것들이 다 그렇듯이 단순무식하고, 예측불허에 극도로 위험한 무기입니다. ''(Simple, misguided, and incredibly dangerous. You know, like most things ogre.)'' || 고블린 대 노움에서 새로 추가된 오우거 계열의 특수 효과인 엉뚱한 적 공격 효과를 달고 있는 무기. 3코에 4라는 놀라운 공격력이지만 전사가 무기로 하수인을 정리하는 경우는 확실하게 제거해야하는 하수인을 처리할 때인 것을 생각하면 엉뚱한 적 효과는 상당히 부담이 크다. 상당히 좋은 무기인 2코스트 이글거리는 도끼와 4코스트 죽음의 이빨 사이에 껴있어서 더 잘 안 쓰인다. 하수인 오우거들은 엉뚱한 적을 공격한다는 페널티가 있긴 하지만 코스트 대비 스탯이 워낙 준수해서 성난태양이나 아르거스와의 연계를 통한 도발용으로 유용하고, 가끔 상대의 도발을 씹고 본체를 쳐서 캐리하기도 하는데다 침묵 걸어 일반 하수인처럼 쓸 수 있지만 영웅의 무기인 이 카드는 그렇게 전략적으로 쓸 수가 없다. 괜히 공격력 높은 하수인을 실수로 쳤다간 영 좋지 않은 꼴을 볼 수 있어 예능덱이 아니면 정말 안 쓰는 무기. [youtube(rD_A7AK1NLs,width=480,height=360)] ~~[[이말년|하지만 엉뚱한 녀석들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면]] 원하는 결과를 뽑을 수 있다~~ === {{{#0063ff 희귀 등급}}} === ==== 깡통나사 고물로봇 ==== ||<-12>
<#8f0000><:> || ||<:> '''한글명''' ||<:> 깡통나사 고물로봇 ||<-6><|8><:>http://img1.wikia.nocookie.net/__cb20141119032315/hearthstone/images/7/75/ScrewjankClunker.png?width=200|| ||<:> '''영문명''' ||<:> Screwjank Clunker || ||<:> '''카드 세트''' ||<:> 고블린 대 노움 || ||<:> '''카드 종류''' ||<:> 하수인 || ||<:> '''등급''' ||<:> {{{#0063ff 희귀}}} || ||<:> '''직업 제한''' ||<:> {{{#black 전사}}} || ||<:> '''종족''' ||<:> 기계 || ||<:> '''[[http://img3.wikia.nocookie.net/__cb20141204042430/hearthstone/images/7/70/ScrewjankClunker.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 4 ||<:> '''공격력''' ||<:> 2 ||<:> '''생명력''' ||<:> 5 || ||<:> '''효과''' ||<-7>'''전투의 함성''': 아군 기계 하수인 하나에게 +2/+2를 부여합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7>동작을 멈추면 이렇게 외치면서 발로 몇 번 차주세요. "이 고물 같으니라고!" ''(If it breaks, just kick it a couple of times while yelling "Durn thing!")'' || > 소환 시: 방어 시스템, 가동! > 공격 시: 정면 충돌! > 사망 시: 비상! 비상! 과열... 기계 위주 덱이라면 유용한 카드. 무너진 태양 성직자와 비교해봐도 버프 대상이 기계로 국한되어있다는 점만 빼면 효과도 스탯도 상당히 좋은 편이다. 다만 기계전사가 그리 흥하진 못해서 별로 인기는 없다. 버프명은 '나사 풀린 깡통'. --기계법사가 차원문으로 뽑으면 열뻗치는 카드 1.-- --2는 강철 사부.-- ==== [[시즈 엔진|공성 전차]] ==== ||<-12>
<#8f0000><:> || ||<:> '''한글명''' ||<:> [[시즈 엔진|공성 전차]] ||<-6><|8><:>http://img3.wikia.nocookie.net/__cb20141203050215/hearthstone/images/1/18/SiegeEngine.png?width=200|| ||<:> '''영문명''' ||<:> [[시즈 엔진|Siege Engine]] || ||<:> '''카드 세트''' ||<:> 고블린 대 노움 || ||<:> '''카드 종류''' ||<:> 하수인 || ||<:> '''등급''' ||<:> {{{#0063ff 희귀}}} || ||<:> '''직업 제한''' ||<:> {{{#black 전사}}} || ||<:> '''종족''' ||<:> 기계 || ||<:> '''[[http://img3.wikia.nocookie.net/__cb20141204043115/hearthstone/images/2/2a/SiegeEngine.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 5 ||<:> '''공격력''' ||<:> 5 ||<:> '''생명력''' ||<:> 5 || ||<:> '''효과''' ||<-7>내가 방어도를 얻을 때마다, 이 하수인이 공격력을 +1 얻습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7>겨울손아귀 요새의 유일한 약점입니다! ''(Wintergrasp Keep's only weakness!)'' || 특이하게 방어도를 얻을 때마다 공격력이 올라가는 카드. 방어구 제작자+소용돌이로 폭업을 노릴 수도 있고 그냥 영능만 써도 공격력이 올라간다. 다만 아래의 방패 여전사가 거의 항상 두 장이 들어가고 하다보니 좀 무거워서 넣을 자리가 없다는 게 흠. 거기다 폭업을 노리려 해도 거품무는 광전사가 훨씬 쓰기 쉽다. 주의할 점은 '방어도를 얻을 때마다'라서 한번에 여러 방어도를 얻는다고 그만큼 올라가진 않는다는 것. 즉 방패 막기를 써도 공격력 +5가 아니라 +1만 된다. 버프의 이름은 '도금됨'. ==== 방패 여전사 ==== ||<-12>
<#8f0000><:> || ||<:> '''한글명''' ||<:> 방패 여전사 ||<-6><|8><:>http://img3.wikia.nocookie.net/__cb20141114211048/hearthstone/images/4/40/Shieldmaiden.png?width=200|| ||<:> '''영문명''' ||<:> Shieldmaiden || ||<:> '''카드 세트''' ||<:> 고블린 대 노움 || ||<:> '''카드 종류''' ||<:> 하수인 || ||<:> '''등급''' ||<:> {{{#0063ff 희귀}}} || ||<:> '''직업 제한''' ||<:> {{{#black 전사}}} || ||<:> '''종족''' ||<:> - || ||<:> '''[[http://img2.wikia.nocookie.net/__cb20141204042835/hearthstone/images/6/6f/Shieldmaiden.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 6 ||<:> '''공격력''' ||<:> 5 ||<:> '''생명력''' ||<:> 5 || ||<:> '''효과''' ||<-7>'''전투의 함성''': 방어도를 5 얻습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7>[[철벽녀]]? ''(She has three shieldbearers in her party to supply her with back ups when she gets low on durability.)'' || > 소환 시: 제가 막아드리죠.~~제가 맏아들이죠~~ ~~찍어 먹어드리죠~~ > 공격 시: 충격에 대비하세요. 성우는 [[정혜원(성우)|정혜원]] 일명 방로리. 방패 막기에 이어 두 번째로 등장한 순식간에 방어도를 올려주는 카드. 6코스트에 경쟁자가 많지만 방밀전사 덱의 중반을 책임지기에 적합하여 2장씩 채용된다. 방밀전사덱에 한해서 사기라는 평이 대부분. 이 카드 덕분에 명치덱이 방밀 전사를 상대로 매우 불리해졌으며, 사제 역시 방밀 전사와의 싸움이 더욱 불리해졌다는 평이다. 다만 시간이 지날수록 호불호가 조금씩 갈리는 카드가 되었다. 고대놈 메타의 메인 스트림이 위니덱이 되면서 6코 하수인인 이 카드를 굳이 넣을 필요가 있느냐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물론 좋은 카드임에는 이견이 없지만 빠른 템포가 대세가 된 이 시점에서 무거운 축에 속하는 방밀덱이 이 카드를 넣어 굳이 더 무겁게 할 필요가 있냐는 것. 그래서 방패 여전사를 넣지 않고 예전의 방어구 제작자-방패 막기로 다시 회귀하는 사람도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물론 아직도 방패 여전사를 2장 꽉꽉 채워넣는 방밀 유저는 여전히 많으니 취향대로 선택하면 될 듯. 이렇든 저렇든 보통 최소 1장은 채용한다. 레이나드가 칭송한 고놈 최고의 카드 10선에도 들어간다. === {{{#9400d3 영웅 등급}}} === ==== 날뛰는 톱날 ==== ||<-12>
<#8f0000><:> || ||<:> '''한글명''' ||<:> 날뛰는 톱날 ||<-6><|8><:>http://img1.wikia.nocookie.net/__cb20141114052429/hearthstone/images/e/e7/BOUNCING_BLADE.png?width=200 || ||<:> '''영문명''' ||<:> Bouncing Blade || ||<:> '''카드 세트''' ||<:> 고블린 대 노움 || ||<:> '''카드 종류''' ||<:> 주문 || ||<:> '''등급''' ||<:> {{{#9400D3 영웅}}} || ||<:> '''직업 제한''' ||<:> {{{#black 전사}}} || ||<:>'''[[http://img2.wikia.nocookie.net/__cb20141204004331/hearthstone/images/2/2a/BouncingBlade.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 3 || ||<:> '''효과''' ||<-7>무작위 하수인 하나에게 피해를 1 줍니다. 하수인 하나가 죽을 때까지 반복됩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7>고블린들만큼은 이게 꽤 괜찮은 무기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제는 좀 생각이 바뀌고 있답니다. ''(Only goblins would think this was a good idea. Even they are starting to have their doubts.)'' || ~~[[죠나단 죠스타|네가! 죽을 때까지! 때리는 것을 멈추지 않겠다!]]~~ 처음 공개되었을 때 설레발이 있었으나 그리 잘 쓰이진 않는 카드. 강력한 상대 하수인이 하나만 존재할 때 발동하면 무조건 죽일 수 있다. 대신 상대가 어그로덱이라면 오히려 몇 대 때리지도 못하고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hearthstone&no=935813&page=1&exception_mode=recommend|1/1 같은 카드를 잡고 싱겁게 끝나버릴수도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7n1tt0SKL8&t=8m48s|하지만 손놈덱이라면 어떨까?]]~~ 기타 제압기들이 충분한 전사 입장에서는 제한된 상황에서만 큰 효율을 발휘하는 카드이기 때문에 두 장이나 넣기는 부담스럽다. 지휘의 외침과 연계시엔 생명력이 1이 된 내 하수인에 톱날이 맞게 되면 멈춘다. ~~[[https://www.youtube.com/watch?v=LxgmhYyL-tc|이 카드를 이용해서 주정뱅이 선술집을 간접체험 해볼 수 있다.]]~~ ~~[[http://i1.ruliweb.daumcdn.net/uf/image/U01/ruliweb/560D07E04D59480001|가즈릴라와 함께라면 필킬원콤이 완성된다.]]~~ 해당 스샷은 가즈릴라가 6번 맞아 불어난 공격력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NftorGR5oq8|참고로 전사 상대로 고통의 수행사제를 천정시키지 말자. 이렇게 된다.]]~~배경음악이 흥겹다~~ [[https://www.youtube.com/watch?v=K31iFd786e0&t=3m52s|참고로 이런 것도 있다.]]~~사적이 또~~ ~~이것도 배경음악이 흥겹다~~ 또한 효과 특성상 필드 위에 하수인이 하나밖에 없다면 그 하수인에게만 톱날이 튀다가 결국 죽기 때문에 꼭 죽여야 할 하수인이 홀로 서있다면 쉽게 죽일 수 있다. ~~데사장 의문의 1패~~ 설명에 보면 무작위 하수인이 죽을 때까지 피해를 1 준다고 적혀있는데 실험 결과 최대 90대 까지만 때리는걸로 판명되었다. 즉 최대 90의 피해밖에 못준다는 것. 그러나 이후에는 어느새 패치되었는지 [[https://www.youtube.com/watch?v=L0ZAMhduh70&feature=player_detailpage#t=70|80번만 때리는걸로 밝혀졌다.]] 일단 자칫 무한루프가 생길 수 있으니 최대 데미지 제한이 있는 것은 당연한데, 아마도 어느 정도를 최대치로 잡을지는 조금씩 바꾸고 있는 듯하다. ==== 으깨기 ==== ||<-12>
<#8f0000><:> || ||<:> '''한글명''' ||<:> 으깨기 ||<-6><|8><:>http://img3.wikia.nocookie.net/__cb20141203045517/hearthstone/images/1/15/Crush.png?width=200 || ||<:> '''영문명''' ||<:> Crush || ||<:> '''카드 세트''' ||<:> 고블린 대 노움 || ||<:> '''카드 종류''' ||<:> 주문 || ||<:> '''등급''' ||<:> {{{#9400D3 영웅}}} || ||<:> '''직업 제한''' ||<:> {{{#black 전사}}} || ||<:>'''[[http://img2.wikia.nocookie.net/__cb20141204005647/hearthstone/images/9/91/Crush.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 7 || ||<:> '''효과''' ||<-7>하수인 하나를 처치합니다. 만약 내 전장에 부상 당한 하수인이 있다면, 비용이 (4) 감소합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7>일부 격한 분들은 이 카드를 쓸 때 묘한 쾌감을 느낀다고들 합니다. ''(Using this card on your enemies is one of the best things in life, according to some barbarians.)'' || 조건부 3코 즉사기. ~~물론 하수인 없이는 7코 암살.~~ 마무리 일격과는 다르게 자신의 하수인에게도 써지므로, 실바나스의 죽음의 메아리 등을 발동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전사는 이미 마무리 일격에 방패 밀쳐내기라는 훌륭한 1코스트 제압기[* 앞서 설명하듯 방패 밀쳐내기는 준 제압기 취급이다.]가 있어서 굳이 이 카드가 대체제가 될 수 있을진 의문. 만약 사용한다고 해도 덱에 제압기가 6개나 있으면 너무 과하다. 하지만 코스트가 낮아지는 조건이 '아군 하수인이 피해를 입을 것'임을 감안하면, 이 카드는 애초부터 방밀보다는 격노덱을 위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마냥 차별화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마침 기계위니덱의 템포는 격노 컨셉이 더 어울리고. 허나 결국엔 나왔음에도 별로 많이 쓰이진 않는다. 참고로 이 카드로 하수인을 처치하면 흙먼지와 함께 가운데에 구멍이 뻥 뚫리며 부서지는 전용 이펙트가 나온다. ~~거인이나 용들을 으깰 정도면 대체 뭘로 으깨는 걸까.~~ === {{{#ffa500 전설 등급}}} === ==== [[강철의 거대괴수]] ==== [[강철의 거대괴수(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 문서 참고. [[분류: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전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version=707)]